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질그릇에 담은 보배
권수경 지음
복있는사람 펴냄
📘25#5 질그릇에 담은 보배
2025.01.10~02.07
⏩️질그릇 따위에 보배를 담아주신 영광을 알자!
✅요약
흔히 기독교적인 가치로 등장하는 믿음+소망+사랑을 주제로 하고 있다.
<믿음> 믿음의 내용은 오직 성경에 나온 하나님의 약속이고, 하나님이 우리 믿음의 대상이 된다. 독생자를 내어주신 하나님의 사랑을 믿고 용기를 가지고 세상을 살면 된다.
<사랑> 세상에서 힘이 되는 것들이 교회에서도 권력을 차지하는 일이 비일비재함을 지적하며 성경이 가르치는 낮아짐은 자신이 죄인이라는 것을 깨닫는 데 있고, 하나님과의 수직적인 관계를 우선으로 사람들과 수평적 관계를 맺어야 한다. 즉, 죄를 덮어주는 것이 마냥 사랑이 아니고 회개하도록 돕는 것이 참 사랑이다.
<소망> 현 이스라엘이 세워진 것이 하나님의 약속의 성취가 아니라, 십자가 복음을 유대인을 포함한 모든 민족에게 전하는 것이 교회의 사명임을 아는 것이 더 중요하다. 하나님의 주시는 은혜를 동력 삼아 심으며 거두기도 하는 원리 속에 살아야 한다.
✅느낀점
이렇게까지 많은 정보, 이렇게까지 어렵게 말을 할 필요가 있을까?ㅋㅋㅋ 나는 문장들을 천천히 꼼꼼하게 읽는 편이다보니 이런 입장 저런 입장을 계속 읽는 것이 피로하고 어려웠지만 드디어 완독했다는 것이 기쁘다!
1. 하나님은 우리를 자신의 형상대로 만드셨다면서 왜 우리를 질그릇으로 만드셨을까?
-질그릇은 흙으로 만든 그릇으로 다른 재료에 비해 제작자가 쉽게 주무를 수 있다. 즉 우리가 질그릇이라면 하나님의 주권이 그만큼 부각된다는 것이다. 우리의 연약함을 통해 하나님의 주권과 그 주권 속 사랑과 은혜를 보이는 것이다. (찬563: "내가 연약할수록 더욱 귀히 여기사 높은 보좌 위에서 낮은 나를 보시네")
-예수 그리스도 역시 가장 영화로운 존재가 인간의 몸을 입어 가장 천한 그릇에 담기셨다.
2. 들을 때마다 헷갈리는 예정론
-하나님의 예정은 구원의 초점을 맞추고 있고, 동시에 사람의 자유를 제한하거나 종속시키지 않는다. 그래서 친구를 전도할 때도 운명론적으로 구원의 여부를 따지기보다 "믿는 자는 구원받는다"라고 생각하며 악착같이 전도해야 한다. 그의 운명을 내가 아는 것이 아니니까?
3. 사랑할 수 있다는 건 하나님이 먼저 나를 사랑하셔서 내 죄를 덮어주셨다는 뜻이니 사랑은 내 형제의 많은 죄를 덮으면서 내 많은 죄 또한 덮였음을 확인해준다.
-하나님께서 우리를 먼저 받으셨기에 우리도 서로를 형제자매로 받아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내가 그 사람에게 원수가 되고, 하나님과 나 사이도 틀어질 수 밖에 없다.
4. 우리가 맺는 열매는 상속자로서 신분을 드러내는 증거다.
-하나님은 우리가 드리는 재물 뿐 아니라 기쁘게 드릴 힘까지 주셨다. 심으려 애쓰는 삶 자체가 거둠이 된다.
5. 우리가 한 것이라곤 죄 지은 것뿐인데 왜 이전보다 더 나은 것을 주시는지 우리로서는 알 도리가 없다. 그저 감사로, 찬양으로 받고 즐길 밖에. 그것이 우리의 소망이다.
-하나님은 첫 창조 때 창조주의 영광을 사람에 담으셨는데, 죄와 타락으로 사람이 천대받는 질그릇이 된 것이다. 하나님은 그런 우리를 용서하실 뿐 아니라 첫 창조 때보다 더 나은 존대, 하나님의 본성에 참여하는 존재로 변화시켜주실 것이다.
*차일: 바로 앞에서 이야기한 날 / 햇볕을 가리기 위해 치는 포장
*호격: 문장 안에서, 체언이나 체언 구실을 하는 말 뒤에 붙어 독립어 자격을 가지게 하는 조사 (철수"야")
*미드라시: (히) 성경주석의 설교 방식 (성경 해석)
*사변: 사람의 힘으로 피할 수 없는 큰 사건 / 생각으로 옮고 그름을 가려냄
*토색: 돈이나 물건 따위를 억지로 달라고 함
*계명성: 금성 / 닭의 울음소리
*재귀: 원래 자리로 되돌아가거나 되돌아옴
*도야하다: 도기를 만들고 쇠를 주조하다 / (비유) 훌륭한 사람이 되도록 몸과 마음을 닦아 기르다
*금과옥조: 금이나 옥처럼 귀중히 여겨 꼭 지켜야 할 법칙이나 규정
*대관절: 요점만 말하건대
*제유: 사물의 한 부분으로 그 사물의 전체를 나타내는 수사법 ("인간은 빵만으로 살 수 없다")
0
송하영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