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너봉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너봉

@owner_bong

+ 팔로우
내가 빛나는 순간의 표지 이미지

내가 빛나는 순간

파울로 코엘료 지음
자음과모음 펴냄

읽고있어요
감정에 충실하기

여전히 울고 싶다면 눈물은 닦지 마세요.
여전히 알고 싶다면 해답에 만족하지 마세요.
아니요'라고 하고 싶은데 '네'라고 하지 마세요.
"가자'라고 하고 싶은데 있자'라고 하지 마세요.
0

오너봉님의 다른 게시물

오너봉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너봉

@owner_bong

  • 오너봉님의 말투 하나로 의외로 잘 되기 시작했다 게시물 이미지
'알고 있다'라는 말의 내면에는 독특한 쾌감이 숨어 있다. '나도 이미 안다'고 하면 알지 못하는 상대방은 나 보다 못났다고 상대를 깔보며 우월감을 맛볼 수 있다.
그러나 '나도 안다'라는 말을 자주 사용하면 '역시'라는 말투 이상으로 실패에서 배우는 공부를 할 수 없게 된다.

또 '나도 안다'라고 말하면 말할수록 분명 잘 알고 있는 간단한 일이 어려워져 해야 한다고 생각한 것을 실행 할 수 없게 된다.

'방을 어지럽히면 안 된다는 건 나도 알고 있어'라고 말하는 순간, 방을 정리하는 간단한 일에 엄청난 심리적 장벽이 쌓인다. 알고 있으니까 나중에 해도 된다는 심리가 작용하기 때문이다.

이렇게 '알고 있다'라고 말해버리면 자기가 대단한 사 람처럼 느껴지는 한편, 방바닥에 떨어진 휴지를 줍는 일 조차 미루게 되어 방이 점점 지저분해진다.
이런 악순환이 더 많은 부정적인 말투를 만들어내고 그 말들은 마음속에 그대로 굳어진다.

말투 하나로 의외로 잘 되기 시작했다

오시마 노부요리 지음
위즈덤하우스 펴냄

읽고있어요
1주 전
0
오너봉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너봉

@owner_bong

  • 오너봉님의 내가 빛나는 순간 게시물 이미지
꿈을 죽이는 세 가지 변명

첫번째 변명은 “시간이 부족해"입니다.
엄청나게 바쁜 사람일수록 가까이에서 보면 할 일을 모두 하며 지냅니다. 시간이 부족하지 않은 것이지요. 보통 할 일 없는 사람이 늘 피곤해하고 작은 일에도 집중하지 못합니다. 매일 하루가 짧다고 투덜대기만 하고요. 실은 살면서 마주하게 되는 '멋진 싸움'을 피하는 것입니다. 두렵기 때문이죠.

두번째 변명은 "지금도 괜찮아"입니다.
인생이 위대한 모험이라는 생각은 못 한 채, 별 고민 없이 자신이 가장 현명하고 공정하고 옳다고 생각합니다. 그렇기에 승패를 떠나 '멋진 싸움'이 주는 큰 기쁨과 즐거움을 알 도리가 없습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우리의 꿈을 죽이는 세번째 변명은
"평화로워"입니다. 일요일 오후에 느끼는 평온함에 만족해버리는 것이지요. 원대한 꿈 같은 것은 아예 없고 주어진 것만으로 충분하다고 느낍니다.
자신은 더 이상 철부지가 아니라고 하면서요. 그러다 친구가 새로운 삶을 원한다는 말을 하면 화들짝 놀라고 맙니다. 실은 알고 있습니다. 자신이 꿈을 포기했다는 것, '멋진 싸움'을 피했다는 것을 말 이죠.

꿈을 포기하면 아주 잠깐은 평화로울 것입니다. 그러나 곧 몸과 마음은 병들게 됩니다. 주위 사람에게 독하게 굴 다가 끝내는 스스로를 파괴해버리겠죠. '질까 봐, 좌절할까 봐' 같은 비겁한 마음 때문에 '멋진 싸움'을 피한다면 결과는 참혹할 뿐입니다.

내가 빛나는 순간

파울로 코엘료 지음
자음과모음 펴냄

읽고있어요
2주 전
0
오너봉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너봉

@owner_bong

  • 오너봉님의 지금 하지 않으면 언제 하겠는가 게시물 이미지
우리의 삶은 대체로 한 편의 시리즈와 비슷하다.
대학에 들어가고, 직장에 들어가고, 돈을 벌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그다음에는 무엇무엇을 하고•••
모두가 이 정해진 길을 묵묵히 가는 게 인생일 수 도 있다. 다만 이 운명 같은 길을 걸을 때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고 벤은 말한다.

"한 지점을 통과하면 다음 지점이 나타나는 직선적인 삶을 피할 수 없다면, 우리는 인생에서 소중한 것들은 '병렬 처리'되어야 한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건강, 인간관계 등은 하나를 해치운 후 다음 것을 해치우는 순차적인 방식으로는 얻을 수 없는 가치다. 소중한 것들은 나중에 몰아서 한꺼번에 시간을 낸다고 이룰 수 있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4년 동안 아내에게 소홀히 해놓고 '자, 이제 먹고살 만해졌으니 가족에게 충실해볼까?'라고 생각할 수는 없다. 건강이나 체력도 마찬가지다. 한 가지 목표에 집중하는 동안에도 삶의 다른 중요한 일에 매일 시간을 쏟을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성공은, 성공한 후에 찾아오지 않는다.
성공은 '동시적인 상태'다.
열심히 일하며 꿈을 향해 뛰는 동시에 가족과 따뜻한 대화를 나누고, 땀흘리는 운동을 하고, 소중한 사람들의 안부를 챙기고, 좋은 책을 읽고, 깊은 잠을 자는 것이다.

지금 하지 않으면 언제 하겠는가

팀 페리스 지음
토네이도 펴냄

읽고있어요
3주 전
0

오너봉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