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제목 : 완벽한 시간
장르 : 추리소설
저자 : 권중영
---
1. 재미: ★★★★☆
흡입력이 강하고 영화처럼 생생한 묘사가 돋보이지만, 마무리의 개연성 부족이 아쉬움.
2. 흡입력: ★★★★★
시작부터 독자를 끌어당기는 힘이 강하며, 완독 욕구를 자극하는 스토리 전개.
3. 구성: ★★★★☆
단서와 반전이 어우러진 치밀한 구성, 그러나 일부 캐릭터의 역할 배분이 부족하게 느껴짐.
4. 완성도: ★★★★☆
마지막 반전의 개연성이 약간 부족했지만, 전체적으로 영화 같은 몰입감이 돋보임.
---
이 책은 처음부터 흡입력이 뛰어나 눈이 피로하지 않았다면 한 자리에서 끝까지 완독할 수 있을 정도로 몰입감이 강했습니다. 독서를 자주 하지 않는 분들에게도 입문 도서로 적합하다고 생각됩니다.
제가 이 책을 읽으며 느낀 가장 큰 특징은 '영화 같다'는 점이었습니다. 매 장면이 머릿속에 생생히 떠오를 정도로 묘사가 뛰어났고, 다른 책에서는 좀처럼 느끼지 못했던 생동감을 경험했습니다. 제 삶과 가까운 소재는 아니었지만, 등장인물들이 특히 입체적으로 느껴졌습니다. 마치 실제 존재하는 인물들처럼 다가왔는데, 이 부분이 특별히 좋았습니다.
책의 마지막에서 저자를 소개하는 부분을 읽고 나니, 저자의 배경(검사 출신, 현재 변호사)이 이러한 생동감을 가능하게 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야기의 진행 과정에서 하나씩 단서가 주어지고, 이를 통해 추리를 이어가며 전개되는 방식은 영화뿐만 아니라 게임으로 만들어도 정말 매력적일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특히 독자가 직접 단서를 찾아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게임이라면 흥미진진할 것 같습니다. (이 서평을 보신다면, 좀 더 보완해서 게임으로 만들어주셨으면 좋겠다는 작은 바람을 담아봅니다!)
책 제목인 *완벽한 시간*은 왜 이런 제목일까? 생각했지만, 마지막에 그 이유를 알 수 있었습니다. 다만, 결말에서 반전의 개연성이 살짝 부족하지 않았나 하는 아쉬움이 있었습니다. 조금 더 자연스럽게 이야기를 마무리했다면 독자들에게 더 큰 감동을 줄 수 있었을 것 같습니다.
부정적인 점을 조금 더 이야기하자면, 박 형사의 무능력이 부각되고 주인공 혼자 모든 것을 진행하는 느낌이 강하게 들었습니다. 특히, 대한민국의 현실을 반영한 듯한 경찰의 무능력이 책 속에서도 강하게 드러났습니다. 경찰이 사기를 비롯한 범죄를 제대로 해결하지 못하고, 늘 포기와 종결로 사건을 끝낸다는 점은 현실에서도 종종 느끼는 답답한 문제입니다. 이런 현실적 배경이 이야기에 반영되었기에 독자로 하여금 공감과 동시에 답답함을 느끼게 했습니다.
이러한 설정은 주인공의 독자적인 활약을 더욱 부각시키는 장치였겠지만, 경찰의 역할을 조금 더 균형감 있게 설정했다면 더 흥미진진한 이야기가 되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러한 경찰의 무능력이 역으로 독자가 직접 주인공이 되어 사건을 해결하는 게임으로 제작된다면 더 재미있을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추리와 단서를 통해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는 경험은 책에서 느낀 스릴과 재미를 그대로 이어갈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오타가 종종 있었어요!
---
2
이 책에 대해 조심스럽게 설명할 것이다. 하지만 좀 날카로운 서평이 될수 있겠다.
글은 잘썼다. 허나, 독자를 위한 책은 절대 아님을 잊지 말아야한다.
읽기 좋은 책은 아니다.
몇번이고 이해가 안가는 대목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서평 책이었기 때문에 본인들이 읽은 사실 위주로만 생각을 풀어써냈다.
독자가 정해져있다는 이야기다.
서평책이란걸 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자면. . 본문 사진에 게재된 목록을 읽어 서평을 썼다고 할 수 있겠다.
초반부는 민주주의, 중반부부터는 광해군, 폰트..등 좀 자유로운 서평주제가 일색이었다만.-
역시 본인이 읽은 책에 의해 본인은 이렇게 생각한다. 에 대해서 [그 말이 뭔지]에 대해서 독자에게 풀어써내는게 없다.
무슨소리지? 하고 다시 읽어도 그냥 소 귀에 경읽기다.
그래서 사실 이 책에 대한 서평은 몇몇 구절은 좋았다. 하지만 그걸로 끝. 본인이 알고있는 독서에 관한 토론 학술지인가? 이걸 책으로 펴내쓴다면
독자가 그 책을 읽었을것이란 전제 하가 아닌, 사전 설명으로 흥미를 당기는게 필요하다.
흡입력이 없다는게 단점이고 책으로써도 안타깝다.
그러니까, 그들만의 리그라는 느낌이다.
그래도 여차저차 끝까지 다 읽었다.
역시 드는 감정은 그래도 조금 더 독자의 진입장벽을 낮추기 위해 흥미를 끌어당기는 요소들이 있었으면 한다는 것이다.
챕터마다 그 글을 쓰신 분의 학력이나 경력같은 것이 아래에 적혀져있다.
실은 글을 읽을 때마다 다들 어떤 분이셔서 이렇게 내가 이해하기 어려운 서평을 하나 싶기도 했다.
나와 다르게 좀 어려운 책들도 곧 잘 읽으시는 분들 같다.
총평은 3점이지만 실상 내 평점은 더 낮다.
머리에 들어와야 책이 정보를 전달하는 매개체라는 역할을 제대로 할텐데 이 책은 나한테 전혀 그러지 못했다.
다만, 이 책을 읽는 사람이 흥미롭게 읽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알면 재미있게 느껴지지 않겠는가, 하지만 이 책을 읽기 위해선 전제조건이 꽤나 까다롭다.
p.s 서평 신청 후 바로 생각치도 못한 입원을 하게 되어 서평을 기간까지 끝내지 못할까 두려움이 더 컸었는데, 이 부분을 이해해주신 알렙출판사분들께 깊은 감사를 전합니다.
서평이 그리 평이 좋은편은 아니었지만, 포퓰리즘이나 이데올로기, 석유, 옐런 등- 처음 접하게 된 단어들에 대해서도 조금은 재미를 느꼈었던 것 같습니다.
귀중한 서평의 기회를 주신 관련된 많은 분들께 감사인사 올립니다.
오랜만에 서평이라 글이 매끄럽지 않을까 걱정되네요 :) 더 많은걸 알고 많은것에 흥미를 가지는 현정이 되고싶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서울리뷰오브북스
박찬국 외 15명 지음
서울리뷰오브북스 펴냄
2
김민호
💚
2023년 10월 3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