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읽을 만한 책이 있나 살펴보다 낯익은 제목에 손이 나갔다.
그런데 맙소사…
이런 귀한 책을 이제야 읽게 되다니!
이렇게 장탄식을 쏟은 이유는 스토리가 재미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간 잊고 지냈던 철학적 사유, 그러니까 실존에 관한 질문을 내게 다시 상기시켜주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책을 고를 때와 달리 마지막 문장을 읽고 나서도 ‘달과 6펜스’라는 제목의 의미를 전혀 깨닫지 못했다.
그러다 작품해설에서 그 함의를 깨닫게 되었는데, 그걸 깨닫고 나니 이 책은 물론 저자 또한 더 위대하게 느껴졌다.
해설에 따르면 달은 정신을, 6펜스는 물질을 표현한 것이라고 한다.
짧게 덧붙이자면 과거 영국에 6펜스 짜리 동전이 있었는데, 이 동전이 우리나라의 100원처럼 매우 흔하게 쓰였다고 하니 물질의 대표로 손상이 없어 보인다.
제목에 대한 이야기는 이쯤에서 마무리하고 아주 간략하게나마 이 책의 줄거리를 소개할까 한다.
주인공 스트릭랜드는 폴 고갱을 모티브로 한 가상의 인물이며 거칠고 무뚝뚝한 중년 남자이다.
그는 어느날 불쑥 아내에게 이별을 통보하고 가출을 단행한다.
편안하고 안락한 현실을 스스로 걷어차 버리고 굶주리고 고통받는 고난의 길로 들어선 것이다.
가족을 내팽겨치고 프랑스로 건너간 그는 허름한 집에 틀어박혀 매일 그림만 그린다.
그는 누구의 도움도 바라지 않는다.
마치 그것이 자신의 운명인듯 그림 이외에는 관심을 두지 않는다.
비참한 생활 속에서 가까스로 굶어 죽을 고비를 넘긴 그는 어찌저찌하여 타히티라는 섬에 도착해 원주민 처녀와 결혼도 하고 그림도 원없이 그리며 잠시나마 행복한 시간을 보낸다.
그러다 시간이 흘러 나병에 걸리게 된 그는 병으로 눈이 멀었음에도 그림 그리기를 멈추지 않는다.
그리하여 방 안에 아름다우면서도 기이한 벽화를 그리게 되는데, 그것은 그가 여태껏 바래왔던 일생일대의 작품이었다.
그렇게 모든 것을 이룬 그는 아내에게 집을 불살라 달라는 유언을 남기고 평화롭게 눈을 감는다.
이 스토리 속에 서두에 말한 바 있는 바로 그 질문이 들어있다.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
정신을 택할 것인가? 아니면 물질을 택할 것인가?
삶의 목적은 무엇일까?
딱히 답을 내릴 수 없는 물음이지만 계속해서 내 머릿 속을 맴돈다.
이 책에 감명받은 나는 서머싯 몸이 쓴 또 한 권의 책을 붙잡았다.
2
god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