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이북 앱으로 보기
+ 팔로우
하루 24시간 어떻게 살 것인가
아널드 베넷 (지은이), 이은순 (옮긴이) 지음
범우사 펴냄
아침의 한 시간은 밤의 두 시간 이상의 가치가 있다
일상의 일로 그렇게 피곤해진다면, 그것은 당신의 생활의 균형이 잘못된 것이므로 시정해야만 한다고. 인간의 정력은 일상의 일에 모두 빼앗겨 버려서는 안 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할 것인가.
분명한 것은 머리를 써서 무언가 당신의 정열을 일상의 일에만 모두 써버리지 않도록 하는 일이다. 당신의 엔진을 일상의 일에 쓰기 전에(후가 아니다) 먼저 그 이외의 무언가에 쓰는 것이다. 간단히 말하면, 아침 일찍 일어나는 것이다.
하루의 3분의 2의 시간을, 3분의 1일을 차지하는 근무 시간에 단지 추가로 붙어 있는 시간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간주한다면(게다가 그 3분의 1의 시간에조차 전혀 정열적으로 일하지 않으므로) 완전히 충실한 하루를 보내는 것이 어떻게 가능하겠는가? 가능할 리가 없다.
밤에 즐거운 마음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이 있을 때, 모든 정력을 기울일 수 있는 무엇인가가 있을 때, 그것을 생각하는 것만으로도 그날 하루가 빛나고 활기에 넘친다는 것을 당신은 부정할 수 있겠는가.
주 6일, 매일 아침의 적어도 30분간, 그리고 일주일에 3일 저녁 1시간 반씩을 합하면 주 7시간 반이 된다.
내가 말하려는 것은 이 7시간 반을 완전히 활용한다면 그 주일 전체가 활기와 정열에 넘치게 되며, 따분하기 그지없는 직업에조차 관심이 높아지게 된다는 것이다.
아우렐리우스와 에픽테토스가 쓴 책 이상으로 언제까지나 ‘신선한’ 책을 알지 못하기 때문이다. 당신이나 나처럼 평범한 인간(허세와 잘난 체, 비상식을 싫어하는 인간)의 일상생활에 응용할 수 있는 평범한 상식이 이 이상으로 가득찬 책을 본 적이 없기 때문이다.
시험삼아 밤에 1장이라도 좋으니까 한번 읽어 보기 바란다. 짧아서 1장이랄 것도 없이 금방 몇 장이라도 읽겠지만. 그리고 다음날 아침 어젯밤에 읽은 것에 관해 생각을 집중해 보기 바란다. 그러면 내가 말한 것을 납득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모든 일은 원인과 결과가 끊임없이 잇달아 일어남으로써 전개된다는 사고 방식을 가진 사람은 바다를 보고 그 기본적 구성 요소를 깨닫는다. 즉 지질학적 관점에서 그저께는 수증기에서, 어제는 끓어오르고, 내일은 얼게 되리라는 필연적 요소를 이해하는 것이다. 이런 사람은 액체는 고체로 되는 과정에 있는 데 지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안다. 그리고 그로부터 유의전변하는 인생의 한없는 풍요로움에 대한 인식에 도달하는 것이다. 끊임없이 자기를 갈고 닦음으로써 얻은 이러한 진정한 통찰력만큼 인간에게 항구적인 만족감을 주는 것은 없다. 이것이야말로 과학의 목적이라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흥미를 가지고 매일 저녁 1시간 반 정도씩 런던의 부동산 문제를 연구해 보길 바란다. 그렇게 하면 일이 점점 재미있어져 일할 의욕이 높아지고 생활 전체가 바뀌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박식한 체하는 인간이 되지 마라
2
고매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