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잃어버린 이름들의 낙원
허주은 지음
창비교육 펴냄
"태양이든 땅이든 달이든, 너는 유능한 아이다. 내게는 그래. 너는 복잡하게 꼬인 이 사건의 실타래를 이해할 수 있는 머리를 가지고 있지. 그런 사람은 많지 않다. 다모 설. 남자든 여자든." 아직 말 위에 앉아 있었지만 고삐를 쥔 손가락의 힘이 풀렸다. 오라버니가 떠난 후로 나를 제대로 봐준 사람은 처음이 라는 느낌이 들었다. (p.182)
강씨 부인의 생사는 끝내 알아내지 못했다. 그녀가 이끌던 동정녀 공동체 회원들은 모두 배교를 거부해 감옥에서 맞아죽거나 참수형, 교수형, 또는 사약을 받는 사형에 처해졌다고 한다. 나는 강씨 부인만은 집을 떠나 산으로 도망쳐 어딘가에 안전하게 숨어 있기를 바랐다.
하지만 실은 이 세상에 없다는 것을 알았다. 그녀는 결코 비겁한 사람이 아니었으므로(p.472)
똑똑한 노비인 다모 설은 한 종사관과 함께 한 여인이 죽은 사건을 조사하게 된다. 그녀는 오판서 대감의 딸로, 자신의 은장도에 찔려서 죽었다. 미혼이었지만 처녀가 아니었고, 이를 집안의 수치라 여긴 가족들은 오히려 쉬쉬한다. 처음에는 그저 살인사건으로만 알았던 이 사건은 연쇄살인임이 드러나게 된다. 이상하게도 시체들은 코가 잘린 채다. 호기심이 많은 설은 위험을 무릎쓰고 사건을 파해치고, 점점 더 사건의 중심을 향해 걸어간다.
연관이 없는 것처럼 느껴졌던 사건들에는 사실 “천주교”라는 연결고리가 있다. 누군가는 가족의 죽음으로 인해 천주교에 대한 미움과 증오가, 누군가는 천주교를 옹호하고 전교하는 이들의 얽히고 섥힌 사건과 감정들로 이야기가 이어진다. 여기에 설이와 설이 오라버니, 설이의 신분, 그림자처럼 등장하는 최대감 아들 등의 이야기들이 여러 복선을 깔며 사건을 더욱 긴밀하고 촘촘히 만들어간다.
한국에서 태어났지만 캐나다에서 더 긴시간을 살아온 허주은 작가가, 한국의 이야기를 생생하게 담아내고 있다. 공녀 제도와 가부장적인 사회를 신랄하게 보여주었던 『사라진 소녀들의 숲』, 영조 치하의 궁궐 속사정과 로맨스를 볼 수있었던 『붉은 궁』, 연산군의 폭정과 중종반정을 배경으로 불의에 저항하는 시대를 그린 『늑대 사이의 학』까지. 그녀의 책들을 읽으며 느끼는 것은 그녀가 어느 시대로 우리를 데리고 가더라도 자주적인 삶을 살고, 자신의 생각과 목소리를 잃지 않는 여성들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번 책, 『잃어버린 이름들의 낙원』역시 조선후기의 분위기, 정치적 욕심의 도구가 되었던 천주교 박해를 배경으로, 환경보다는 자신의 삶에 집중하는 단단한 여성을 보여주고 있다. 강씨 부인의 강단에서, 설이의 용기에서 많은 생각을 하게 된다.
오래도록 한국을 떠나 살았으면서도, 한국적인 감정을, 한국의 정서를 이렇게 문장으로 담아낼 수 있다는 게 놀랍게 느껴진다. 그녀가 남긴 문장 하나하나에서 우리 역사의 한 접점을 만나기도 하고, 또 그 사건에서 누군가의 생과 누군가의 모습을 본다. 또 그 속에서 또 지금을 살아가고 있는 나의 모습을 보기도 하고. 이것은 참 신기한 일이지만, 또 이것이 문학이 가진 힘이 아닌가 싶은 마음이 들기도 한다.
또 내가 가톨릭신자라서 그런지, 이 책의 배경이나 몇몇 문장이 마음에 깊이 닿고, 마음에 잔상으로 오래 남기도 했다. 『잃어버린 이름들의 낙원』을 읽는 내내 얼마전 우리 아이가 성당에서 특송으로 부른 “나는 천주교인이요”를 가만히 떠올렸다. 기해박해 때 모진 고문을 당하면서도 “나는 천주교인이요, 살아도 천주교인으로 살고 죽어도 천주교인으로 죽을 따름이오”라고 말했던 김성우 안토니오 성인. 또 『잃어버린 이름들의 낙원』의 강씨부인인 강완숙(골롬바) 순교자의 희생, 우리나라에 천주교를 설파하기 위하여 들어왔다가 신유박해에 희생양이 되어 새남터에서 순교하신 주문모(자이므벨로주, 야보고)신부님까지.
비록 이 책은 소설이지만, 신념을 위해 자신을 희생하는 일이 쉽지 않다는 것을 알아서인지, 그녀의 문장이 생생한 덕인지 강씨부인은, 설이는 마치 실존인물처럼 오래오래 내게 잔상을 남긴다. 『잃어버린 이름들의 낙원』은 그 시절의 우리나라 위에,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의 삶을 덧입혀주는 짙은 이야기였다.
1
책읽는엄마곰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