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왜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는가?
장 지글러 지음
갈라파고스 펴냄
인간으로서 결코 침해당해서는 안 될 기본적인 권리, 인간이 인간으로서 살아가기 위해 반드시 보장되어야 할 권리가 있다. 생명과 자유가 바로 그것이다. 현대 민주주의는 국민들의 생명과 자유를 기본적 권리로 규정하고 구체화하여 이 중 핵심적인 부분에 대해서는 어떠한 경우에도, 설령 그것이 공동체의 이익과 충돌한다 할지라도 훼손당하지 않도록 보호하고 있다. 덕분에 민주주의 국가에 살아가는 사람들은 인간답게 살아가기 위한 최소한의 틀을 어느정도 법적으로 보장받을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권리는 사회계약론에 기초한 개념이기에 사회계약에 참여하지 않은, 즉 사회공동체의 바깥에는 적용되기 어렵다. 우리나라에 있는 한 사람이 먹지 못해 심각한 기아에 처해있다면 나라가 거두어서 그를 먹여야 할 것이지만 저 멀리 아프리카에 있는 한 사람이 같은 상황에 놓여있다면 그 누구도 나설 의무가 없는 것이다. 때문에 이들에게는 선진국으로부터 시혜적인 도움이 베풀어질 뿐 근본적인 문제해결의 책임은 외부의 누구에게도 주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공리주의는 전 지구적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이 될 수 없다.
그러나 이들이 겪는 어려움에는 우리와 연관된 외부적인 요인이 존재하는 것처럼 보인다. 뜨거운 태양 아래서 종일 일하는 이들이 가난을 면치 못하는 데는 국제사회의 식량가격 조정으로 인한 농산물 가격의 폭등과 이들이 생산한 농산물보다 훨씬 경쟁력 있는 가격으로 대체 상품을 수입하는 국가의 정책, 그리고 이를 강요하는 기업의 존재가 영향을 미치는 것이다. 때문에 가난한 나라에서 그들의 국가로부터도 보호받지 못하는 개인은 더욱 가난해질 수밖에 없다.
이 책은 바로 이 지점을 짚어나간다. 책은 먼저 굶주림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의 구체적인 상황을 보여준다. 우리가 굶주림을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올리는 아프리카 외에도 동남아시아와 중남미, 동유럽 등지에서 살고 있는 도합 8억 2800만 명에 이르는 사람들이 만성 영양실조 및 심각한 기아상태에 처해 비타민A 결핍으로 인한 시각장애와 구루병, 뇌기능 장애 등으로 고통 속에 죽어간다는 것이다.
그런데 저자는 또 하나의 놀라운 사실을 전한다. 인류가 이미 세계의 모든 사람들을 먹여 살릴 만한 식량을 확보하고 있다는 것이다. 19세기 후반의 산업혁명과 그에 따른 기술 혁신으로 다른 분야에서처럼 농업분야의 생산성도 눈부시게 향상되어 지구의 모든 사람들을(FAO의 1984년 통계에 따르면 120억의 인구까지도) 충분히 먹일 수 있을 만큼의 식량 생산량이 달성되었음에도 여전히 지구에는 기아로 고통 받는 사람들이 존재한다는 것이다. 이는 기아 문제가 단순히 생산성과 결부된 것이 아니라 어떤 구조적인 문제와 연관이 있다는 것을 뜻한다.
저자는 본문을 통해 전쟁과 환경문제, 국제식량가격 형성과정의 부조리, 여러 나라들의 이기주의 같은 문제들 때문에 세계의 절반은 굶주리고 있는 상황을 생생한 경험을 바탕으로 알기 쉽게 설명한다. 이 모든 문제들은 매우 강렬한 사례들을 통해서 지지되고 있지만 동시에 복합적이고 미묘한 성격의 것들이어서 서로 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알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하지만 에필로그에 이르러 저자는 기아와 관련된 모든 문제가 사회적, 경제적, 정치적 영역의문제가 되었으며 그 배후에는 세계를 지배하는 금융자본과 시장원리주의가 있다고 규정짓고 이를 세차게 비판한다. 그리고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궁극적으로 세계여론의 연대의식 형성과 경제지배자들의 각성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물론 이 같은 결론이 다소 빈약하게 느껴질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가 제안한 대안 없이는 기아의 극복 역시 쉽지 않다는 사실을 알고 있기에, 또 기아의 극복을 위해서 그 배후에 감춰진 진실과 거대한 위선을 모두가 알아야만 하기에 이 책이 나름의 의의를 가진다고 생각한다.
2
김성호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