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하빈님의 프로필 이미지

서하빈

@seohabin

+ 팔로우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 (명함만 없던 여자들의 진짜 ‘일’ 이야기)의 표지 이미지

우리가 명함이 없지 일을 안 했냐

경향신문 젠더기획팀 지음
휴머니스트 펴냄

2024. 09. 11.
차별은 사라진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어려워졌을 뿐이다.

📖 어떻게 보면 엄마는 본인이 가진 자갈, 바위, 돌이 섞인 미운 흙들을 온몸으로 고르고 골라 고운 흙만 저에게 주고 싶었던 게 아닐까요.

📖 2018년 한국고용정보원 조사에 따르면 20대 후반 여성들은 같은 남성들 월평균 임금의 91.7%를 받는다. 하지만 30대 초반이 되면 남성들이 천 원을 벌 때 여성들은 837원을 벌고 30대 후반엔 723원까지 떨어진다.

📖 비정규직 여성 비율도 연 령대가 올라가면서 급증한다. 30대 후반에서는 여성의 30.8%가 비정규직이다. 이는 40대 후반 37.1%, 50대 후반 50.8%로 가파르게 오른다. 남성 비정규직 비율이 30대 후반 14.6%, 40대 후반 20.0%, 50대 후반 22.6%로 완만하게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 엄마는 그간 가족을 위해 일했다. 그러나 한 가정을 이끄는 가장이나 생계부양자 같은 호칭은 남성에게만 명예롭게 주어졌다.

📖 페미니즘은 많은 딸에게 '그냥 우리 집 일'로 여겨지던 것들을 사회적 차원으로 바라볼 수 있게 했다.

📖 만약에 '엄마'라는 명함이 존재한다면 저는 아주 크게 찍어 다닐 수 있을 것 같아요. 그런데 그런 명함은 원치 않더라고요. 엄마, 누구나 다 하는 거 아니야? 하죠.
0

서하빈님의 다른 게시물

서하빈님의 프로필 이미지

서하빈

@seohabin

2025. 02. 11.
’참고문헌 없음‘의 기개로 친절하게 설명해주는 입문서

우리에겐 언어가 필요하다

이민경 지음
봄알람 펴냄

1일 전
0
서하빈님의 프로필 이미지

서하빈

@seohabin

2025. 02. 07.

오늘의 나는 문진으로 쓰는 책상 위 돌멩이를 보고 있다 너무 무거운 문장들은 또 얼마나 날고 싶어 하는지를 오래 생각하며

📖 0 63 - 만약 그날의 날씨가 한없이 쾌청했다면 습도 90퍼센트 가 넘지 않았다면 여름이 아닌 겨울이었다면 오래 더 다정했을까 아직 우리였을까

📖 0 64 - 나는 우주보다 넓은 가능성에 말문이 막혀 언젠가 약속이 이뤄질 거야, 라는 문장을 쓰기 위해 쓰지 않기 위해 노력할 것
다정한 가정법의 감옥이여 안녕

📖 1 00 - 잔혹동화라는 말이 나는 아직 무섭고 왜 찰리의 기쁨보다
아우구스투스와 바이올렛과 그리고 마이크의 안위가 오늘까지도 궁금한지

무해한 복숭아

이은규 지음
아침달 펴냄

5일 전
1
서하빈님의 프로필 이미지

서하빈

@seohabin

2025. 02. 07.

어라… 여기에서 끝이 나면 안 되는데? 즌2가 있죠?? 제가 모르는 숨겨진 즌2가… 있어야만…

불타는 작품

윤고은 지음
은행나무 펴냄

6일 전
0

서하빈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