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처음 1회독 때에는 2주라는 한정된 시간에 700여 페이지를 읽어야 했기 때문에 내 독서 스타일대로 읽지 못했다. 의미 파악은 커녕 그저 줄거리를 취합하는 데 급급했고 서평을 쓰기 위해 뒤쪽 해설을 열심히 읽었다는~ ㅋㅋ
이렇게 읽은 책들은 마음 한 켠에 차곡차곡 쌓인다.
언젠가 다시 읽고 말겠어~! 라고.
그래서 다시 시작!
느낌으로는 한 달도 넘게 읽은 것 같은데 찾아보니 10월 6일에 읽기 시작! 30일에 마쳤으니 약 25일이 걸렸다.
처음 열정 그대로 하나하나 열심히 읽지는 못했다.
특히 드라마 <이상한 변호사 우영우>의 우영우라면 심취했을지 모르는 "고래학" 부분은 정말 절망스러워서 몇 번을 졸다 깨다 읽었는지 모른다. 이 고래학이 왜 이 소설에 필요한 것인가~ 생각하면서.
어쨌든~ 두 번째 읽은 모비 딕에선 구성이 보였다.
너무나 신기하게도 <모비 딕>은 기본적으로는 소설의 형식을 띠고 있고 그 위에 액자식 구성 같은 전해지는 이야기들도 많다. 그런가 하면 갑자기 연출이 가미된 희곡의 형식도 등장한다. 지문 안에 하나하나 지시하고 독백 처리 또한 훌륭하여 마치 영화를 보는 듯 느껴진다. 그리고 앞에 이야기 한 "고래학"과 같은 논문식 설명과 함께 구성이 이리저리 왔다갔다~. 그런데 이 형식을 파괴하는 구성이 하나도 어색하지 않고 아주 자연스럽다는 것.
형식이 그러다 보니 시점 또한 전지적 시점이었다가 1인칭 관찰자였다가 왔다갔다 하지만 그 또한 전혀 이상하지 않다. (해설을 보니 이런 구성은 스토리텔링의 사실성 확보를 위한 장치라고~)
이야기는 커다랗게 에이해브가 흰 고래 모비 딕을 쫓는 이야기지만 이 둘의 만남과 한판 대결로 가기까지의 과정이 더 중요해 보인다. 소설은 이 배에 탄 이들의 이야기에서부터 이 배가 항해하면서 만나는 다양한 배들과의 만남(점진적 구성을 띠며 앞으로 피쿼드 호가 어떻게 결말이 날지를 암시한다.), 또한 미친 것 같아 보이는 에이해브가 어째서 포기하지 않고 모비 딕을 뒤쫓는지에 대한 정당성 같은 것들이 담겨 있다.
무려 25일이나 걸려 읽어도 나는 이 책의 반도 이해하지 못한 듯 하다. 그나마 그리스 로마 신화를 좀 아는 덕분에 아주 조금 이해할 수 있었고 무신론자 중에서는 아마도 조금 성경을 알고 있는 덕분에 한 5% 정도는 또 이해한 것 같지만.... 무궁무진한 비약과 비유, 상징을 난 더이상 이겨낼 수 없다. 하.... 하.....하!
그래도 이번 2회독은 나름 재밌게 읽었다. 너무 어려운데 재미있다는 게 참 어불성설이지만 어쩌겠어, 내 능력이 거기까지인 걸. 아마도 아주 오랫동안 <모비 딕>은 책장에 그저 꽂혀있을 것 같다....
1
에버네버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