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마사 & 겐 (미우라 시온 장편소설)의 표지 이미지

마사 & 겐

미우라 시온 지음
비채 펴냄

표지와 간단한 설명을 보고 고르는 책을 읽을 땐, 작가를 눈여겨 보지 않는 편이지만 그렇게 몇 권의 책을 읽은 후 같은 작가가 몇 번 겹치게 되면 자연스레 작가를 알게 되고 이젠 그 작가의 작품을 찾아 읽게 된다. 미우라 시온도 그런 작가다. 몇 번 제목이 눈에 띄어 읽게 됐는데 잔잔하면서 유머가 있고 따뜻함이 있어서 계속 읽고 싶은 작가.



이번에 만난 <마사와 겐>은 표지에서부터 확 잡아끌어당긴다. 아마도 윗부분을 장식한 겐지로의 일러스트가 너무나 강렬하기 때문일 것이다. 유가타를 입고 지팡이 같은 것을 들었는데 대머리 양쪽으로 빨간색 물을 들여 무척이나 강렬하다. 그런가 하면 아랫쪽의 구니마사는 젠틀한 양복을 쫙 빼입었지만 잔뜩 찡그린 표정이 무척이나 깐깐해 보인다.



그리고 이 표지는 이 둘을 아주 잘 설명하고 있다. 전혀 70대처럼은 보이지 않지만 70대인 마사와 겐은 어린 시절부터 친구다. 어느새 떨어질 수 없는 사이가 되었지만 청년이 되고 각자의 일을 하면서 잠깐 각자만의 삶을 살기도 한다. 하지만 노년에 들어서면서부터는 다시 서로가 서로를 보살피는, 완전한 단짝이 된다.



책은 이 둘의 환장 코믹 쇼이다. 표지 속 소제목처럼 "취미는 갑론을박? 특기는 화해!"로 만나기만 하면 으르렁~ 투닥투닥 다투다가도 어느새 서로가 진심으로 사과하고 문제 해결법도 찾아주며 여느 일상으로 돌아온다. 하지만 이 책이 그런 코믹하기만 한 일상만 보여주는 것은 아니다. 겐지로는 일찍 부인을 여의고 쓰마미 간자시의 직인으로서 제자에게 자신의 기술을 전수 중이다. 그런가 하면 구니마사는 일평생 은행에 매진했다가 은퇴 후 집에서 생활하던 중 아내가 딸네 집으로 가출한 후 혼자 지내고 있다. 책은 현실에서도 충분히 일어날 법한 노년의 삶을 가감없이 찬찬히 보여준다. 읽다 보면 구니마사 부인의 입장에 충분히 공감되지만 다소 처량한 구니마사의 일상에 슬퍼지기도 한다.



무엇보다 둘의 우정이 빛난다. 늙그막에 이런 친구가 곁에 살면서 서로 의지가지 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부럽기 그지 없다. "죽음"이나 "사후의 세계" 같은 것도 서로 의논하고 삶의 마지막을 정리해 나가는 둘의 모습이 잔잔한 감동을 불러일으키는 작품이다.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게시물 이미지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

김초엽 지음
허블 펴냄

읽고있어요
4시간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언젠가부터 "신카이 마코토"의 애니메이션이 인기를 끌었다. 아이들만을 위한 애니메이션이 아니어서 폭넓은 층을 확보하고 각 애니메이션에 대해 이러쿵저러쿵 말들이 많은 것 같았지만 대부분은 호평인데다 다들 한 번씩은 보고 싶다는 얘기들을 들은 터라 나도 한 번쯤은 보고 싶다~ 생각했다. 하지만 아직 초등생을 키우는 나로서는 영화관에 가서 나만을 위한 영화를 보기가 쉽지 않다. ㅠㅠ 그러다 캐이블 방송을 통해 보게 된 애니메이션이 <너의 이름은>이다. 좋았다.



보통 애니메이션이 원작인 경우, 애니메이션을 굳이 소설로 읽는 편은 아니지만 신카이 마코토 감독이 스스로 "소설"을 쓰기를 원했고 그렇게 각 애니메이션마다 소설이 출간되기도 했다는 사실을 알고 읽고 싶어졌다. 맨 먼저 접하게 된 애니메이션이 바로 <언어의 정원>



의외로 <언어의 정원>은 약 50분 분량의 애니메이션이라 한다. 시리즈 애니메이션을 극장판으로 만든 경우도 1시간에서 1시간 30분인데, 50분이 채 안 되는 분량이라니, 신기하다. 하지만 역시나 애니메이션으로는 다 풀지 못한 내용들이 있었는지 소설판에서는 애니메이션보다 훨씬 다양하고 풍부한 이야기를 담고 있다고 한다.



