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사람과 사람 사이를 견고하게 만드는 일은 사람이 아닌, 동물이 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어떤 관계든 이어지는 줄(연결고리)이 있다. 박소영과 박수영은 '고양이'라는 줄로 아주 견고히 이어져 있다. 『자매일기』는 언니 박소영과 동생 박수영이 각자 쓴 일기를 볼 수 있는 에세이다. 언니와 동생으로 부르지 않는 박수영과 박소영이 친구처럼 지내게 된 계기, 가정환경, 집, 다이어트 등 다양한 이야기를 담았다. 모두 흩어져 있는 산만한 이야기라고 느낄 수 있겠지만 읽다보면 그렇지 않다. 자매는 "고양이"라는 굴레에서 서로의 이야기를, 자신의 이야기를 써내려 간다.
-제목에 대한 기대감
『자매일기』는 제목에서 기대한 것들과 사뭇 다른 이야기를 전한다. 책을 읽기 전, 기대했던 것들이 있다. 자매가 같은 이야기를 두고 다른 시점으로 이야기하는 게 궁금했고, 자매만이 가질 수 있는 생각들이 보고 싶었다. 나 또한 위에 오빠가 있고, 아래 여동생이 있는 남매의 형태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자매의 시선이 보고 싶었다.
그러나 책을 들여다보면, 자매의 가족 형태를 많이 이야기하지 않는다. 더군다나 가족에 대한 이야기만큼 고양이에 대한 이야기가 등장한다. 고양이 일기인지, 자매일기인지 헷갈릴 만큼. 기대한 것과 달랐지만 나에게 분명 이 책은 그 헷갈림이 사뭇 반갑게 다가왔다.
-고양이 일기
친구들에게 우리 집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가 있다. 그때마다 빠지지 않는 건, 반려견 몽이이다. 박소영 박수영 자매처럼 우리에겐 몽이야말로, 가족 내부를 끈끈하게 이어주는 줄이다.
가끔 우리 가족은 싸우거나 기분이 나쁘다는 표시로 방문을 소리 내어 쾅 닫는다. 그런데 그 방문 앞에 몽이가 낑낑대며 앉아있다면 불과 3분도 지나지 않아 무너진다.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는 잔뜩 부리는 자존심이 모두들 몽이 앞에서는 완전히 사라져 버리고 만다. 그렇기에 고양이로 이어지는 박소영과 박수영의 이야기에 고개를 끄덕이며 읽었다. 우리 가족이 몽이를 위해 같이 살고 있는 건지, 몽이를 제외한 우리 가족이 이 집에 먼저 살았었던 건 맞는지 자주 헷갈린다. 『자매일기』 자매 역시 일상을 이야기할 때, 관계의 줄(고양이)을 빼놓을 수 없었을 것이다. (만약 내가 동생과 함께 자매일기를 쓴다면, 의도하지 않아도 몽이 이야기가 80%를 차지해 버릴 것이다.)
-살아있는 것만으로 벅찬 존재
누군가는 고양이의 이야기가 많다고 타박할 수 있다. 그러나 나는 나를, 자매를, 우리를 이야기할 때 자연스럽게 튀어나오는 마음들이 담아져 있다고 이해했다. 그렇기에 『자매일기』는 무척이나 솔직하고 따뜻하다.
나는 『자매일기』를 읽은 한 독자로서, 자매를 잇고 있는 줄이 길어지길 바란다. 살아있는 것만으로 벅찬 존재들이 아주 오래오래 살아있고 건강하기를 기도한다.
0
고요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