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왜 도덕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한국경제신문 펴냄
대중적인 글쓰기를 지향하는 샌델의 칼럼들을 난해하게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에 쏟아진 악평엔 나름의 근거가 있다. 더욱이 김선욱 숭실대 철학과 교수가 페이스북에 '<왜 도덕인가?>는 샌델의 <공공철학>을 번역한 것이며, 임의로 내용을 짜깁기해 글 제목과 본문이 많이 왜곡돼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려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에 대해 책을 출판한 한경BP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책이 샌델의 예전 칼럼을 모아놓은 것으로 일관된 주제를 벗어나는 글을 빼도 되는지에 대해 저작권자와 하버드대학교 출판부에 모두 확인했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가치가 없는 건 아니다. <왜 도덕인가?>가 가진 가장 큰 의의는 저자 마이클 샌델 본인의 생각이 책 전반에 걸쳐 드러난다는 점이다. <정의란 무엇인가>가 가장 크게 성공했음에도 저자의 지향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을 떠올리면 많은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궁금증을 풀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전작에서 암시만 됐던 가치 판단이 이 책에선 전면에 부각되기 때문이다.
다루고 있는 주제 역시 의미가 있다. 책은 <정의란 무엇인가>가 그러했듯 많은 딜레마적 상황을 예로 들며 현대 철학이 다루는 가장 인기 있는 주제, 즉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대립을 도마 위에 꺼내 놓는다. 저자는 두 이념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들이 공존하고 발전하기 위한 방법까지 제시한다. 그가 내린 결론은 책의 제목이 가리키듯 '도덕'이다.
언제나처럼 샌델은 그의 주장 주변에 충실한 사례를 배치한다. 이번엔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이 벌인 오랜 정치투쟁과 그 과정에서 도덕이 쓰인 역할이 그것이다. 샌델은 공화당이 도덕적 담론을 선점함으로써 수십 년간 민주당에 대한 정치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며 민주당이 빌 클린턴 대에 이르러서야 반격에 나섰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어 과거 정치에서 도덕이 발휘한 힘을 역설하고 다가올 세상에서 도덕이 담당할 수 있는 역할을 강변하는데 이는 곧 이 책의 주제와 맞닿는다.
논의의 끝에서 그가 가닿는 결론은 공동체의 도덕이다. 보다 정확히는 공동체에 대한 도덕의 개입이다. 다원주의적 중립이란 이름으로 도덕이 실종된 사회에서 다시 도덕의 역할을 논하는 게 이 책의 진정한 목적인 것이다.
샌델이 보기에 국가의 도덕적 중립이란 원칙 아래 돌아가고 있는 현재의 세계는 그리 오랜 전통을 갖고 있지 않다. 기껏해야 지난 반세기 동안 발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샌델은 공공선에 대해 숙고할 줄 아는 사람들의 사회를 그린다. 그리고 이 같은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나 자신과 마찬가지로 타인에게도 자유가 있다는 사실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소속감과 책임감, 공공의 유대가 그것들이다.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익히 소개된 공리주의와 존 롤스의 이론은 이 책에서도 차례로 소개되며 저자의 주장에 힘을 싣는다. 각 이론이 지닌 가치와 한계가 언급되는데 책을 읽다 보면 그것들이 샌델의 철학에 상당한 자양분이 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무엇보다 존 롤스의 차등원칙이 샌델이 생각하는 도덕의 근간을 이룬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폭주하는 신자유주의적 경제질서와 그 밑바탕이 되고 있는 도덕적 중립성은 더는 지속돼선 안 된다는 게 이 책에서 보인 샌델의 결론이다. 사회 구성원들은 어차피 도덕적 문제에 대한 기본적 욕구를 갖고 있으며 이왕이면 이 욕구를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현시키는 것이 공동체에 있어서도 긍정적이라는 게 책의 결말이다. 바람직한 방향이란 곧 너와 내가 남이 아니란 사실을 인정하고 그에 책임을 지는 것이다.
1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