도시 한복판에 자리한 유료 공원의 한 정자에서, 한 소년과 한 여성이 만난다. 각자의 삶에서 도망치듯 자리한 곳에서 만난 이들은 남학생의 비가 오는 날만 학교에서 벗어나기로 했다는 스스로의 다짐에 따라 비가 오는 날에만 만나게 된다. 별 것 아닌 것 같았던 이들의 만남은 왠지모르게 서로의 아픔을 조금씩 치유하며 각자 앞으로 나아가게 된다. 하지만 소설에선 이 둘의 이야기 외에 다른 화자로 타카오의 형이나 어머니, 유키오와 얽혔던 여학생의 이야기, 혹은 유키오의 전 남자친구 등의 이야기가 번갈아가며 회자된다. 그렇게 각자의 이야기 속에서 독자는 전체 이야기를 아우르며 다각적으로 다가가게 된다.



내가 그림이나 영화보다 소설을 더 좋아하는 이유는, 읽어가며 나만의 방식으로 무한 상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정원 정자에 대한 묘사나 각 등장인물에 대한 외형 묘사가 있더라도 이들의 대사나 행동을 통해 나름대로 나마의 이미지를 만들어가며 읽다 보면 훨씬 다층적이고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그 묘미를 <언어의 정원>을 통해 더욱 느끼게 된 것 같다. 애니메이션 감독으로서 어떻게 연출하면 좋을지를 글로 옮기다 보니, 읽는 이도 저절로 더 많이 상상하게 되기 때문이다. 물론 영상으로 표현하면 더 간단하고 더 쉬울 수 있었던 복선이나 암시같은 것들에 대한 아쉬움은 남겠지만서도 읽는 이로서는 무척이나 즐겁게 읽었던 작품이다.

언어의 정원

신카이 마코토 (지은이), 김효은 (옮긴이) 지음
하빌리스 펴냄

3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이 후기는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하였습니다.



존 스타인벡은 <에덴의 동쪽>이나 <분노의 포도>로 유명하다. 1900년대 미국의 상황을 무척이나 사실적으로 그려낸 작가로, 퓰리처 상과 노벨문학상을 받았다. 사실주의 작가의 작품에서는 있는 그대로의 사회 모습을 보여줄 뿐 생각은 독자의 몫이다. 그런데 그가 두껍지도, 서사가 긴 장편 소설도 아닌, 지금까지와는 조금은 다른 작품을 쓰게 되는데 그 작품이 바로 <진주>다.



<진주>는 멕시코 원주민의 민담을 바탕으로 쓰여졌다고 한다. 본 이야기에 앞서 작가의 말인 듯 보이는 페이지에선, 작은 도시에 진주에 관한 이야기가 있다고, 그 이야기에서 진주를 어떻게 찾고, 어떻게 잃어버렸는지에 대한 이야기라고 알려주며, 선과 악, 흑과 백 그 중간이 없는 무척이나 극과 극인 이야기라고 한다. 그리고 이 이야기를 통해 "자기만의 의미를 찾아내고 자신의 삶을 거기에 빗대어 이해"(...7p)할 수 있을 것이라고.



그렇게 시작된 이야기는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소설이라기보다는 민담이나 동화에 가깝다. 하지만 원주민의 움집 묘사가 끝나가나 싶게 아이가 전갈에 물리는 사고로부터, 아이를 의사에게 데려가는 장면, 의사가 치료비가 있는지를 확인하고 치료를 거부하는 장면 등을 읽으며 독자는 곧 마음 속에 폭풍이 일게 된다. 이렇게까지 적나라하게 악한 것을 마주한 적이 있었던가! 그다음 이어지는 이야기는 더욱 가관이다.



어릴 적부터 "권선징악"을 책으로 배우며 자라난 아이는, 청소년기를 거치며 사회의 부조리를 목격하게 된다. 그 부조리를 바라보며 거긱에 물들지 않고 자신을 잘 조율하며 조금이라도 좋은 사회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는 것이 어른이라고 생각한다. 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통해 우리는 어른이라는 존재가 모두 선하거나 모두 악하지만은 않다는 사실을 깨닫지만 적어도 선해지려고 노력하는 존재들인 것만은 확실하다. 그런데, <진주>에서 그런 존재는 없다.



키노와 후아나, 아기 코요티토는 완벽하게 선한 존재다. 그런 존재는 결국 행복해져야 한다는 논리처럼 이들이 "커다랗고 완벽한" 진주를 발견하게 된다. 하지만 원주민들을 제외한 존재들은 완벽한 악의 존재들이다. 그러므로 그 진주로써 앞으로 무언가를 아는 존재가 되고 싶고, 좋은 옷을 입고 싶고, 더 나은 삶을 바라는 키노는, 여러 고난 앞에 흔들릴 수밖에 없다.



시작이 그랬던 것처럼 마지막 끝도 극적이다. 읽는 내내 화가 나고 끔찍한 감정을 불러일으켰던 이 동화는, 마지막에 더없는 슬픔과 그나마 선의 승리에 조금은 안심하게 된다. 작가가 말했던 것처럼 이 동화를 통해 무엇을 얻는지는 각자의 몫이다. 아마도 그동안 살아왔던 경험과 가치관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느껴질지도 모르겠다. 나의 경우, 그럼에도 불구하고 선함과 정의를 믿고 싶다. 한 명이라도 그런 생각을 품고 살아간다면 언젠가는 변하겠지...하는 믿음을!

진주

존 스타인벡 지음
문예출판사 펴냄

1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