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팔로우
블랙 스완 (위험 가득한 세상에서 안전하게 살아남기)의 표지 이미지

블랙 스완

나심 니콜라스 탈레브 지음
동녘사이언스 펴냄

이 책을 중간 정도 보았을 시점인 2024년 12월 3일, 비상계엄이 선포 됐다.

직장 동료들과 회식 도중 누군가가 비상계엄이 선포되었다고 말했는데, 그 자리에 있던 어느 누구도 그 말을 믿지 않았다.

그야말로 상상할 수조차 없었던 사건이 터진 것이었다.

나는 그 순간 검은백조가 나타났음을 직감했고, 이 책에 매료되지 않을 수 없었다.

저자는 우리가 사는 세상을 규모불가변성을 대변하는 평범의 왕국과 규모가변성이 존재하는 극단의 왕국으로 구분한다.

쉽게 말해 체중, 키, 나이, 식당이나 극장에 설치된 좌석처럼 한계가 있는 세상이 평범의 왕국이고, 음반이나 도서 판매지수, 주식시장, 금융시장처럼 수치가 어느 한쪽으로 급격히 치달을 수 있는 세상이 극단의 왕국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 세상에 살고 있는 것일까?

저자는 둘 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삶의 대부분이 평범의 왕국에서 이뤄지는 까닭에 많은 사람들은 극단의 왕국에서 벌어지는 일들을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이다.

저자는 소위 전문가로 칭송받는 경제학자, 금융전문가, 주식시장 애널리스트들이 심각한 오류를 저지르고 있다고 비판한다.

왜냐하면 그들은 과거 데이터를 토대로 섣불리 미래를 예측하고, 평범의 왕국에서만 통하는 측정도구(가우스 분포곡선)를 극단의 왕국으로 가져와 서슴없이 사용하며, 정규분포선을 벗어나는 사건에 대해서는 철저히 무관심하고 배타적이기 때문이다.

하지만 극단의 왕국엔 한계가 없다.

100년에 한 번 나올까 말까한 대폭락,

1000년에 한 번 나올 수 있는 대홍수,

1만년에 한 번 일어날 가능성이 있는 대지진과 쓰나미 등.

극단의 왕국에서 과거 데이터는 무용지물이며, 다음 강자에게 자리를 내어 줄 올림픽 신기록처럼 잠시 머물러 있을 뿐이다.

이 책을 읽다보면 어쩔 수 없이 투자 비관주의에 빠질는지도 모르겠다.

저자 또한 그 점을 예상하고 독자들에게 조언을 건네는데, 저자가 건네는 해법은 90%의 자산은 안전자산에 투입하고, 나머지 10%를 최대한 공격적으로 운용하라는 것이다.

나는 자산규모가 작기 때문에 그 뜻에 따를 생각이 없지만, 세상을 바라보는 시야를 넓혀준데 대해서는 깊이 감사한다.
1

god님의 다른 게시물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솔직히 말해 좀 지루했다.

왜냐하면 내가 좋아하는 TV 프로그램 중 하나인 “나는 자연인이다.”의 19세기 버전이 이 책에 실려 있을 거리 믿어 의심치 않았기 때문이다.

돌이켜 생각해 보면 그 땐 왜 그랬는 지 모르겠다.

물론 자연에 묻혀 살아가는 일상이 어느 정도 담긴 것도 사실이지만 이 책 전체를 관통하는 핵심 주제는 그 보다 훨씬 고차원적인 개념이다.

쉽게 말해 저자 스스로 굳건히 확립한 철학 이념과 그것을 실천함으로써 얻은 깨달음.

저자는 그 깨달음을 당시 사람들에게 납득시키고자 끝없이 발버둥친다.

내가 생각할 때 저자가 특별히 강조하는 이념의 중추는 인도의 고전 철학이다.

‘생존을 위한 최소 조건만 충족되면 그것으로 족하다.’

‘그 이상의 물질적인 것을 탐하는 것은 스스로를 노예로 만드는 것이다.‘

‘우린 모두 자연에서 왔고 또 자연으로 돌아갈 것이다.’

‘스스로의 내면을 탐구하면 진정한 삶의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저자가 하고자 하는 말을 대강 내 생각대로 간추리는 도중 불현듯 이런 궁금증이 떠올랐다.

어마어마한 부자가 생각하는 삶의 의미는 무얼까?

더 이상 떨어질 곳이 없는 밑바닥에 떨어진 사람의 생각은?

그야말로 하늘과 땅 차이가 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또 하나의 질문이 따라 붙는다.

그렇다면 둘 중 진짜는 무엇인가?

부자와 거지, 둘 중 누가 진짜 삶의 의미를 꿰뚫었다고 할 수 있는가?

헨리 데이비드 소로가 월든 호수 근처 숲에서 2년 여를 보내며 얻은 깨달음.

아마도 그 깨달음이 이에 대한 답이 될는 지도 모르겠다..

월든

헨리 데이비드 소로 (지은이), 정회성 (옮긴이) 지음
민음사 펴냄

2일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 god님의 돈의 심리학 게시물 이미지
나는 네가 성공하기를 바라고, 네 힘으로 그렇게 되기를 원한다. 하지만 모든 성공이 노력 덕분도 아니고 모든 빈곤이 게으름 때문도 아니라는 사실을 꼭 알아두어라. 너 자신을 포함해, 누군가를 판단할 때는 이 점을 반드시 기억해라.

-아들에게 쓴 편지

돈의 심리학

모건 하우절 (지은이), 이지연 (옮긴이) 지음
인플루엔셜(주) 펴냄

읽고있어요
3일 전
0
god님의 프로필 이미지

god

@godd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 이후 벌어지는 일들이 펼쳐지는
이 작품은 저자가 자전적인 소설이라는 점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탓에 앞 선 두 작품의 후속작은 아니라고 한다.

하지만 이 작품엔 진실과 허구가 고루 섞여 있어 후속 작품으로서의 가치 또한 충분히 내포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살아가는 방식과 관습, 문화가 전혀 다른 집안으로 시집간 주인공이 겪는 애환과 갈등이 이야기의 주를 이루는 한편, 전편에도 언급된 적이 있는 첫사랑과의 해후는 인간의 본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냄으로써 약간의 스릴과 긴장감도 선사한다.

박완서 작가의 글은 참으로 정겹고 구수하면서도 솔직하다.

앞 선 두 작품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와 ‘그 산이 정말 거기 있었을까?’에 이어 ’그 남자네 집‘까지 다 읽고 보니, 나도 모르게 박완서 작가의 삶 전체를 슬쩍 훔쳐 본 기분이다.

정말이지, 행복한 시간이었다.

그 남자네 집

박완서 지음
세계사 펴냄

4일 전
0

god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