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너 그 사람이랑 친해?"라고 묻는 질문에 우리는 망설인다. 친하다고 말할 수 사이인가, 아닌가. 그러나 그는 이렇게 대답한다고 했다. "난 걜 되게 아끼고 걜 되게 좋아해"(140813 푸른밤 종현입니다). 그 사람이 나를 어떻게 생각할지 몰라서 멈칫했던 순간들. 흔히 연애에서 상대가 나를 좋아하는지 고민하는 것처럼 우정에서도 언제나 조금씩 흔들렸고 심술 부린 날들.
『동경』은 여름에서 다시 여름으로 끝나는 시간 동안 아름, 해든, 민아의 성장과 우정을 담은 장편 소설이다. 자신이 누구인지 알기 위해서 "타인을 통해 나"를 보라는 말이 있다. 솔직하지만 자신에 대한 확신이 부족한 아름은 동경하는 해든과 민아를 보며 자기를 되돌아본다. 해든 또한 아버지 장례식장에 찾아온 아름과 아플 때 옆에 있어주는 민아를 보며 자신의 심술에 대해 생각한다. 홀로 아등바등 버텨왔던 민아는 조금씩 아름과 해든에게 기대기 시작하며 달라진다.
"도대체 나는 누구지. 그 사이에서 자신의 모습은 그 둘을 섞은 모습도 아니고 그저 여백으로 존재하는 것 같은 때가 있었다. 이제 나는 좀 나이고 싶어.(p.197)" 아름과 해든, 민아는 각자의 시선에서 둘을 바라보다가 비로소 "나"를 맞닥뜨리면서 카메라를 드는 아름이 되고, 이번 생은 최선이라고 답하는 민아가 되고, 다시 짓는 걸 찍을 거라 답하는 해든이 된다.
이를 직업적으로 조명하기도 한다. 인형 리페이팅을 하던 아름이 원하는 일을 하기 위한 선택을 하고, 직접 사진을 찍기 시작한다. 물론 이는 흔한 직업적 성장에 해당한다.
이렇게 『동경』은 뒷 이야기를 예상하게 만드는 흔한 서사가 등장한다. "아픈 가족 이야기"로 다른 장편들과 차별점이 없었다. 또한, 곳곳마다 감정이 과잉으로 느껴진 부분들(도자기 사건으로 인한 아름의 감정)도 있었으며, 후반부에 갈수록 분량을 늘리기 위한 마무리 서사(봄, 여름 편)로 느껴졌다.
그럼에도 『동경』은 오래된 카메라 속 문득 꺼내보며 웃는 얼굴들을 닮았다. 책상에 둔 액자에 있는 사진처럼 매일 보지는 않지만, 억지로 미소 지었던 카메라의 오랜 얼굴을 보면 왠지 어렴풋한 기억을 잡아버리는 것만 같다. 『동경』 역시 예상되는 성장 이야기에 불과하지만, 마음이 계속 가는 이유는 우리가 오래된 카메라의 사진을 보고 웃는 이유와 같을 것이다.
우정은 미끄럽다. 누군가와 부딪혀서 싸우고 혼자 넘어지기도 한다. 그러다 시간이 지나면 결국 넘어진 게 웃긴 추억이 되어버리는 것처럼, 우정은 시간을 쌓아간다. 상대방을 생각하느라 그 사람과 친한 사이냐는 질문에도 편히 대답 못하지만, 이제 그처럼 소심하게나마 걜 되게 아끼고 좋아한다고 대답할 수 있다.
0
고요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