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살아 있는 자들을 위한 죽음 수업
이호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_
그앓이로서 존경하고 애정하는 이호 교수님의 책. 그알 유튜브 속 교수님에게서 느껴지던 인문학의 향기가 이 책에서 진하게 묻어난다. 끊임없이 던지시던 농담은 쏙 빼고 진지하게 쓰셨다더니, 정말이네.
예전에 <형사 박미옥>을 읽으면서도 느꼈던 것인데, 진심을 품고 한가지 일을 오래한 사람들은 깊이 있는 성찰을 통해 어느새 철학자가 되어 있는 듯하다.
_
저자는 환자나 사망자 뿐만 아니라 그들의 가족들이나 참사 속 생존자들의 마음을 헤아린다. 믿기 어려운 현실을 조금씩 받아들이고 살아 있는 혹은 살아 남은 자들의 삶을 꿋꿋하게 살아가게끔 하려는 의사로서의 노력이 감탄스럽다.
_
법의학자들은 대형사고 속에서 시신을 수습하고 신원을 확인하는 역할도 하고 있기에, 대구 지하철 참사나 세월호 사건에서의 경험 또한 언급한다. 처벌 대상자를 가려내는 것뿐만 아니라 또 한가지 중요한 것은 ’객관적인 조사를 통해 문제의 원인을 찾고, 대안을 제시하고, 가이드 라인을 만들고, 적절한 예방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p.177)’는 교수님의 말에 십분 공감한다. 다양한 참사 속 유가족들이 일관되게 요구하는 것은 원인 규명과 이를 예방하는 시스템 마련이다.
_
📖 그런 경험은 '삶을 제대로 살아야 죽음도 제대로 맞을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으로 연결되었다. 단순하게 말하면, 잘 살아온 사람이 잘 죽는다는 것이다. 그럼 어떻게 해야 잘 살 수 있는 것일까? 제대로 된 죽음을 맞는다는 건 또 무슨 의미일까? (p.208)
_
📖 행복은 어떠한 조건을 충족하거나 현재의 고단함을 참아야 얻어낼 수 있는 목표가 아니라 그저 우리 삶의 끝에 다다르기까지의 매일매일 과정 속에 있을 뿐이다. 맛있는 음식 자체가 아니라 무얼 먹을까 고민하는 시간, 좋아하는 이들과 밥을 먹으러 가는 그 길에 행복이 있다. (p.216)
0
시린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