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팔로우
카카듀 (경성 제일 끽다점)의 표지 이미지

카카듀

박서련 지음
안온북스 펴냄

읽었어요
카카듀는 '앵무새'라는 뜻을 가진 당시 끽다점(카페)이고, 이곳을 운영하는 실질적인 사람은 현앨리스. 그리고 그의 오촌 관계인 이경손이 돕는다.
이경손은 극작가이자 영화 감독이기도 했다. 힘들었던 일제시대에 예술인들은 어떻게 지냈는지, 그 시절 영화들이 어떻게 만들어졌는지 호기심을 갖고 보면 흥미가 더 돋는다. 영화 <아리랑>을 만든 나운규, 임시정부의 김구 같은 역사적 인물들이 조연으로 나와서 흥미로운데 어디까지나 이 소설을 끌고 가는 이들은 이경손과 현앨리스다.

'어떻게 살아야 좋을지 모르겠다. 어떻게 살아도 엉망진창일 것 같다. 끝까지 조금도 바뀌지 않을 것 같다.'

암울한 시기.
이경손은 상해로, 그리고 방콕으로 떠난다. 사실 방콕은 홍콩에 가기 위한 경유지였을 뿐이었지만 의도치 않게 그곳에서 무역업으로 부를 일구며 터를 잡았다. 부는 이루었으나 참 의도하는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강물 흘러가듯이 흘러가는 인생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결혼해서 아이들도 낳았는데 첫째딸의 이름은 카루나. 카루나는 자비, 부탁합니다 라는 뜻. 어떻게 살아야 할지 모르는 이 시대에 딸이 어떻게든 잘 살아가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지었을까. 인생은 결코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는 깨달음이 담긴 이름 같았다.

이경손의 독백 같은 서술이 매우 유머러스해서 그다지 무겁거나 비장하지 않게 가벼운 마음으로 읽었다. 오랜만에 쉼표 같은 책을 읽었다.
0

새벽빛님의 다른 게시물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새벽빛님의 책 읽어주는 남자 게시물 이미지
'나'와 한나가 어떻게 화해할 수 있을까에 초첨을 두고 읽었는데 끝끝내 한나가 죽은 뒤에야 그녀를 그리워하고 더 오랜 시간이 지난 후에야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결말이 너무나 슬펐다. 한나는 줄곧 그에게서 편지를 받기를 고대하고 있었다. 너무 늦지 않았을 때 답장을 써 주었더라면 얼마나 좋았을까.

이 소설을 나이 차가 많은 남녀의 연애소설로 읽어도 좋지만, 부모와 자식의 세대 갈등에 관한 소설이라고 읽어도 좋다. <1부>에서 한나가 미하엘을 씻겨 주고 같이 자는 모습이나, 둘이 갈등이 있었을 때 일방적으로 미하엘이 한나에게 사과하고 한나가 용서하는 모습은 어린아이와 어머니의 관계와 같다. 미성숙할 때의 어린 자식은 양육자를 떠나 살 수 없다. <2부>에서 미하엘이 한나와 거리를 둔 채 과거를 객관적으로 보며 죄를 묻는 장면은 사춘기 시절의 자녀와 양육자와 같다. 양육자는 무기력하게 지금까지 살아왔던 삶의 태도를 자녀에게 재단당한다. <3부>에서는 양육자가 자녀로부터 이해받기를 고대하지만 자녀들은 부모님이 돌아가신 후에야 그리워하고, 잘못한 것을 뉘우치고, 뜻을 받든다.

부모-자녀에서 나아가 이전 세대와 현 세대 집단의 갈등으로 보아도 좋다. 집단의 갈등은 사회의 불안을 야기하고, 개개인에게 스트레스가 되는데 이 작품은 두 집단이 서로를 알려고 노력하는 데서 해결방안을 찾는다. 한나가 글을 알고 책을 읽었듯이, 미하엘이 늦게나마 생각하고 생각해서 이야기를 되돌아오게 한 것처럼. 그러나 앞에서 말했듯이 한나가 죽고 난 뒤에야 그리움에서 이해가 시작된다는 점은 비극이 아닐 수 없다.

너무 늦기 전에 타인을(혹은 타집단을) 이해하고 관계를 개선할 수 있을까. 그건 우리의 노력 여하에 달려 있다. 우리가 다 이해할 수는 없어도, 가까이 다가가려는 노력만으로도 남은 인생을 충만하게 살 수 있으리라.

