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희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동희

@yidonghee

+ 팔로우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상실, 사랑 그리고 숨어 있는 삶의 질서에 관한 이야기)의 표지 이미지

물고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룰루 밀러 지음
곰출판 펴냄

작가는 우생학의 신봉자 데이비드 스타 조던의
분류학의 연구내용을 쫓아가며
평생의 연구의 산물을
무의미하게 만드는 처절한 처벌을 내린다.

그리고 사소한 미물, 무가치해 보이는 민들레 조차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며
“이 세상에 중요한 것은 없다”고 말한 아버지에게,
화자는 “우리는 모두 중요하다”고 강변했다.
마치 엄청난 진실을 깨달은 것 처럼.

그런데 모두가 중요하다는 뜻은
결국 특별하게 중요한 것은 없다는 의미로
다가올 수도 있지 않은가?
아버지의 말처럼..

이 말대로라면 작가가 신봉하다가 경멸한
데이비드 스타 조던으로 대변되는
우생학자나, 사회의 파괴와 혼란을 일삼는
극우, 극좌의 세력들이나, 연쇄살인마 등도
평범한 시민들과 정말 차이가 없다는 말인가?

특정 시각, 관점 중심의 위계화된 질서를
부수어 나가는 모습에서 카타르시스를 느낄수도 있다.
다만, 그 과정에서 깨달은 본인의 성정체성을
타인으로 하여금 인정하게 하려는 수단
(이성애자와 양성애자는 없다?),
‘물고기’라는 분류의 고정관념을 없애는 방법으로
활용하려는 것 아닌가라는 의심이 든다.

어쨌든 조던은 살인마, 극단적인 우생학자이지만
그릿으로 대표되는 낙관적 결의, 믿음, 성질(?)은
대단하다고 느껴진다.
0

이동희님의 다른 게시물

이동희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동희

@yidonghee

한스에게 데미안 같은 친구가 있었다면
결말이 달라졌을까?

시골에서 상경해서 기숙사 고등학교에
진학했던,
그리고 그 수재들 속에서
난생처음 가위 눌리는 경험을 할정도로 스트레스 받던

고등학생의 내 모습이 떠올랐다.

나의 아이들의 두통에도 둔감해지지 않도록
지금부터 노력해야겠다.

고통을 감내하고 이겨내기만을 강조하기 않기를..

서울대 선정 문학고전 24

손영운, 헤르만 헤세, 백문호 (글), 전현경 (그림), 윤순식 (감수) 지음
채우리 펴냄

4일 전
0
이동희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동희

@yidonghee

돌고 돌아 결국 서로를 치유할 사람은
둘 밖에 없다.(본인들의 결론으로는)
다만 저들의 재회가 끝까지 행복할지는 확신이 없다.

곁에 있는 새로운 사람과 새로운 도자기를 빚는 것이
산산조각 난 크리스털잔을 붙이는 것 보다는
쉽지 않았을까 한다.

이들의 사랑은 또다시 같은 시험대에 오를 것이다.
같은 싸움과 갈등을 반복할 것이다.

첫사랑이 늘 그렇듯..

급류

정대건 지음
민음사 펴냄

6일 전
0
이동희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동희

@yidonghee

"우리의 심장은 너무 작아서 일정량 이상의 불행을 감당하지 못한다.
공감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그런 ‘역사적 시대’에 너무 많은 일이 벌어지기 때문이고,
우리의 마음이 당장 벌어지고 있는 일에서 잠시 떠나 아무런 감정도 일지 않는다면,
이는 그것을 감당할 힘이 부족하기 때문이지 선한 의지가 없어서가 아니다."

작가의 주장을 듣다보니 독일의 극우화된 현실을 외면하던 세계의 시민들이 겪어야 했던 고통들, 현실을 외면하던 프랑스의 낚시꾼들 등의 모습을 마냥 비난할 수는 없었다.

오늘날의 대한민국의 현실에 직면하며
광장에 나와 목소리를 높이는 좌우 양진영의 목소리와
이를 외면하며 뉴스를 꺼버리는 사람들이 있다.
저 독일과 오늘의 한국은 다르면서도 같다.

어두울 때에야 보이는 것들이 있습니다

슈테판 츠바이크 지음
다산초당 펴냄

1개월 전
0

이동희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