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ucy님의 프로필 이미지

Lucy

@lucyuayt

+ 팔로우
물을 수놓다 (데라치 하루나 장편소설)의 표지 이미지

물을 수놓다

데라치 하루나 지음
북다 펴냄

읽었어요
“분명 먹고 살기 힘들지도 모르지. 기요는 앞으로 좋아하는 일에 매달리다가 가난하게 살지도 몰라.”
어머니의 말을 듣는 것만으로 비참한 어른이 된 기요스미의 모습이 상상되었다. 집도 없이 pc방 파티션 안에서 컵라면을 후룩거리는 기요스미. <식용 야생초> 같은 제목의 책을 도서관에서 빌리는 기요스미. 공원 수돗가에서 챙겨 간 페트병에 물을 담는 기요스미. 상상만 해도 눈물이 났다.
“나는 그걸 인생의 실패라고 생각하지 않지만, 그걸 실패라고 한다면 드 애한테는 실패할 권리가 있는 것 아닐까?”
실패할 권리. 들을 때마다 일말의 서운함을 느꼈다. 세상의 일반적인 기준으로 비춰볼 때 이 사람은 분명 훌륭한 어머니겠지만.
“내일 강수확률이 50퍼센트라고 치자. 너는 기요가 걱정되니 우산을 챙겨 가라고 하겠지. 그다음부터는 그 애 문제야. 무시하고 비에 젖거나 감기에 걸려도 그건 그 애 인생이야. 앞으로 감기에 걸리지 않기 위해 어떻게 하면 좋을지 고민할지도 모르고, 어쩌면 비에 젖는 것도 제법 기분 좋을지도 몰라. 네 말을 듣고 우산을 챙겨 갔어도 날이 맑을 가능성도 있고. 그 애한테는 실패할 권리가 있단다. 비에 젖을 자유가 있어. ...그런데.”
그런데. 고개를 숙이고 있어서 어머니가 그 말을 어떤 표정으로 말했는지 모른다.
“네 인생은, 실패한 인생이었니?”

“아까 주운 돌도 다듬을 거야?”
구루미는 잠시 고민하다가 이건 아마 안 다듬을 거야, 라고 대답했다.
“다듬에지는 게 싫은 돌도 있거든. 이 돌은 매끈매끈 반짝반짝해지고 싶지 않다고 말하고 있어.”
돌에게는 돌의 생각이 있다. 진지한 얼굴로 농담 같은 소리를 하는데, 무슨 뜻인지 모르겠다.
“돌이 뭘 생각하는지 알아?”
“그건 아니지만 항상 알고 싶어. 게다가 꼭 반짝반짝해야 예쁜 게 아니잖아. 울퉁불퉁 거친 돌의 아름다움이란 것도 있으니까. 그런 점은 존중해 줘야지.”

교과서를 깜빡 잊었을 때 편하게 빌릴 상대가 없으면 불안하다. 혼자서 도시락을 먹는 건 쓸쓸한 일이다. 하지만 외로움을 감추기 위해 좋아하는 일을 좋아하지 않는 척하기는, 좋아하지 않는 것을 좋아하는 척하기는 훨씬 더 쓸쓸한 일이다.
좋아하는 것을 추구하는 것은 즐거운 동시에 몹시 고통스럽다. 그 고통을 참을 각오가 내게 있을까.

“할머니에게 귀엽다는 건 뭐야?”
그러게. 할머니는 뺨에 손을 대고 한참 생각했다.
“기운이 나는 것. 기운 나게 해주는 것. 귀여운 게 싫다, 미오는 그렇게 생각할 수 있지. 누구나 똑같은 ‘귀여움’을 추구할 필요는 없으니까.”

“흐르는 물은 결코 썩지 않는다. 항상 움직인다. 그렇기에 청정하고 맑다. 한 번도 더럽혀진 적 없는 ‘청정함’은 아니다. 계속 나아가는 것, 정체하지 않는 것을 청정하다고 부르는 것이다. 앞으로 살아가는 동안 많이 울고 상처 입을 테고, 억울하고 부끄러운 일도 있겠지만 그래도 계속 움직이길 소망한다. 흐르는 물처럼 살아다오. 아버지가 할 말은 이상입니다.”
0

Lucy님의 다른 게시물

Lucy님의 프로필 이미지

Lucy

@lucyuayt

“그래도 마찬가지였을 거야. 어차피 나는 주위에서 고립되었을 거고, 호소오가 소년원에서 나오면 다시 사귀었을 테니까 결과는 달라지지 않았을 거야.”
요리코가 어리둥절한 표정으로 나를 쳐다보았다. 사토코가 말했다.
“결국 인간이 누군가의 인생을 바꾼다는 건 불가능해.”

인플루언스

곤도 후미에 지음
북플라자 펴냄

읽었어요
1개월 전
0
Lucy님의 프로필 이미지

Lucy

@lucyuayt

당신은 알까? 나는 여전히 그곳에 가.
하루도 빠짐 없이.

여전히 나는

다비드 칼리 지음
오후의소묘 펴냄

읽었어요
1개월 전
0
Lucy님의 프로필 이미지

Lucy

@lucyuayt

“다 내 잘못으로 벌어진 일이야. 그러니 남 탓도 할 수 없고.”
“그래도 ‘성취하려던 뜻을 단 한 번의 실패 때문에 저버리면 안 된다’라는 말도 있잖아요.”
“그게 대체 무슨 소리야?”
이 애는 가끔 요상한 말을 입에 올린다.
“격언이요. 어렸을 때부터 격언을 무지 좋아해서 뭔가 도움이 되겠다 싶으면 모조리 적어두는 습관이 있거든요. 물론 경우에 안 맞는 격언을 인용해서 여기 마스터한테 웃음거리가 되는 일도 많지만. 방금 그건 셰익스피어.....였나? 아무튼 한 번 실수했다고 그대로 포기하지 말라는 뜻이잖아요. 그러니까 아저씨도 새로 시작하면 된다고요.”
“새로 시작하다니, 무리야.”
“단칼에 잘라버리네.”
아야코가 웃었다. 표정이 수시로 바뀐다.
“그래도 저는 그런 생각이 항상 들더라고요. 뭔가 삐걱거리고 잘 안되는 일이 있을 때도 있지만, 언젠가는 그런 실패도 소중한 경험이 될 거라고, 게다가 새로운 일을 시작할 때는 귀찮은 것도 많지만 막 기대되고 설레기도 하잖아요.”
“긍정적이네.”
“유일한 장점이죠. 3년 전에 엄마가 돌아가셨을 때는 정말 넋이 나간 애처럼 지냈는데 계속 그런 식으로 살면 안 되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그렇군.”
커피잔은 내려다보면서 내가 중얼거렸다. 아무래도 사나에는 대단한 딸은 둔 모양이다.
“네. 그러니까 아저씨나 저나 너무 열심히는 말고, 적당히 열심히 살아요. ‘세상은 아름답다. 싸울만한 가치가 있다’라는 말도 있으니까요. 이건 미국의 대작가인 헤밍웨이의 말이에요.”
그녀는 그런 격언을 내뱉으며 손가락으로 V자를 만들어 보였다.

기적을 내리는 트릉카 다방

야기사와 사토시 지음
문예춘추사 펴냄

읽었어요
3개월 전
0

Lucy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