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 팔로우
데미안의 표지 이미지

데미안

헤르만 헤세 지음
열린책들 펴냄

읽었어요
모든 인간의 삶은 저마다 자기 자신에게로 이르는 길이고, 그 길을 가려는 시도이며, 하나의 좁은 길에 대한 암시이다. 일찍이 그 누구도 완벽하게 자기 자신이 되지는 못했다. 그런데도 누구나 자기 자신이 되려고 노력한다.

우리는 서로를 이해할 수는 있다. 그러나 저마다 오직 자기 자신만을 해석할 수 있을 뿐이다.

나의 세계, 나의 즐겁고 행복한 삶이 어떻게 과거가 되고 어떻게 내게서 떨어져 나가는지 얼어붙는 심정으로 지켜봐야 했다. 그리고 내가 저 바깥의 어둡고 낯선 곳에 자양분을 빨아들일 새로운 뿌리를 어떻게 단단하고 깊게 내리는지 감지해야 했다. 나는 생전 처음으로 죽음을 맛보았다. 죽음의 맛은 씁쓸하다. 죽음은 탄생이며 섬뜩한 갱생에 대한 두려움이고 공포이기 때문이다.

내가 잘못을 저지르고 불행에 빠짐으로써 아버지보다, 선하고 경건한 사람들보다 더 높이 있다고 착각했다.

사람들이 자기 자신에게 이르는 길을 가는 것보다 더 거부감을 느끼는 것은 이 세상에 결코 없다는 사실을!

모든 것을 알고 모든 것을 원하고 모든 것을 우리 자신보다 더 잘하는 누군가가 우리 안에 있다는 사실을 알아 두면 좋아.

〈새는 알을 깨고 나오려 힘겹게 싸운다. 알은 세계이다. 태어나려고 하는 자는 세계를 깨뜨려야 한다. 새는 신에게로 날아간다. 그 신의 이름은 아브락사스다.〉

희열과 공포, 남자와 여자가 뒤섞여 있었으며, 더없이 신성한 것과 추악한 것이 한데 얽혀 있었고, 깊은 죄가 더없이 섬세한 무죄를 가르며 움찔했다.

그들이 그 가능성을 예감하고 또 어느 정도 의식하는 법을 배워야만 비로소 그 가능성의 진정한 주인이 될 수 있지요.

자연이 당신을 박쥐로 만들었다면, 스스로 타조로 만들려고 해서는 안 돼요.

우리가 어떤 사람을 미워한다면, 그 사람의 모습 속에서 우리 자신 안에 있는 무엇인가를 미워하는 거요. 우리 자신 안에 없는 것은 우리를 흥분시키지 않는 법이오.

나는 내 꿈속에서 살고 있는데, 네가 그걸 느꼈나 보지. 다른 사람들도 꿈속에서 살지만, 자기 자신의 꿈속에서 살지는 않아. 그게 다른 점이지.

누구에게나〈직분〉이 있지만 그 누구도 자신의 직분을 스스로 선택하고 규정하고 임의로 수행할 수는 없다는 인식이 여기에서 갑자기 맹렬한 불꽃처럼 나를 불태웠다.

각성한 인간에게는 자기 자신을 찾고 자신의 내면을 확고하게 다지고 결국 어디에 이르든지 간에 자신만의 길을 계속 앞으로 더듬어 나가는 것, 그 한 가지 말고 다른 의무는 결코, 결코, 결코 없었다.

그 자신의 책무는 임의의 운명이 아닌 자기 자신의 운명을 찾아내어 그 운명을 자신 안에서 흐트러짐 없이 끝까지 살아 내는 것이었다.

하지만 언제까지나 계속되는 꿈은 없어요. 어떤 꿈이든 새로운 꿈에 밀려나기 마련이죠. 어떤 꿈도 붙잡으려고 해서는 안 돼요.

우리의 노력은 점점 더 완벽하게 깨어 있음을 지향하는 반면에, 다른 사람들의 노력과 행복 추구는 자신들의 의견, 자신들의 이상과 의무, 자신들의 삶과 행복을 집단의 것에 점점 더 단단히 옭아매는 것을 지향했다.
0

Jiyeon Park님의 다른 게시물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 Jiyeon Park님의 다시 그리는 한국프로야구사 게시물 이미지

다시 그리는 한국프로야구사

박성환 지음
이후진프레스 펴냄

읽었어요
5일 전
0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 Jiyeon Park님의 타인의 집 게시물 이미지

타인의 집

손원평 (지은이)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p.249 나는 나이를 먹어도 지혜나 연륜 같은 건 터득하지 못하고 외로움과 아득함만 깨닫고 있었다.

p.262 부디 한 번 더 기회가 주어지기를. 햇볕을 쬐면 정화되기를. 경우 없는 세상에서도.

작가의 말
p.277 내가 들키지 않으려 노력하고 애쓸수록 미숙함은 쉽게 들통난다. 나이가 든다고 해서 저절로 성숙한 어른이 되는 것은 아니라는 걸 이제는 안다. 어른다운 어른이 되는 길은 여전히 요원하지만 그럼에도 시간은, 이전에는 미처 보지 못했던 풍경을 가만히 멈춰서 살필 수 있는 시선을 주었다.

경우 없는 세계

백온유 지음
창비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Jiyeon Park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