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별을 쫓는 자들 1부 여정의 시작 4: 최후의 황야 (최후의 황야)의 표지 이미지

별을 쫓는 자들 1부 여정의 시작 4

에린 헌터 지음
가람어린이 펴냄

에린 헌터의 또다른 시리즈, <별을 쫓는 자들>을 계속 읽고 있다. 어느새 4권까지 출간되었지만 사실 3권까지 읽고난 후 다음 권을 기다리는 시간이 길고도 길었다. <살아남은 자들>을 읽을 때와 다르게 곰의 종류별로 주인공들이 등장해서 1권부터 마구 헷갈렸기 때문에 잊기 전에 빨리 다음 권이 나왔으면~ 했기 때문이다. 막상 4권을 읽기 시작하니 신기하게도 앞의 내용들이 모두 생각나기 시작했다.



이번 권에서 또하나 신기했던 것은, 지금까지 '그냥 그렇구나~'하고 넘어갔던 책 앞부분의 지도가 매우 유용했던 점이다. 흑곰과 갈색곰, 흰곰 무리가 지나온 각자의 여정이 갑자기 눈에 띄었던 건, 이들이 3권에서 거의 여정을 마친 듯 보였기 때문이다. 하지만 아직 끝난 여정이 아니라는 사실! 오히려 이들의 여행 목적이 두드러지면서 앞으로의 여정이 쉽지 않으리라는 것을 예견하도록 한다.



각자의 영역에서 각자의 이유(부모를 잃거나, 살 곳을 잃거나, 모험을 찾아서)로 떠난 길에서 하나, 둘씩 만나게 된 토클로와 어주락, 루사, 칼릭까지 3권의 끝에선 각자의 영역을 잘 지키면서도 모두가 바라는 땅 - "최후의 황야"를 찾은 듯 보였다. 하지만 그 약속의 땅을 찾았다는 건, 이제 곧 각자의 삶으로 돌아가야 한다는 뜻. 조금의 아쉬움과 망설임 속에서 이들은 또다른 시련을 맞딱뜨리게 된다.



어주락과 루사 사이엔 이미 꿈이나 들려오는 마음의 소리로 자신들의 사명을 어렴풋하게나마 인지하고 있는 상태였다. 하지만 다른 둘은 그저 친구들과 함께 하고 싶었을 뿐. 이제 이들은 그들의 삶을 망가뜨리고 삶의 터전을 잃게 한 실체를 마주하고 새로운 여정을 향해 나아간다. 이러니 다음 5권이 또 기다려질 수밖에.



4권에선 어주락의 변신이 무척 가슴아팠다. 자꾸 변신할수록 뭔가 잃는 것이 있을텐데 사명과 친구들을 위해 희생하는 어주락의 변신이 나중에 어떤 댓가를 치르게 할 것인지 벌써부터 마음아프다. 사실 어른이 읽는 <별을 쫓는 자들>은 에린 헌터의 기존 다른 시리즈와 마찬가지로 "환경"이라는 주제가 분명히 보이는데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고 나아갈 것인가 하는 점이 가장 기대되는 점이다. 해결이 가능할까, 어쩔 수 없는 것 아닐까라는 생각과 더불어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민에 고민을 거듭해 문제 해결을 해야 할 것이다. 앞으로의 또다른 여정이 가는 곰들의 몸을 너무 지치게 하지 않기를~!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지금도 잘 이용하고 있는 한 의류 어플 이벤트로 받은 책이다. 한동안 책장에 꽂혀 있다가 왠지 제목이 주는 "자유로움" 때문에 그래도 읽어봐야지~ 하고.... 지난 해 6월부터 읽기 시작. 생각보다 책은 두꺼웠고, 진도는 잘 나가지 않고... 그래도 굳이굳이 들고 끝까지 읽은 이유는, 뭐, 그 자유를 읽다 보면 나도 좀 배울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일말의 가능성 때문이다.



독일의 저널리스트인 마이케 빈네무트는 한 TV 퀴즈 방송 프로그램에 출연해 우승을 하게 되고 어마어마한 상금을 받게 된다. 그 많은 돈으로 무얼 할까 고민하다가 결심하게 된, 딱 1년 12달 동안 한 도시에서 한 달씩 살아보기를 실천하는 것! 마이케는 12 도시를 선정하고 자신이 우연찮게 가지게 된 돈을 그 여행에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배분한다. 물론 모든 도시에서 호화스럽게 사는 것이 아니다. 각 도시의 특성에 맞게 자기의 분수를 지켜가며, 단 이 돈이 없었다면 실행할 엄두도 내지 못했을 것들을 해보는 것이다.