"오고 싶거든 언제든지 오너라."
- 180쪽, 아버지가 '나'에게

https://m.blog.naver.com/snoopy701/223763968835

책 읽어주는 남자

베른하르트 슐링크 지음
시공사 펴냄

읽었어요
1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 똑같이 하와이에 왔다고 해도 그 과정이 중요한 거야. 어떤 펭귄이 자기 힘으로 바다를 건넜다면, 자기가 도착한 섬에 겨울이 와도 걱정하지 않아. 또 바다를 건너면 되니까. 하지만 누가 헬리콥터를 태워 줘서 하와이에 왔다면? 언제 또 누가 자기를 헬리콥터에 태워서 다시 남극으로 데려갈지 모른다는 생각에 두려워하게 되지 않을까? 사람은 가진 게 없어도 행복해질 수 있어. 하지만 미래를 두려워하면서 행복해질 순 없어. 나는 두려워하면서 살고 싶지 않아.(p.160)

----------'----------'----------

예나가 한국을 처음 떠난 동기는 한국에서는 미래가 없다고 생각해서였다. 그래도 명문대는 아니지만 홍익대를 나왔고, 김태희만큼은 아니지만 외모가 못나지도 않은 것 같고, 강남은 아니지만 그래도 서울에서, 아파트는 아니지만 부모님과 자가에서 살고 있는데, 왜? 어찌 보면 평균보다 나은 조건인데 한국에서 살기를 포기한다.

무모하다 싶으면서도 한국보다 호주에서 사는 편이 낫겠다고 결정한 이상 구실이야 붙이기 나름이다. 한국에서의 삶에 지쳐서 호주에서는 이보다는 나으리라 하는 막연한 생각에 떠난 것이다. 한마디로, '쉽게' 결정하고 떠났다.

그리고 행복해지려고 다양한 시도들을 한다.

호주에서 어학원 과정을 들으면서 영어 실력을 키우려고 한국인이 없는 셰어하우스 거실에서 불편하게 지내기도 하고, 회계학 대학원에 등록해서 학위를 딴다. 잠시 한국에 귀국해 치른 아이엘츠 시험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시민권을 따낸다. 시도는 쉬웠고 결과는 좋았으나 과정이 만만치 않았다. 텍사스 친구의 범법 행위에 연관되어 쉐어하우스에서 강제 퇴거를 당했고, 위조 지폐 문제로 법정에 서기도 했다. 인종차별은 기본이다.

호주도 한국 못지 않게 삶이 험했다. 그러나 한국에서의 삶이 '주어진 것'이었다면 호주에서의 삶은 '이루어낸 것'이었으므로 한국 국적을 포기하고 호주에서 살기로 결정한다.

인생은 길고 길은 많다. 다른 목적지로 가는 길도 있고, 같은 곳에 가는 길도 여러 개가 있다. 작가는 '현재 삶에 불만이 있다면 주저앉아 투덜대지만 말고 조금씩이라도 좋으니 앞으로 나아가 보자'라고 말한다.

🧨 '주어진 평안한 삶' VS '황무지를 개척하는 삶'
당신의 선택은?

https://m.blog.naver.com/snoopy701/223754311552

한국이 싫어서

장강명 지음
민음사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새벽빛님의 프로필 이미지

새벽빛

@saebyeokbit

쿠바 관타나모에 위치한 미군 기지에는 수용소가 있다.
미국의 영토이지만 21세기 현재에도 인권과 법이 없는 곳. 미국의 인권법이 닿지 않는, 미군들의 대테러작전을 앞세운 고문이 난무하는 곳.

이야기의 주인공인 무함마드 엘-고라니는 공부하러 파키스탄에 갔다가 두 달 만에 9.11 테러가 발생하고, 사우디 사람이라는 이유만으로 군인들에게 끌려가 감옥에서 오사마 빈 라덴이 있는 곳을 말하라며 고문을 당한다. 그의 나이가 겨우 13세였을 때의 일이다.

2008년 무죄가 입증되어 석방되었으나 고문으로 인한 후유증, 이웃들의 배척, 사기, 계속되는 정부의 감시 때문에 일상을 지켜나가기 힘든 무함마드 엘-고라니.

표지에서 밝게 웃고 있는 주인공은 관타나모에서 석방될 때의 모습이기도 하도, 평소 무례한 간수들을 골탕먹이는 유쾌한 모습이기도 하다. 하지만 후일담에서 석방 이후 계속되는 고난 때문에 기운 없이 늘어져 의욕을 잃은 듯한 모습은 매우 서글프다.

작가가 주인공을 마지막으로 인터뷰한 것은 2017년, 책이 출간된 것은 한 해 뒤인 2018년, 우리나라에 번역되어 나온 것은 2024년. 현재 무함마드는 어떤 삶을 살고 있을까.

관타나모 키드

제롬 투비아나 지음
돌베개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새벽빛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