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 팔로우
불과 나의 자서전 (김혜진 소설)의 표지 이미지

불과 나의 자서전

김혜진 (지은이) 지음
현대문학 펴냄

<불과 나의 자서전>은 남일동에서 나고 자란 홍이의 시선으로 공고해지기만 하는 남일동과 중앙동의 격차를, 그 격차가 스며든 사람들의 마음을 짚어보는 작품이다. 중앙동이 남일동을, 남일동 주민들은 그들 중에 못한 사람을 구분 짓고 따돌린다. 구분의 선 하나를 넘기 위해 온갖 노력을 다하여도 실패만이 거듭된다. 주해의 실패를 지켜보며 홍이는 비로소 제 곁에 늘 그어져 있던 구분의 선을 실감한다.

소설에서 인상 깊은 장면 중 하나는 주인공 주해가 제 딸 수아를 길 건너 중앙동 초등학교로 입학시키려다 빚어지는 일이다. 학교는 석연찮은 이유를 들어 수아의 입학을 막지만 거세게 항의하는 주해에 밀려 입학을 허락하게 된다. 그러나 더 참담한 건 그 다음이다. 중앙동 아이들은 수아를 남일동 아이라 구분짓고 따돌리기 시작한다. 어른에게 깃든 차별이 아이라 해도 없을리 없는 것이다.

아이들은 수아를 남일동 주민이란 뜻으로 남민이라 부른다. 그저 말만 줄인 게 아닌 것이 남민은 발음이 비슷한 난민을 연상케 하는 것이다. 주해와 수아 모녀를 지켜보는 홍이는 과거 남일동 토박이란 뜻에서 남토라 불렸던 제 과거를 떠올린다. 어디 이런 일이 소설 속에만 있을까. 남일동 주민들이 스스로 말하던 '남일도'란 말은 수십년 만에 환골탈태한 내가 살던 동네에도 분명히 있었으니까.

얼마 전 '한남더힐 아무개', '트라마제 홍길동' 따위의 이름으로 SNS 프로필을 만든다는 갓 열두 살 난 초등학생들이 뉴스에 나왔었다. 임대주택에 사는 아이들을 '휴먼시아 거지'라고 부른다는 뉴스가 채 잊히기도 전이었다. 사는 집이 자가냐 전세냐 월세냐를 두고서, 부모 월급이 200만 원이냐 300만 원이냐를 두고도 전세충이니 이백충이니 하는 멸칭이 쓰인다고 하였다.

생각해보면 그리 충격적인 일도 아니다. 수아를 구분지은 중앙동 아이들의 차별은 홍이가 살아온 시대와 내가 자란 시대에도 언제나 있었다.

수아가 떠난 뒤 제가 겪어온 과거를 떠올린 홍이를 보며, 차별이 차별인 줄도 모르고 살았던 나를 반성한다. 어제 끊지 못한 구분과 차별의 장벽이 내일 더 심한 차별의 이유가 된다는 걸 <불과 나의 자서전>이 짚고 있다는 생각이 든다.
0

김성호님의 다른 게시물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대단한 도입을 가졌다 했다. 그런 평을 듣는 작품이 제법 있지만 솔직히 동의한 적은 없었다. 유명세가 평범한 문장조차 유명하게 하였겠거니, 그렇게 생각했다.

'국경의 긴 터널을 빠져나오자, 설국이었다. 밤의 밑바닥이 하얘졌다. 신호소에 기차가 멈춰 섰다.'

몇 번이나 다시 읽었다. 명문이었다. 그것도 대단한. 첫 문장은 서로 다른 두 세계가 있고, 주인공은 한 세계에서 다른 세계로 꽤나 노력을 들여 옮겨왔음을 알린다. 처음이 수평이었다면 다음은 수직, 밑바닥부터 것도 밤의 밑바닥부터 제 색을 발한다. 다음 문장에 이르러 이야기는 본격 막을 올린다. 이보다 완전한 세 문장이 또 있을까. 덜 것도 더할 것도 없는 완전한 균형. 이를 가리켜 일본문학의 정수라 한 말이 틀리지가 않다.

그러나 뒤는 오로지 이 세 문장이 쌓은 공으로 과대평가되었다. 그럴 법한 일이다. 나 또한 이 허랑한 소설을 첫 세 문장을 쓴 이의 작품이라 믿을 수 없었으니.

설국

가와바타 야스나리 지음
민음사 펴냄

1일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기자가 걸어온 길이 그가 세상을 바라보고 문제를 대하는 시각과 떨어질 수 없는 것임을 깨닫는다. 기자 홀로 세상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다. 세상은 기자 또한 길러내는 것이다.

저널리즘이나 사회문제에 대한 깊은 이야기를 원하는 독자에겐 실망이 따를 수도 있겠다. 다루고 있는 많은 주제가 어떤 관점에선 흔한 것이고, 다루는 시각 또한 새롭지는 않다. 인용한 여러 서적을 고려하면 과연 이 정도 문제의식을 위하여 책 한 권을 읽는 것이 가치가 있는가, 그와 같은 쉬운 평가가 나올 법도 하다.

왜 김애란이 '추천의 말'에서 다 아는 말을 전하는 일의 미덕을 거론했는지 알겠다. 내게는 아니었지만 다른 누구에겐 좋은 독서일 수도 있으리라고, 그런 생각에 이르렀으니.

슬픔의 방문

장일호 지음
낮은산 펴냄

1개월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스스로 경계인이라고 표현하는 김나리의 글 가운데서 한국의 오늘이 읽힌다. 독일에선 자연스러운 것이 한국에선 그렇지 않을 때다.

글로써 뒤따른 저자의 삶은 결코 만만치 않다. 아버지의 가정폭력과 부모의 이혼, 십대 학창 시절부터 홀로 꾸려나가야 했던 삶, 가난이 가난인 줄도 몰랐던 오랜 시간들, 다른 성적 지향으로 고통 받아야 했던 나날까지가 버겁게 다가선다.

그러나 그는 제 고통을 등짝에 진 채로 한걸음씩 나아가 오늘에 이르렀다. 그의 글에선 제 삶을 지탱한 어른만의 기개가, 끝나지 않은 삶을 기꺼이 마주하는 이의 진취성이 읽힌다. 그리하여 나는 '삶은 그렇게 납작하지 않'다는 김나리의 말에 공감한다. 납작하지 않다. 이런 삶은 납작할 수가 없다.

흔해빠진 납작한 인간들 사이에서 납작하지 않은 인간이 저기 하나쯤 더 있구나. 그런 감상만으로도, 내게는 가치가 없지 않았다.

삶은 그렇게 납작하지 않아요

김나리 지음
책나물 펴냄

1개월 전
0

김성호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