설정부터 너무나 부럽다. 제주도 한 달 살기도 못하는 현실인데, 무려 12달 12도시 살기라니~! 책은 마이케가 그런 결정을 하게 된 이유에서부터 각 달 별로 살게 된 도시에서의 삶을 각각의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 형식으로 진행된다. 사실 처음 읽기 시작했을 때는 내가 가보지 못한 도시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을 줄 알았다. 그런데 마이케는 그 도시에 대한 설명보다는 자신이 그곳에 녹아들어 살면서 무엇을 느꼈는지에 치중한다. 그것은 내가 그곳에서 삶을 살지 않기게 공감하기 어려운 것들이다. 낯선 곳에서 느끼는 것들은 어느 정도 이해가 가지만 사람마다 성격이 다르고 문제 해결력도 다르니 역시나 이 정도의 설명만으로는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 수밖에 없다.



무척 아쉬운 책이었다. 읽는 내내 그저 그녀의 시간과 돈이 부러웠을 뿐이다. ㅎㅎ

나는 떠났다 그리고 자유를 배웠다

마이케 빈네무트 지음
북라이프 펴냄

1시간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처음 출간되자마자 너무 기쁜 마음에 구매해 놓고 구매한 사실을 까먹....ㅠㅠ

어느새 허옇게 바랜 책등을 발견...나 자신을 탓할 수밖에.

너무 놀라서 일단 읽겠다고 시작은 했으나 다른 급한 책들에 밀려 무려 4개월 동안 찔끔찔끔 읽었다.

단편선이어서 가능은 했지만 한 호흡으로 읽지 못해 거의 기억이 나지 않는다.

그저 한번은 읽었다는 것을 남기기 위해 씀.



우선 프루스트의 가장 유명한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를 읽지 못했고

읽고 싶은 생각은 있으나 너무나 어렵다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서 시작도 못하고 있다.

그 전에 미발표 작품들이 출간되었다고 해서 구입한 책이 바로 <밤이 오기 전에>



이 책은 프루스트의 습작들같은 느낌이 크다.

쓰다 만 듯한 단편도 있고 무엇보다 비슷한 결의 단편들이 이렇게 저렇게 시도된 듯도 보인다.

뒤쪽 해설을 보면 이 작품들로부터 결국은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로 연결된다고 하니,

아마도 많은 연습을 한 결과들이 아니었을지.



'우와'하면서 읽었던 단편도 있고, 뭐라냐~하면서 읽었던 단편도 있지만

좀더 나중에 시간이 나면 다시 한번 읽어야겠다...라는 생각으로 귀결.ㅠㅠ

밤이 오기 전에

마르셀 프루스트 (지은이), 유예진 (옮긴이) 지음
현암사 펴냄

5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세계사에서 프랑스는 중요한 지점을 차지한다. 유럽이라는 하나의 대륙 중간에 위치하지만 고유의 정체성을 지니고 매 기점에 혁명으로 나라를 일으켜 세운 나라이다. 가장 화려한 문화를 자랑하는 프랑스를 한 번쯤 여행해 보고 싶다는 사람들도 많을 것이다.



개인적으로는 세계사를 공부하다가 중요한 기점이 되는 프랑스가 궁금해져서 이 책을 선택했다. 하지만 막상 읽기 시작하면서 마냥 좋기만 했다고는 못하겠다. 우선 명칭이 많이 달랐다. 카롤루스나 피핀이라고 명명되던 고유명사의 명칭이 "샤를마뉴"나 "페펭" 등으로 기록되어 있으니 기존에 내가 알던 이름이 맞나~ 다시 확인하게 되는 작업이 꽤나 힘들었다. 시간 순으로 봤을 때 같은 인물이겠거니 생각하기는 했지만 역사라는 부분은 그냥 추측만으로 넘어갈 수 없기에 차라리 책에서 세계사 기준의 명칭을 괄호 안에 넣어줬으면 좋았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세계사 속의 프랑스사를 다루기보다는 프랑스만의 역사를 기술한 듯 보인다. 너무나 자세하고 세세한 역사 설명에 머리가 어지러워지기도 했다. 하지만 잘 생각해 보면 우리나라 역사를 공부할 때에도 세계사에선 나오지 않는 조선 왕조나 다양한 사건을 알아야 하니 어찌 보면 당연하게 느껴지기도 한다.



이 책에서 가장 훌륭하다고 생각했던 점은 "다른 시선"이다. 세계사 속에서 설명되었던 여러 사건이 프랑스의 입장에서 설명되고 있기 때문에 하나로만 보던 시각과는 다른 시선으로 바라볼 수 있는 기회가 된다. 또한 뒤편의 부록도 무척 알차보인다. 중간중간 페이지의 "역사 속의 역사" 코너도 전체 책을 읽으며 다소 부족해 보였던 부분을 채워주는 역할을 한다.



결국 <세상에서 가장 짧은 프랑스사>는 세계사를 공부하며 프랑스에 대해 궁금해져서 더 공부해보고 싶은 이들이나 이제 막 프랑스 관련 학과에 입학한 대학생들, 프랑스로 유학이나 이민을 가려는 사람들이 읽어보고 프랑스에 빠져보면 좋을 것 같다.

세상에서 가장 짧은 프랑스사

제러미 블랙 지음
진성북스 펴냄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