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제님의 프로필 이미지

소제

@almagest

+ 팔로우
우리는 모두 별이 남긴 먼지입니다 (세계 최고의 과학자 13인이 들려주는 나의 삶과 존재 그리고 우주)의 표지 이미지

우리는 모두 별이 남긴 먼지입니다

슈테판 클라인 지음
청어람미디어 펴냄

요즘 문학과 신앙서적을 주로 읽어서 무신론적 과학책을 읽어보고 싶었다. 이 책 다음 시리즈로 남은 우리는 불멸의 삶을 살 수 있습니다(?)를 먼저 읽으려다 그나마 아는 과학자가 많은 이 책을 고르게 되었다.

슈테판 클라인이라는 그 스스로도 독일의 과학자인 인터뷰어가 이 시대 각 분야의 권위자들을 인터뷰한 내용을 담고 있다. 책의 겉표지는 어려워보이고 안의 디자인은 옛날 느낌이라 재미있을지 의문이었지만 막상 읽으니 첫 페이지부터 빵터졌다. 분자생물학자이자 시인인 로알드 호프만에게 슈테판이 무슨 분자가 가장 아름답냐고 묻자, 그가 헤모글로빈이며 그 이유는 촌충이 교미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하기 때문이다. 역시 아름다움의 기준은 사람마다 다르다. ㅋㅋ

그 외에도 뇌과학자인 빌라야누르 라마찬드란과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인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읽으면서도 재미있었다. 과학자들은 책에서 나온것처럼 일반인들에게 거리감이 느껴지지만 실제 석학들은 일반인들이, 일반인들에 의한 연구를 하는 것처럼 느껴진다. 나도 그들처럼 전문적이면서도 일반인들에게 친숙한 연구자가 되고 싶다.

특별히 통증에 관한 이야기를 해준 의사 발터 치클겐스베르거의 말이 지금까지 내내 기억에 남는다. 그는 뇌는 통증을 기억하기 때문에 작은 통증이 있을 때 그 통증을 느끼지 못하도록 제어해주어야 한다고 말한다. 다음에 그다지 심각한 증상이 아니더라도 뇌는 그 통증에 집중하면서 심각하게 느낄 수 있기 때문이란다. 그리고 고통이 우리를 성장시키고 단련시킨다는 고전적인 생각에서 돌이켜야 한다고 말한다. 나는 원래 고통을 싫어하지만 예수님을 배우며 고통과 인내, 연단의 가치등을 배워가는 중이었다. 그런데 이 말은 내게 작은 파문을 주었다. 사실 그 뿐이고 여전히 나는 고통을 통해 연단되는 것이 가치있다고 느낀다.

책의 마지막도 다시 아름다움에 대해 이야기하며 마무리 지어진다. 우리는 왜 아름다움에 대해 소망할까?? 과학자들도 별들의 아름다움을 보고 호기심을 가진다. 그것들을 설명하는 데이터들도 공식들을 만들어 아름답게 정리하고자 한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가들까지 언급할 필요없이 사람은 누구나 각자만의 아름다움의 기준이 있고 그것을 추구한다. 다시 미학에 대해 궁금해져서 칸트의 책을 주문했는데 이 책을 읽으면서 한번 더 그 갈증이 증폭되었다.
2019년 10월 14일
0

소제님의 다른 게시물

소제님의 프로필 이미지

소제

@almagest

존경하는 박영선 목사님의 책이 서점에서 보여 우연찮게 샀다. 내용이 상당히 어려웠지만 도끼같은 책이었다. 하나님을 이해하기 위해서 인간은 이성을 이용할 수 밖에 없는데 이성 자체가 프레임을 만드는 한계가 있기 때문에 그 한계점을 인식하면서 성경에 나온 하나님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성적인 것을 자랑하던 내가 부끄러워지는 책이었다. 한층 더 나의 실존-무력함을 깨닫게 되었다.

생각하는 신앙

박영선 지음
포이에마 펴냄

읽고있어요
2개월 전
0
소제님의 프로필 이미지

소제

@almagest

'살아보니 진화'라는 책에서 이정모 관장님이 무한한 찬사를 보냈던 책이라 읽어보고 싶었다. 나도 읽어보니 좋은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탄핵 정국으로 인해서인지 좌우 대립은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것 같다. 특히 시위에 나온 사람 중 여성이 70%라는 점에서 어쩌면 남녀대립도 그만큼 심화된 것 같고 내 주위에 있는 남성 중에도 y를 여전히 옹호하고 있는 사람들이 있으니 말이다. 나와 다른 생각과 가치관을 가지고 있는 사람(또는 집단)을 이해하려하기보다 배척하고 있는 이 시대에 누구나 읽어봐야 할 책이라는 생각이 든다.
나는 극 T라서 어릴 때 로봇같다는 말을 많이 들었다-지금도 종종 듣는다. 사회생활을 하기 위해 공감하는 법을 배워야 했고 이제는 처음 만나는 사람들은 내가 T라고 하면 놀랄 정도로 공감능력이 상승했다. 그런데 F인 사람과 같이 지내면서 놀라는 점이 나와 전혀 다른 상황에서 공감을 한다는 것이다. 드라마를 보면서 주인공에게 너무 감정이입을 한다거나 나는 별일 아니라 가볍게 얘기했는데 매우 큰 감정적 피드백을 준다거나 하는 일이다. 그런데 한편으로 그 분과 다른 입장을 가진 사람에 대해 혐오하는 듯한 말을 내뱉는 것을 보고 'F인데 왜 저렇게 말하지?' 하고 의아해할 수 밖에 없었다. 책을 읽으면서 깨닫게 된 것은 나는 정서적 공감이 매우 약하지만 인지적 공감을 학습하게 되었고 그 분은 정서적 공감을 선천적으로 매우 잘하지만 인지적 공감이 약하다는 것이다. 책에서는 정서적 공감의 위험성을 얘기하며 우리가 인지적 공감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설파한다. 즉 깊은 공감이 아니라 넓은 공감을 하는 것이다.
책을 읽으며 좋았던 점은 예시가 많아서 이해가 쉽다는 것이다. 특히나 연구결과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하여 쉽게 설명해주어서 그 분야에 전문지식이 전혀 없지만 다소 전문성이 향상된 느낌이 들 정도이다. 저자는 인지적 공감을 확장해야 한다고 말하면서 그 해결책도 실제적으로 제시하는데 그 중 하나는 독서이다. 독서를 하면 그 사람이 처하는 환경을 내가 간접적으로 경험하게 되기 때문이다. 주장만 있는 것이 아니라 대책도 있는 책이어서 좋았다. 그리고 '다정한 것이 살아남는다'라는 책 이야기가 잠깐 나왔는데 다음에 한 번 읽어봐야겠다.

공감의 반경

장대익 지음
바다출판사 펴냄

2개월 전
0
소제님의 프로필 이미지

소제

@almagest

  • 소제님의 흰 게시물 이미지
흰 컵이 놓인
흰 테이블에서
흰 책을 읽으며

무람없이 몰아치는 기억과 감정의 파도들을 맞았다.

한강 지음
난다 펴냄

4개월 전
0

소제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