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장 인지심리학의 역사
구조주의 - 행동주의 - 인지과학
구조주의는 스스로 내부를 바라보는 것. 무의식적인 작용들을 알수없는 등 한계
행동주의는 입력과 그에 따른 출력값을 보는 것
조작적 조건화가 대표적임
스키너의 언어혁명
인지과학은 스키너에 대한 촘스크의 비판 이후 등장
마음을 컴퓨터로 비유
2장 뇌
기능의 국소화: 복잡한 행동과 사고는 뇌의 여러영역에 걸쳐 일어나기도 하지만, 특정한 행동은 피질의 특정한 영역에 국소적으로 관련될 수 있음.
뇌는 단백질과 지방으로 이루어진 기관임.
뇌의 바깥 부분을 피질(cortex)라 하며 대다수의 인지 행동이 일어남
피질 아래 하부구조(subcortical) 기억을 만들어내고 감정을 이해한는데 중요.
중뇌와 후뇌 등 다른 구조들은 심장박동, 호흡 같은 생명활동 유지에 도움을 주는데 이 책에서는 논의x
백색물질과 회색물질
뇌는 백색물질과 회색물질로 구성되어있음. 회색물질은 뉴런 세포의 집함임. 피질은 평균적으로 160억개의 뉴런으로 이루어져있으며, 각 뉴런은 다른 뉴런과 다중적으로 연결되어 있음
백색물질은 지방조직으로 연결조직(축삭돌기, 가지돌기)와 미엘린이 대부분. 뉴런에는 다른 뉴런과 연결되는 부위인 축삭돌기와 가지돌기가 존재. 미엘린은 축삭돌기를 감싸는 절연체로 절연이 많이된 뉴런일수록 전지자극이 한 뉴런의 말단에서 다른 뉴런의 말단으로 더 빠르게 이동해 인지 처리 속도가 높아짐
하지만 백색물질과 회색물질의 구분이 사고에 관해 알려주지는 않음. 중요한 것은 뉴런의 모임과 모인 뉴런들의 국소적인 작동으로, 이런 뉴런의 모임을 엽이라고 하며 대뇌피질에는 4가지 엽이 존재
4가지 엽: 전두엽, 후두엽, 두정엽, 측두엽
1. 후두엽
후두엽(occipital lobe)의 주된 기능은 시각
눈으로 들어온 정보가 시각 경로를 따라 후두엽 가장 뒤쪽에 도달. 뉴런정보가 다시 앞쪽으로 흐르며 정보를 준해하며 윤곽, 모사리, 움직임, 공간적 위치 등 개념적 정보를 도출함
2. 두정엽(parietal lobe)
감각 및 공간 통합을 담당 -> 후두엽에서 두정엽으로 이어지는 시각적 정보흐름을 종종 where system이라고 함
다른 감각기관에서 온 정보(촉각) 처리
3. 측두엽(temporal lobe)
측두엽으로 흐르는 시각정보의 흐름을 what system이라고 하는데, 측두엽에서 무언가에 이름을 붙이고 개념을 형성하기 때문
측두엽은 머리측면, 귀 뒤쪽에 위치해 청각 정보가 처리되는 곳이기도 함
피질 하부구조인 해마가 있는 곳이기도 함 (기억에 관여)
따라서 측두엽에 손상 입으면 기억, 음성언어 이해, 사물 인식능력이 손상될 수 있음
4. 전두엽(frontal love)
인지심리학
존 폴 민다 지음
웅진지식하우스 펴냄
읽고있어요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