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팔로우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쇼펜하우어 아포리즘)의 표지 이미지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아르투어 쇼펜하우어 지음
포레스트북스 펴냄

읽고있어요
공감, 연대, 다정함 같은 키워드로 분류되는 책들을 읽다가 쇼펜하우어의 책을 읽으니 온탕에서 냉탕으로 옮겨진 기분이다. 이렇게 차갑고 딱딱할 수 없다. 정신이 번쩍 드는데 '핵매운맛'이 아닌 '핵냉한 맛'이라고 해두자. 냉철한 이성으로만 가득하다.

고독하게 지성의 칼날을 갈며 살았던 철학자.
몇 개의 문장만 소개하자면,
- '나는 나로서 존재한다. 이 세상에 나 이상의 존재는 없다.'
- 산책의 동료는 '고뇌'로 족하다.
- 사랑이야말로 한 사람의 일생을 추락시키는 가장 근원적인 불행이다.
- 장수한 사람들이 살아온 시간을 열거하자면 공동품 가게의 진열대에 올려진 먼지 쌓인 상품이다. 지겨운 싸구려 동화책이다.
- 인간은 이기적이고 이기적이기 때문에 도태를 면할 수 있었다. 선한 인간이 가능할까?

등등.

전부는 아니지만 상당 부분 이해된다.
일이 잘 풀리지 않는 내 처지를 두고 '힘들지? 토닥토닥. 내가 옆에서 힘이 될게.' 같은 다정한 말은 나를 제자리에 머물게 하지만 '인생이 쉬운 줄 알았어? 엄살 부리지 말고 일어나 뛰어!'라는 말을 들으면 일어나는 시늉이라도 하게 되니.

헛된 희망을 버리고 살면 애초에 희망이 없었기에 절망도 없다. 기뻐도 덜 기쁘고 슬퍼도 덜 슬프다. 분노? 억울할 것도 없는데 분노는 무슨. 홀로서는 방법이다. 각자도생의 시대를 살아가는 또 하나의 방법이랄까.
인생은 고통이라는 점에서 불교의 교리와 공통점이 많다. 새옹지마의 고사도 떠오르고.

<당신의 인생이 왜 힘들지 않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힘듦은 인생의 디폴트다.
0

새벽빛님의 다른 게시물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까멜리아 싸롱 게시물 이미지
"네가 너를 키워가면서 알아내야 해. 네가 어떤 꽃인지, 어떻게 피어날지, 얼마나 아름다울지. 세상의 예쁜 것들을 너에게 주렴. 물 같은 교양을, 바람 같은 사유를, 햇살 같은 마음을 자신에게 주면서 너답게 살아."라고 딸에게 얘기해줘야겠다.

까멜리아 싸롱

고수리 지음
클레이하우스 펴냄

7시간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까멜리아 싸롱 게시물 이미지
이 소설에서는 죽은 자들이 까멜리아 싸롱을 거치며 과거를 돌아보고 타인과 서로 알아가는 시간을 갖게 되는데, 이들에게도 시간이 필요했다.

📖 자신이 어떤 존재인지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지 어딜 가야 하는지 충분한 시간을 들여 알아가야 하죠.(48쪽)

많은 사람들이 어떤 처지에 있든 공감할 수 있는 말일 것 같다.

갑자기 나쁜 상황에 닥친 사람에게도, 학교나 회사에서 새로운 나날을 앞두고 있는 사람에게도, 그런 사람들과 일하게 되는 사람에게도.

까멜리아 싸롱

고수리 지음
클레이하우스 펴냄

2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책 읽어주는 남자 게시물 이미지
'나'와 한나가 어떻게 화해할 수 있을까에 초첨을 두고 읽었는데 끝끝내 한나가 죽은 뒤에야 그녀를 그리워하고 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결말이 너무나 슬펐다. 한나는 줄곧 그에게서 편지를 받기를 고대하고 있었다. 너무 늦지 않았을 때 답장을 써 주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이 소설을 나이 차가 많은 남녀의 연애소설로 읽어도 좋지만, 부모와 자식의 세대 갈등에 관한 소설이라고 읽어도 좋다. <1부>에서 한나가 미하엘을 씻겨 주고 같이 자는 모습이나, 둘이 갈등이 있었을 때 일방적으로 미하엘이 한나에게 사과하고 한나가 용서하는 모습은 어린아이와 어머니의 관계와 같다. 미성숙할 때의 어린 자식은 양육자를 떠나 살 수 없다. <2부>에서 미하엘이 한나와 거리를 둔 채 과거를 객관적으로 보며 죄를 묻는 장면은 사춘기 시절의 자녀와 양육자와 같다. 양육자는 무기력하게 지금까지 살아왔던 삶의 태도를 자녀에게 재단당한다. <3부>에서는 양육자가 자녀로부터 이해받기를 고대하지만 자녀들은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에야 그리워하고, 잘못한 것을 뉘우치고, 뜻을 받든다.

부모-자녀에서 나아가 이전 세대와 현 세대 집단의 갈등으로 보아도 좋다. 집단의 갈등은 사회의 불안을 야기하고, 개개인에게 스트레스가 되는데 이 작품은 두 집단이 서로를 알려고 노력하는 데서 해결방안을 찾는다. 한나가 글을 알고 책을 읽었듯이, 미하엘이 늦게나마 생각하고 생각해서 이야기를 되돌아오게 한 것처럼. 그러나 앞에서 말했듯이 한나가 죽고 난 뒤에야 그리움에서 이해가 시작된다는 점은 비극이 아닐 수 없다.

너무 늦기 전에 타인을(혹은 타집단을) 이해하고 관계를 개선할 수 있을까. 그건 우리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다. 우리가 다 이해할 수는 없어도, 가까이 다가가려는 노력만으로도 남은 인생을 충만하게 살 수 있으리라.

"오고 싶거든 언제든지 오너라."
- 180쪽, 아버지가 '나'에게

https://m.blog.naver.com/snoopy701/223763968835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시공사 펴냄

읽었어요
6일 전
0

새벽빛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