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팔로우
안나 카레니나 세트 (세계문학전집, 전3권)의 표지 이미지

안나 카레니나 세트

레프 니콜라예비치 톨스토이 지음
민음사 펴냄

읽었어요
2월 5일부터 3월 28일까지 읽다 ㅡ

톨스토이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이야기하려고 집필했다던데 오히려 '이렇게 살면 안 돼'의 표본인 안나에게 더더욱 애착이 가는 이유는 무엇일까?
안나에게는 아름다움, 영리함, 고귀함, 우아함, 사회적 지위까지 다 있는데 오로지 '사랑' 하나가 없었다. 18세 연상에 '행정 기계'인 남편은 사랑을 채워주지 못했다. 그 사랑을 브론스키에게 느끼고 불꽃처럼 타오르지만 끝내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아들도 빼앗기고 남편과 이혼도 하지 못하고 브론스키와 결혼도 하지 못한 채 어쩌지 못해 이어지는 삶은 안정감을 주지 못했다.
밤중에 맥주 한 캔 마시며 읽다 보니 안나에게 너무 몰입되어 톨스토이가 원망스럽기까지했다.

21세기의 안나였다면 그 스펙으로 무슨 일이라도 시작하여 독립해서 멋지게 홀로서기에 성공했을텐데. 능력 있고 매력이 넘쳐서 시기하는 이들까지도 선한 카리스마로 휘어잡고 마는, 안정된 정서로 안정된 사랑을 하는, 그 선한 영향력으로 주변인을 감화시킬 수 있는 안나 카레니나가 될 수 있을텐데.

아이들이 성인이 되기 전에 읽었으면 하는 책.
어떻게 사랑해야 할지, 무엇을 위해 살아야 할지 이 책을 읽고 깨달을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18세기 러시아 귀족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엿볼 수 있는 것은 이 책의 보너스!)
2020년 3월 29일
0

새벽빛님의 다른 게시물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까멜리아 싸롱 게시물 이미지
"네가 너를 키워가면서 알아내야 해. 네가 어떤 꽃인지, 어떻게 피어날지, 얼마나 아름다울지. 세상의 예쁜 것들을 너에게 주렴. 물 같은 교양을, 바람 같은 사유를, 햇살 같은 마음을 자신에게 주면서 너답게 살아."라고 딸에게 얘기해줘야겠다.

까멜리아 싸롱

고수리 지음
클레이하우스 펴냄

7시간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까멜리아 싸롱 게시물 이미지
이 소설에서는 죽은 자들이 까멜리아 싸롱을 거치며 과거를 돌아보고 타인과 서로 알아가는 시간을 갖게 되는데, 이들에게도 시간이 필요했다.

📖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딜 가야 하는지 충분한 시간을 들여 알아가야 하죠.(48쪽)

많은 사람들이 어떤 처지에 있든 공감할 수 있는 말일 것 같다.

갑자기 나쁜 상황에 닥친 사람에게도, 학교나 회사에서 새로운 나날을 앞두고 있는 사람에게도, 그런 사람들과 일하게 되는 사람에게도.

까멜리아 싸롱

고수리 지음
클레이하우스 펴냄

2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책 읽어주는 남자 게시물 이미지
'나'와 한나가 어떻게 화해할 수 있을까에 초첨을 두고 읽었는데 끝끝내 한나가 죽은 뒤에야 그녀를 그리워하고 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결말이 너무나 슬펐다. 한나는 줄곧 그에게서 편지를 받기를 고대하고 있었다. 너무 늦지 않았을 때 답장을 써 주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이 소설을 나이 차가 많은 남녀의 연애소설로 읽어도 좋지만, 부모와 자식의 세대 갈등에 관한 소설이라고 읽어도 좋다. <1부>에서 한나가 미하엘을 씻겨 주고 같이 자는 모습이나, 둘이 갈등이 있었을 때 일방적으로 미하엘이 한나에게 사과하고 한나가 용서하는 모습은 어린아이와 어머니의 관계와 같다. 미성숙할 때의 어린 자식은 양육자를 떠나 살 수 없다. <2부>에서 미하엘이 한나와 거리를 둔 채 과거를 객관적으로 보며 죄를 묻는 장면은 사춘기 시절의 자녀와 양육자와 같다. 양육자는 무기력하게 지금까지 살아왔던 삶의 태도를 자녀에게 재단당한다. <3부>에서는 양육자가 자녀로부터 이해받기를 고대하지만 자녀들은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에야 그리워하고, 잘못한 것을 뉘우치고, 뜻을 받든다.

부모-자녀에서 나아가 이전 세대와 현 세대 집단의 갈등으로 보아도 좋다. 집단의 갈등은 사회의 불안을 야기하고, 개개인에게 스트레스가 되는데 이 작품은 두 집단이 서로를 알려고 노력하는 데서 해결방안을 찾는다. 한나가 글을 알고 책을 읽었듯이, 미하엘이 늦게나마 생각하고 생각해서 이야기를 되돌아오게 한 것처럼. 그러나 앞에서 말했듯이 한나가 죽고 난 뒤에야 그리움에서 이해가 시작된다는 점은 비극이 아닐 수 없다.

너무 늦기 전에 타인을(혹은 타집단을) 이해하고 관계를 개선할 수 있을까. 그건 우리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다. 우리가 다 이해할 수는 없어도, 가까이 다가가려는 노력만으로도 남은 인생을 충만하게 살 수 있으리라.

"오고 싶거든 언제든지 오너라."
- 180쪽, 아버지가 '나'에게

https://m.blog.naver.com/snoopy701/223763968835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시공사 펴냄

읽었어요
6일 전
0

새벽빛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