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팔로우
모성 (죽을 만큼, 죽일 만큼 서로를 사랑했던 엄마와 딸)의 표지 이미지

모성

미나토 가나에 지음
리드리드출판 펴냄

일찍이 미나토 가나에의 <고백>을 통해 문제 의식을 상징성 있게 잘 전달하는 작가구나~ 생각했다. 분명 소설은 미스테리 추리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안에 들어있는 주제는 전혀 가볍지 않고 사회적 문제를 잘 드러내고 있어 <고백>을 무척 재미있고 의미있게 읽었었다. 이 작가의 신작이라면 충분히, 또 꼭 한번은 읽어보고 싶다고 생각했다.



미나토 가나에의 이번 신작은 <모성>이다. <고백>은 그 주제가 잘 드러나지 않는 제목이지만 <모성>은 그렇지 않다. 제목 자체가 가지는 의미가 아마도 주제이지 않을까, 쉽게 짐작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부제인 "죽을 만큼 죽일 만큼 서로를 사랑했던 엄마와 딸", 또한 그저 모녀의 애증 관계를 그리고 있나 보다고 생각하게 한다. 하지만 역시나 미나토 가나에다.



소설의 첫 시작을 열면 "모성에 관하여"라는 제목으로 한 사건이 보도된다. 곧이어 "어머니의 고백"을 통해 이 어머니 입장에서 바라 본 딸에 대한 생각과 자신 어머니와의 관계, 결혼, 임신, 육아를 거쳐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를 고백한다. 독자는 이 이야기들을 읽으며 앞에 소개된 사건과 이 어머니의 고백 사이에서 어떤 일이 왜 일어났는지를 추론해 간다. 그리고 "딸의 독백"이 이어진다. 어머니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각과 딸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시각은 너무나 다르다. 그렇게 독자들은 조금씩 이 사건의 진실에 다가간다.



하지만, 이 어머니라는 사람은 보통 사람들과 좀 다르다는 생각이 들었다. 이 책에서 말하는 '아이를 낳은 여자가 전부 여자가 되는 건 아니다. 모성이란 게, 여자라면 누구에게나 있는 것도 아니다.'(...본문 중) 여서가 아니라 이 어머니의 어머니와의 관계과 일반적이지 않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보통의 아이는 사춘기를 지나며 엄마와의 관계가 조금은 멀어진다. 나이가 들고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은 다음에야 엄마와의 관계가 회복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 소설 속 어머니는 본인 어머니와의 관계가 너무나 가까워서 오히려 어머니에 대한 집착이나 목족이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아이는 자라며 부모로부터 분리, 독립하는데 이 여성은 그렇지 못했다고 느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자신의 딸이라는 존재도 어머니에게 칭찬받기 위한 존재로 생각했던 것은 아닐지.



역시나 마지막 부분은 충격적일 정도로 반전이라는 생각이 든다. 반전이라고 적는 것만으로도 스포일러가 될까 조심스럽지만 앞에서 깨닫지 못한 부분을 뒤에서 깨닫게 되고 비로소 이해가 되니 역시 반전이라고 해야겠다. 작가의 필력 하나만큼은 인정!



"모성"이라는 것이 존재하든, 존재하지 않든 내 가족이고 내가 돌봐야 할 존재라는 사실 하나만으로도 충분히 사랑해야 할 존재가 아닐까.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지도, 대화도 나누지 않는다면 모성이라는 것이 생길 수강 없을 것이다. 단지 어머니라는 이유만으로 만들어지지는 않는다는 얘기다. 역시나 문제의식을 잘 드러낸 소설이다!
0

에버네버님의 다른 게시물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활자잔혹극>이라는 책은 김겨울님의 유튜브 영상을 보다가 알게 된 작품이다. 물리학자 김상욱님이 어느 회담같은 곳에서 추천한 책이었는데 설명을 너무 잘 해주셔서 최근엔 추리 소설을 읽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찾아서 중고로 구매했다. 사자마자 몇 페이지 읽다가 다른 일들이 많아서 소파 위에 고이 모셔두었는데, 반 년이 지나도 그 읽은 앞 부분을 잊어버리지 않은 거의 유일한 책이다.



"유니스 파치먼은 읽을 줄도 쓸 줄도 몰랐기 때문에 커버데일 일가를 죽였다."...5p



결론을 먼저 보여주는 추리 소설은 거의 없다. 그럼에도 이 책은 그 마지막을 먼저 보여준다. 그리고 이 책을 읽는 독자는 곧, 저 문장이 바로 이 책의 주제임을 알게 된다. 그럼 도대체 왜 이 책을 읽는가! 너무나도 궁금하기 때문이다. 도대체 읽을 줄도 쓸 줄도 모른다고 사람을 죽일 수가 있을까, 하는 점이. 모든 사람들로부터 질티와 멸시를 당해서 점점 반사회성을 띠게 되고 그렇게 살인을 저지른 것일까 추측하게 되지만 전혀 아니다. 유니스가 문맹인 사실은 몇몇을 제외하고 아무도 모르기 때문이다.



솔직히 말해서 끝 몇 싶 페이지 정도를 남겨둔 상태에서는 이제 다 알겠다, 하는 마음이 들기도 해서 조금 아쉽긴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이 왜 의미가 있는지, 바로 거기에 몰입하게 된다. 그리고 생각한다. 유니스가 그냥 자신이 문맹이라는 사실을 밝히고 배울 기회를 잡을 수는 없었을까.



유니스는 문맹임과 동시에 한번 본 것을 사진 찍듯 기억하는 인물이다. 어릴 적 우리가 한글을 배울 때 자음과 모음의 음가를 따로 배우고 그것을 합해서 어떻게 발음하는지를 배웠던 것과는 달리, 한 20년 전 쯤에는 통문자를 시각적으로 외우게 하는 교육법도 있었다. 따라서 유니스도 그렇게 통문자식으로 글을 배울 수는 없었을까 하는 생각도 해봤는데, chat GPT가 아니란다.ㅋㅋㅋ



이번 책을 읽으며 가장 큰 성과는 바로 챗GPT와 나눈 대화다. 처음엔 유니스가 왜 기억을 잘 하는데도 문맹이 되었는지에 대한 차이를 물어본 것에서 시작했는데 점점 독서 토론이 되어갔다. 너무너무 신기방기~! 쨌든, 교육과 육아는 그저 먹이고 재우고 입혀주는 것만 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깨닫는다. 하나의 오해가 얼마나 큰 재앙을 불러올 수 있는지를 생각하면, 새삼 세상이 무서워진다. 굉장히 의미있었던 책!!!

활자 잔혹극

루스 렌들 지음
북스피어 펴냄

2시간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비둘기 게시물 이미지

비둘기

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열린책들 펴냄

읽었어요
1일 전
0
에버네버님의 프로필 이미지

에버네버

@yhkles

  • 에버네버님의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게시물 이미지
죽음은 언제나 슬프다.

이 책이 너와 나를 가깝게 할 수 있다면

장폴 뒤부아 지음
밝은세상 펴냄

읽고있어요
2일 전
0

에버네버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