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똑같이 하와이에 왔다고 해도 그 과정이 중요한 거야. 어떤 펭귄이 자기 힘으로 바다를 건넜다면, 자기가 도착한 섬에 겨울이 와도 걱정하지 않아. 또 바다를 건너면 되니까. 하지만 누가 헬리콥터를 태워 줘서 하와이에 왔다면? 언제 또 누가 자기를 헬리콥터에 태워서 다시 남극으로 데려갈지 모른다는 생각에 두려워하게 되지 않을까? 사람은 가진 게 없어도 행복해질 수 있어. 하지만 미래를 두려워하면서 행복해질 순 없어. 나는 두려워하면서 살고 싶지 않아.(p.160)
----------'----------'----------
예나가 한국을 처음 떠난 동기는 한국에서는 미래가 없다고 생각해서였다. 그래도 명문대는 아니지만 홍익대를 나왔고, 김태희만큼은 아니지만 외모가 못나지도 않은 것 같고, 강남은 아니지만 그래도 서울에서, 아파트는 아니지만 부모님과 자가에서 살고 있는데, 왜? 어찌 보면 평균보다 나은 조건인데 한국에서 살기를 포기한다.
무모하다 싶으면서도 한국보다 호주에서 사는 편이 낫겠다고 결정한 이상 구실이야 붙이기 나름이다. 한국에서의 삶에 지쳐서 호주에서는 이보다는 나으리라 하는 막연한 생각에 떠난 것이다. 한마디로, '쉽게' 결정하고 떠났다.
그리고 행복해지려고 다양한 시도들을 한다.
호주에서 어학원 과정을 들으면서 영어 실력을 키우려고 한국인이 없는 셰어하우스 거실에서 불편하게 지내기도 하고, 회계학 대학원에 등록해서 학위를 딴다. 잠시 한국에 귀국해 치른 아이엘츠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시민권을 따낸다. 시도는 쉬웠고 결과는 좋았으나 과정이 만만치 않았다. 텍사스 친구의 범법 행위에 연관되어 쉐어하우스에서 강제 퇴거를 당했고, 위조 지폐 문제로 법정에 서기도 했다. 인종차별은 기본이다.
호주도 한국 못지 않게 삶이 험했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삶이 '주어진 것'이었다면 호주에서의 삶은 '이루어낸 것'이었으므로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호주에서 살기로 결정한다.
인생은 길고 길은 많다. 다른 목적지로 가는 길도 있고, 같은 곳에 가는 길도 여러 개가 있다. 작가는 '현재 삶에 불만이 있다면 주저앉아 투덜대지만 말고 조금씩이라도 좋으니 앞으로 나아가 보자'라고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