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 팔로우
하얼빈 (김훈 장편소설)의 표지 이미지

하얼빈

김훈 지음
문학동네 펴냄

작가는 말한다. '안중근을 그의 시대 안에 가두어놓을 수는 없다'고, '안중근은 약육강식하는 인간세의 운명을 향해 끊임없이 말을 걸어오고 있다'고 말이다. 말을 거는 것은 작가 그 자신이 아닌 이미 죽어버린 안중근이고, 작가는 그를 되살려 오늘의 독자에게 그 말을 전하는 것으로 제 사명을 이룩한 것이다. 소설 <하얼빈>은 안중근과 이 시대 독자의 만남이며, 그로부터 우리가 안중근의 진면목을 한 걸음 이해할 수 있는 드물고 귀한 계기라고 하겠다.

소설은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기까지의 이야기를 극적으로 그려내지 않는다. 소설이 보다 집중하는 건 이토를 죽이기까지 안중근이 넘어서야 했던 압박들이며, 다시 그 뒤로 지켜내야만 했던 뜻이다. 당대의 천주교는 끝내 그를 용서하려 들지 않았고 나라 또한 그를 외면했다. 온 세상이 저를 외면하는 가운데 안중근은 홀로 감옥소 안에서 제 뜻이 틀리지 않았음을 주장하며, 제가 나고 살아온 이 세상의 평화를 위한 길임을 다시금 싸워나가야만 했다.

소설이 황해도 산골 마을 성당의 주임신부인 빌렘이 주교의 명을 어겨가며 멀리 여순감옥으로 와 안중근을 면담하기까지를, 또 그들이 끝내 좁혀지지 않는 뜻을 넘어 교감하기까지를, 그럼에도 천주교회가 안중근의 죽음을 제 품 안에 받아들이지 않는 모습을 끈덕지게 그려내고 있는 것은 이 소설과 작가 김훈이 지향하는 바가 그저 이토의 죽음이란 사건에 머물지 않고 있음을 증명한다.

안중근의 죽음과 빌렘의 기도, 서로 닿지 않는 사건들로 맺음되는 이 소설은 마지막 장이 덮인 뒤에야 진정으로 끝을 맺는다. 하얼빈 거사를 죄악으로 단정하고 안중근에게 성사를 베푼 빌렘 신부를 중징계한 뮈텔 주교의 이야기며, 1993년 김수환 추기경의 추모미사를 통해서야 가톨릭 교인으로서 받아들여지고 추모된 안중근의 이야기, 다시 수년이 흘러서야 민족독립을 위해 싸운 신자들을 받아들이지 않은 잘못을 인정한 교회의 이야기, 그리고 참담하기만 한 안중근 일가며 후손들의 뒷일을 작가는 소설 뒤 짤막한 후기를 통해 빼어놓고 있지 않은 것이다.

그리하여 소설 <하얼빈>은 초대통감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한 거사를 호쾌한 승리의 이야기로 그리지 않는다.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외면하려 했던 비극을 되살리며, 그럼에도 뜻을 꺾지 않고 마침내 이뤄낸 청년의 이야기를 새겨내고야 만다. 어느 언론 인터뷰를 통해 알려진, 안중근과 공범 우덕순이 스스로를 포수이고 무직이며 담배팔이였다고 증언한 사실로부터 이 소설을 쓸 동력을 얻었다는 작가 김훈의 말은 이 소설이 다름 아닌 청년들의 이야기임을, 같은 방식으로 미래를 도모하는 그들에 대한 응원임을 선명히 하고 있다고 나는 믿는다.
0

김성호님의 다른 게시물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기자가 걸어온 길이 그가 세상을 바라보고 문제를 대하는 시각과 떨어질 수 없는 것임을 깨닫는다. 기자 홀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다. 세상은 기자 또한 길러내는 것이다.

저널리즘이나 사회문제에 대한 깊은 이야기를 원하는 독자에겐 실망이 따를 수도 있겠다. 다루고 있는 많은 주제가 어떤 관점에선 흔한 것이고, 다루는 시각 또한 새롭지는 않다. 인용한 여러 서적을 고려하면 과연 이 정도 문제의식을 위하여 책 한 권을 읽는 것이 가치가 있는가, 그와 같은 쉬운 평가가 나올 법도 하다.

왜 김애란이 '추천의 말'에서 다 아는 말을 전하는 일의 미덕을 거론했는지 알겠다. 내게는 아니었지만 다른 누구에겐 좋은 독서일 수도 있으리라고, 그런 생각에 이르렀으니.

슬픔의 방문

장일호 지음
낮은산 펴냄

4주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스스로 경계인이라고 표현하는 김나리의 글 가운데서 한국의 오늘이 읽힌다. 독일에선 자연스러운 것이 한국에선 그렇지 않을 때다.

글로써 뒤따른 저자의 삶은 결코 만만치 않다. 아버지의 가정폭력과 부모의 이혼, 십대 학창 시절부터 홀로 꾸려나가야 했던 삶, 가난이 가난인 줄도 몰랐던 오랜 시간들, 다른 성적 지향으로 고통 받아야 했던 나날까지가 버겁게 다가선다.

그러나 그는 제 고통을 등짝에 진 채로 한걸음씩 나아가 오늘에 이르렀다. 그의 글에선 제 삶을 지탱한 어른만의 기개가, 끝나지 않은 삶을 기꺼이 마주하는 이의 진취성이 읽힌다. 그리하여 나는 '삶은 그렇게 납작하지 않'다는 김나리의 말에 공감한다. 납작하지 않다. 이런 삶은 납작할 수가 없다.

흔해빠진 납작한 인간들 사이에서 납작하지 않은 인간이 저기 하나쯤 더 있구나. 그런 감상만으로도, 내게는 가치가 없지 않았다.

삶은 그렇게 납작하지 않아요

김나리 지음
책나물 펴냄

1개월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기자였고, 보좌관이었으며, 시나리오 작가를 꿈꾸는 황보람의 기록이다. 수시로 소속팀을 옮기는 운동선수를 가리키는 '저니맨'이라는 말처럼, 수많은 명함을 가졌다가 놓아버린(때로는 잃어버린) 작가 자신의 '저니' 이야기를 담았다.

한 층 한 층 쌓아 올려 써내려간 저니의 어느 순간에 저 유명했던 전시의 뒷이야기가 나오는 순간, 나는 그 부당함을 목도하면서도 그저 침묵했던 나를 반성한다. 책임 있는 이들의 비겁과 무지성적인 비판 가운데서 더 나은 역할을 할 수 있었고 해야만 했던 귀한 이가 무릎 꿇고 마음을 다치는 과정이 안쓰럽게 보인다.

다만 <황보람의 저니>를 훌륭한 책이라고 추천하긴 민망한 구석이 있다. 저니맨이란 성격과 꼭 맞게 실린 글들이 응집력 있게 모여들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곳곳에서 송곳처럼 뚫고 나오는 대목이 있었단 건 기록할 만하다.

개중에선 아직 아물었다 할 수 없는 상처와, 그리하여 충분히 깊이 열고 따져볼 수 없었던 기억들이 없지 않아 보인다. 그러나 이 정도로도 어느 기자, 또 보좌관의 절실한 발버둥이 있었음을 짐작할 수 있겠다.

황보람의 저니

황보람 지음
편않 펴냄

1개월 전
0

김성호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