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 팔로우
왜 도덕인가의 표지 이미지

왜 도덕인가

마이클 샌델 지음
한국경제신문 펴냄

대중적인 글쓰기를 지향하는 샌델의 칼럼들을 난해하게 소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 책에 쏟아진 악평엔 나름의 근거가 있다. 더욱이 김선욱 숭실대 철학과 교수가 페이스북에 '<왜 도덕인가?>는 샌델의 <공공철학>을 번역한 것이며, 임의로 내용을 짜깁기해 글 제목과 본문이 많이 왜곡돼 있다'는 취지의 글을 올려 논란이 일기도 했다.

이에 대해 책을 출판한 한경BP는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책이 샌델의 예전 칼럼을 모아놓은 것으로 일관된 주제를 벗어나는 글을 빼도 되는지에 대해 저작권자와 하버드대학교 출판부에 모두 확인했다'는 입장을 내놓기도 했다.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이 가치가 없는 건 아니다. <왜 도덕인가?>가 가진 가장 큰 의의는 저자 마이클 샌델 본인의 생각이 책 전반에 걸쳐 드러난다는 점이다. <정의란 무엇인가>가 가장 크게 성공했음에도 저자의 지향이 명확하지 않다는 비판을 떠올리면 많은 독자들이 이 책을 통해 궁금증을 풀 수 있을 거라 기대한다. 전작에서 암시만 됐던 가치 판단이 이 책에선 전면에 부각되기 때문이다.

다루고 있는 주제 역시 의미가 있다. 책은 <정의란 무엇인가>가 그러했듯 많은 딜레마적 상황을 예로 들며 현대 철학이 다루는 가장 인기 있는 주제, 즉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대립을 도마 위에 꺼내 놓는다. 저자는 두 이념을 구체적으로 소개하는데 그치지 않고 이들이 공존하고 발전하기 위한 방법까지 제시한다. 그가 내린 결론은 책의 제목이 가리키듯 '도덕'이다.

언제나처럼 샌델은 그의 주장 주변에 충실한 사례를 배치한다. 이번엔 미국 민주당과 공화당이 벌인 오랜 정치투쟁과 그 과정에서 도덕이 쓰인 역할이 그것이다. 샌델은 공화당이 도덕적 담론을 선점함으로써 수십 년간 민주당에 대한 정치적 우위를 점할 수 있었다며 민주당이 빌 클린턴 대에 이르러서야 반격에 나섰다고 주장한다. 그는 이어 과거 정치에서 도덕이 발휘한 힘을 역설하고 다가올 세상에서 도덕이 담당할 수 있는 역할을 강변하는데 이는 곧 이 책의 주제와 맞닿는다.

논의의 끝에서 그가 가닿는 결론은 공동체의 도덕이다. 보다 정확히는 공동체에 대한 도덕의 개입이다. 다원주의적 중립이란 이름으로 도덕이 실종된 사회에서 다시 도덕의 역할을 논하는 게 이 책의 진정한 목적인 것이다.

샌델이 보기에 국가의 도덕적 중립이란 원칙 아래 돌아가고 있는 현재의 세계는 그리 오랜 전통을 갖고 있지 않다. 기껏해야 지난 반세기 동안 발전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샌델은 공공선에 대해 숙고할 줄 아는 사람들의 사회를 그린다. 그리고 이 같은 사회를 이룩하기 위해서는 나 자신과 마찬가지로 타인에게도 자유가 있다는 사실 이상의 것이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소속감과 책임감, 공공의 유대가 그것들이다.

<정의란 무엇인가>에서 익히 소개된 공리주의와 존 롤스의 이론은 이 책에서도 차례로 소개되며 저자의 주장에 힘을 싣는다. 각 이론이 지닌 가치와 한계가 언급되는데 책을 읽다 보면 그것들이 샌델의 철학에 상당한 자양분이 되었음을 이해할 수 있다. 무엇보다 존 롤스의 차등원칙이 샌델이 생각하는 도덕의 근간을 이룬다는 사실은 명백하다.

폭주하는 신자유주의적 경제질서와 그 밑바탕이 되고 있는 도덕적 중립성은 더는 지속돼선 안 된다는 게 이 책에서 보인 샌델의 결론이다. 사회 구성원들은 어차피 도덕적 문제에 대한 기본적 욕구를 갖고 있으며 이왕이면 이 욕구를 보다 바람직한 방향으로 발현시키는 것이 공동체에 있어서도 긍정적이라는 게 책의 결말이다. 바람직한 방향이란 곧 너와 내가 남이 아니란 사실을 인정하고 그에 책임을 지는 것이다.
2024년 3월 4일
0

김성호님의 다른 게시물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그저 그렇게 살아서는 도달할 수 없는 세계가 있음을 알린다. 익숙한 무엇을 다시 돌아보게 하는 소다 마사히토의 역량이 돋보인다.

출동119구조대 세트

소다 마사히토 지음
대원씨아이(만화) 펴냄

2일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30년쯤 전 일본 만화잡지에서 활발하게 활동하던 작가 아즈마 히데오가 증발한다. 밀어닥치던 마감도, 어시스턴트이자 아내인 가족까지 내버려둔채 종적을 감춰버린 것. 일상생활이 어려울 만큼 술에 의존하고 있었단 증언은 그의 삶이 안에서부터 서서히 붕괴되고 있었음을 짐작케 한다. 로리콘인가 모에붐인가에 휩싸여 원치 않는 장르에서 명성을 얻은 것도 영향이 있었을까. 알 수 없는 일이다.

<실종일기>는 1992년 행방불명되었다가 수년 만에 돌아온 아즈마가 그간 있었던 일을 만화로 그린 작품이다. 쓰레기를 뒤져 먹고 살던 노숙생활부터 막노동과 가스배관 작업을 하며 겪은 일, 정신병원 입원까지의 이야기가 특유의 유머와 함께 절제된 컷구분 속에서 담담하게 옮겨졌다. 정말 처절한 이야기는 너무 처절하여 담을 수 없었다는 고백에 마음이 쓰이는 가운데, 어째서 아즈마가 만화 본고장 일본에서 일류라 불렸는지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실종일기

아즈마 히데오 지음
세미콜론 펴냄

4개월 전
0
김성호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성호

@goldstarsky

주인공은 어둠을 무서워하는 아이다. 불을 끄면 어둠 가운데 어떤 존재가 숨어 있을지 모른다는 두려움에 히스테릭한 반응까지 보이기 일쑤다. 어떤 존재가 몸을 숨기고 있다가 저를 덮칠 것만 같아 귀를 쫑긋 세우고 있자면, 자연히 작은 소리까지 예민하게 들려오곤 한다. 그런 소리가 들릴라치면 두려움은 더욱 선명한 공포가 된다. 엄마는 제 두려움을 몰라주고 그저 불 끄고 자라고만 하니, 아이 홀로 키가 닿는 대로 불을 켜고 다니기 일쑤인 것이다.

어둠 속 존재와 함께 세상을 날아다니며 빛이 없는 공간의 매력을 발견하는 작업이 이 동화의 중점적인 이야기가 된다. 경험을 한 아이는 그 전과는 완전히 달라진 존재가 된다. 성장하고 배움을 얻는 것이다. 작은 두려움일지라도 그를 마주하고 극복하는 경험을 통해 용기가 무엇인지를 알게 한다. 또한 인간이 아닌 형태의 존재와 우정을 나누는 모습을 통해 편견을 극복하고 성장하는 드라마를 표현한다.

불 끄지 마

이기웅 지음
길벗어린이 펴냄

5개월 전
0

김성호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