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서문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서문

@yiseomoon

+ 팔로우
돈은 사람의 마음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최성락의 돈의 심리)의 표지 이미지

돈은 사람의 마음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최성락 지음
월요일의꿈 펴냄

읽었어요
0

이서문님의 다른 게시물

이서문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서문

@yiseomoon

  • 이서문님의 청기와 주유소 씨름 기담 게시물 이미지

청기와 주유소 씨름 기담

정세랑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4일 전
0
이서문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서문

@yiseomoon

투자를 제대로 하려면 현재 이익을 포기하고 미래 이익을 기대하면서 의사결정을 해야 한다. 돈 투자만이 아니라 인생 투자도 마찬가지다. 그런데 미래 이익을기대하며 현재 이익을 포기하기 위해서는 미래를 믿어야 한다. 진심으로 앞으로 더 큰 보상이 있을것이라고 믿어야 제대로 투자할 수 있다. 미래를 믿지 못하면 투자가 어렵고, 설령 투자하더라도 마음이 불안해 오래 버틸 수 없다. 투자자는 이런 시스템을 의식하고 미래를 믿는 사고방식을 가질 필요가 있다.

정말로 돈에 대해 거의 걱정하지 않고 살아가는 사람들도 있다. 부자의 가족들이다. 부자에게 돈을 받아 사용하는 배우자, 아들, 딸 등 가족은 돈이 어디서 나오는지, 돈 관리가 어떻게 되고 있는지 전혀 모르는 상태에서 마음껏 돈을 쓰기만 할 수 있다. 진짜 돈 걱정으로부터 벗어나 마음 편히 살아갈 수 있는 사람들이다. 의사들이 돈을 많이 벌고 잘산다고 하지만 사실 정말로 잘사는 사람은 의사 본인이 아니라 그들의 가족이다. 의사는 진료를 보느라 바쁘고, 휴일도 잘 챙기지 못한다. 의사 가족은 그런 부담 없이 의사의 많은 소득을 누릴 수 있다. 부자도 마찬가지다. 부자 본인은 돈 고민에서 벗어나기 힘들다. 반면 부자의 가족은 돈 걱정 없이 누리는 삶을 살 수 있다. 부자보다 부자의 가족이 되는 게 더 편히 삶을 살 수 있는 방법이다.
그러니 더 이상 돈 걱정은 하고 싶지 않다는 이유로 부자가 되고 싶어하지는 말자. '부자가 되면 돈 걱정을 더 이상 안 하겠지'라고 생각하지도 말자. 보통 사람이든 부자든 돈 걱정은 누구나 다 한다. 애초에 부자의 가족으로 태어나지 않는 한, 돈 걱정에서 벗어나지는 못한다. 이건 인간의 숙명이라고 해야 하지 않나 싶다.

돈은 사람의 마음을 어떻게 움직이는가

최성락 지음
월요일의꿈 펴냄

1주 전
0
이서문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서문

@yiseomoon

그는 말한다. "이렇다 저렇다 말하기 전에 먼저 마셔보라구. 우리들이 하려는 일이 무언지 위스키를 마셔보면 알 수 있으니까."
분명 라프로익에는 라프로익만의 맛이 있었다. 10년 된 위스키에는 그것만이 가지는 완고한 맛이 있었고, 15년 된 위스키에는 15년 동안 숙성된 완고한 맛이 있었다. 모두 다 나름대로 개성이 있고, 사람들의 입맛에 맞추려는 경박한 알랑거림 따윈 느껴지지 않는다. 문장으로 치자면, 어니스트 헤밍웨이의 초기작에서 볼 수 있는, 예리하고 절제된 문체와도 같다. 화려한 문체도 아니고 어려운 단어를 사용하지도 않지만, 진실의 한 측면을 제대로 포착하고 있다. 누구의 흉내도 내지 않는다. 술을 만든 사람의 얼굴이 또렷이 드러난다. 음악으로 말하면, 조니 그리핀이 참여한 셀로니어스 몽크의 4중주. 15년 된 위스키는 존 콜트레인이 참여한 셀로니어스 몽크의 4중주에 가까울지도 모르겠다. 둘 다 놓치기 아까울 정도로 훌륭하다. 그때그때의 기분에 따라 기호가 달라질 따름이다.
"어느 한쪽이 좋다고 할 수는 없겠는데. 둘 다 맛이 훌륭해. 저마다의 성격이 palpable한걸(또렷이 느껴지는걸)" 하고 나는 솔직히 말했다.
그러자 이안이 처음으로 싱긋 웃었다. 그러고는 고개를 끄덕였다. "그렇지, 머리로만 이러니저러니 생각해선 안 되는 거야. 이런저런 설명은 필요없어. 가격도 상관없어. 대부분의 사람들은 싱글 몰트는 햇수가 오래될수록 맛있다고 생각하지. 하지만 그렇지 않아. 시간이 지나면서 얻는 게 있으면 잃는 것도 있게 마련이거든. 증류를 해서 더해지는 것이 있는가 하면 덜해지는 것도 있어. 그건 다만 개성의 차이에 지나지 않아."
이야기는 거기서 끝난다. 그것은 어떤 의미에서는 철학이고, 어떤 의미에서는 신탁이라 할 수 있다.

만약 우리의 언어가 위스키라고 한다면

무라카미 하루키 (지은이), 이윤정 (옮긴이), 무라카미 요오코 (사진) 지음
문학사상사 펴냄

2주 전
0

이서문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