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펭귄도 사실은 롱다리다!
이지유 (지은이) 지음
웃는돌고래 펴냄
읽었어요
돌고래 Tursiops Truncatus
일본 '다이지'는 돌고래을 잔인한 방법으로 잡아 전 세계에 판매하는 것으로 유명하다. 울산광역시가 고래 도시의 이미지를 확립하고 관광 산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다이지에서 아기 돌고래를 사 온 것은 몰지각하고 부도덕한 행위이다. 인간들에게 납치당해 순식간에 엄마를 잃은 아기 돌고래는 공포에 떨며 낯선 곳으로 끌려와 결국 죽고 말았다. 천벌을 받을 일이다.
꿀벌 Apis
만약 이 성실한 아프리카 꿀벌이 유럽 꿀벌의 온화한 성격을 지닌다면 어떨까? 이런 생각을 한 브라질의 곤충학자 워릭 에스테팜 커는 1950년대에 생산성이 높으면서도 온순한 아프리카 꿀벌을 만들어 중미에 농사에 보급하기 위해 아프리카 꿀벌과 유럽 꿀벌을 교배시켰다. 그러나 커는 '일을 조금밖에 안 하고 흉폭하기 그지없는' 살인 벌을 만들고 말았다. 지금도 아메리카 대륙에서는 한 해에 수십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살인 벌에 쏘여 죽는다. 그래도 커를 비롯한 곤충학자들이 살인 벌의 벌통을 없애고 순한 벌과 교배을 꾸준히 시켜 많이 순해졌다고 한다. 무지한 인간들이 생명에 함부로 손댈 일이 아니다.
고양이 Felis Silverstris Catus
연골이 많은 이 육식동물은 몸이 부드럽고 유연해 머리만 빠져나가면 어떤 틈새라도 빠져나갈 수 있고 발바닥에 있는 자연 쿠션 덕에 소리 없이 지나다닐 수 있다. 안쪽으로 가시가 돋은 혀로 스스로 털을 고르기 때문에 목욕을 시키지 않아도 냄새가 나지 않는 것은 물론 스스로 훌륭한 외모를 유지한다. 아, 이러니 인간이 고양이는 주인으로 모시는 집사가 안 될 수 있나.
투구게 Tachypleus Tridentatus
투구게의 파란 피는 예방주사 백신을 테스트하는 데 쓰이기 때문에 미국에서만 해마다 50만 마리의 투구게가 납치되어 강제로 피를 빼앗기는데 이 탓에 비료가 된 적도 있다. 4억 5천 만 년 동안 잘 살아오던 투구게가 다 죽게 생겼다.
8
Lucy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