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캉디드 혹은 낙관주의
볼테르 지음
열린책들 펴냄
말로만 듣던 볼테르의 작품을 처음 접하게 되었다.
하지만 품었던 기대와 달리 이 책의 스토리 전개는 매우 당황스럽고 뜬금 없는 편이다.
위대한 사상가이자, 문학적으로 다재다능한 볼테르는 어째서 이토록 황당무계한 작품을 집필했을까?
책 읽는 내내 머릿 속을 떠나지 않았던 질문이다.
그래서 나는 당시의 시대상을 이해하는 것이 먼저라고 생각했다.
이 작품이 집필된 시기는 1758년으로 1789년 시민혁명이 일어나기 바로 직전 시기이다.
그 시기는 분명 구시대의 관습과 문화, 정치, 철학 등 모든 분야가 새롭게 등장한 사상으로부터 크나큰 도전을 받는 시기였을 것이다.
루소, 디드로, 몽테스키외와 더불어 계몽주의의 대표 철학자인 볼테르는 그러한 시대적 배경 하에서 이 작품을 집필했다.
일제 치하 우리나라의 문화 예술가들이 그러했 듯이 당국의 눈을 피해 구시대를 신랄하게 비판하고, 새로운 사상을 널리 전파하기 위해 문학작품 만큼 훌륭한 도구는 찾기 힘들었을 것이다.
모든 걸 여과 없이 받아들이는 순수한 청년 캉디드.
세상은 최선으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무조건 순응하라고 가르치는 스승 팡데르.
세상은 고통으로 가득하고 그러한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고 보는 철학자 마르틴.
수많은 우여곡절을 겪은 뒤 낙관주의자에서 현실주의자로 변모한 캉디드는 이렇게 말한다.
“지당하신 말씀입니다. 하지만 이제 우리는 우리의 밭을 갈아야합니다.”
부조리한 현실을 수용하고 일상에 최선을 다하라는 볼테르의 가르침은 21세기에도 여전히 유효한 것이 아닐까?
0
god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