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평등주의자, 운동인권가인 점은 알겠다.
일정 부분은 동의하지만 비약이 심하거나 주장이 다소 강하다는 부분이 드는 곳이 많다.
다수의 당장의 현실과는 먼 얘기들도 있고 실례는 막상 많지 않았던 점이 아쉬웠다.
동의하는 부분
- 유머의 속성은 청중의 반응에 의해 성패가 좌우된다. 조롱하는 농담에 웃는 것은 동조, 웃지 않음으로써 괜찮지 않다는 메시지를 준다. (p98) - 웃음도 권력이라는 말이 생각났다.
- 대기업은 성소수자의 권리를 지지하는 사회활동에 앞장선다 (p203) - 돈이 되니까.
- ’결정장애‘ ‘병신‘ ‘바보’ 등의 단어를 일상적으로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p92)
- 2011년 부산의 사우나에서 외국인 생김새의 P씨를 외국인이라 에이즈에 걸렸을 수 있다, 손님들이 싫어한다 는 이유로 입장 거부 (p119) - 갖고 태어난걸 왜...?
어려운 부분
- 능력주의 관점으로 불평등을 정당하게 보아서는 안된다 (비정규직과 정규직 등) - 직급의 차이는 다르게 대우받아야 한다고 생각함.
- 비영어권 국가 출신 학생에게만 주어지는 시험시간 1.5배 혜택 (p110) - 그들이 영어를 더 잘 할수도? 자국생들 중 배움이 짧은 사람이 있다면? 정말 저자가 말한 것처럼 모든게 고려된 것이 맞을까?
- 트렌스젠더 화장실 (p180) - 트렌스젠더는 과연 그 화장실을 이용하고 싶을까? 효율적인가?
더 생각해보면 좋을 부분
- 장애인의 경찰 채용? - 모임: 가점은 반대, 사이버수사 등 쪽으로 재능이 있으면 특채는 가능
0
J.lee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