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태어나서, 고생하고, 죽는다.
책에 인용된 문장인데, 이 짧은 문장이 이 책을 관통하는 핵심 키워드가 아닌가 한다.
사람마다 호불호가 갈리겠지만, 난 이 책을 아주 재미있게 읽었다.
주인공 필립이 어렸을 땐 그에 대한 동정과 슬픔, 아픔을 느꼈고, 성인이 되어 누군가를 사랑할 땐 미움과 분노, 안타까움과 답답함을 느꼈으며, 책 말미에 필립이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 깨닫는 장면에선 나도 모르게 눈물이 나왔다.
난 이 책을 읽는 내내 다양한 감정이 녹아있는 호수에 몸을 푹 담그고 있는 기분이었고, 동시에 아주 소중한 사실 하나를 깨달았다.
그것은 ‘우리가 왜 소설을 읽어야만 하는가?’ 에 대한 답변이며, 끊임 없이 좋은 작품을 찾아 읽어야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비문학 작품이 지식을 쌓는데 도움을 준다면, 문학작품은 감정을 풍부하게 만들어 준다.
감정이 풍부한 사람은 분명 타인을 폭넓게 이해하고, 쉽게 공감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사물을 바라보는 시야가 넓어지고, 인간미 넘치는 삶을 살 수 있지 않을까?
시간이 지나면 더 정확한 판단을 내릴 수 있으리라.
아무튼 이 책의 저자인 서머싯 몸은 스피노자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고 한다.
그래서 나도 유튜브를 뒤져 스피노자 철학에 대해 알아보았는데… 맙소사!
그는 시대를 수백년 앞선 선구자였다.
언제가는 스피노자 사상의 핵심 저서인 ‘에티카’를 꼭 읽어봐야겠다.
인간 개개인은 나름의 무늬를 만든다.
그 무늬가 모여 다양한 문화를 형성하고, 새로운 문명을 탄생시킨다.
무늬는 양탄자에 새겨진 프렉탈처럼 무한이다.
당장은 볼 수 없지만, 후세에는 그 무늬를 옅볼 수 있다.
그것이 역사다.
1
처음 포털에 뜬 빨간 뉴스 속보를 보고 눈을 의심했다.
‘지, 진짜…?’
곧바로 욕실 문을 쾅쾅 두드려 샤워 중인 아내에게 소리쳤다.
“여보, 한강이 노벨문학상을 탔어!”
이렇게 외치는 순간 커다란 감동과 전율이 밀려왔다.
거실에서 놀던 아이가 달려와 왜 그러느냐고 물으며 달려왔다.
나는 자초지종을 설명하며 책장을 뒤적였다.
한참을 찾아보았지만 있어야 할 책이 없었다.
아내에게 물어보니 처형이 빌려갔다고 했다.
다행이었다.
한시름 놓고 곰곰이 생각해보니 책 내용이 어렴풋이 떠올랐다.
충격적인 장면 몇 토막, 그로테스크한 느낌, 비극적인 스토리 라인, 회색빛의 우중충한 하늘을 올려다 보는 기분이라고나 할까?
아무튼 이 책에 대해 가지고 있는 기억은 이랬다.
아무리 되감아봐도 줄거리가 생각나지 않았다.
답답한 마음에 아무 블로그나 검색해 들어가 줄거리를 읽다보니, 머릿속을 휘감고 있던 희뿌연 안개가 걷히기 시작했다.
두서없이 떠다니던 소설속 장면들이 가지런히 연결되었으며, 생각치 못했던 장면들도 하나 둘씩 떠올랐다.
참으로 재미있고 흥미로운 경험이었다.
한강 작가님!
노벨문학상 수상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