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이 책은··· 이 책을··· "그러나 지금 현재가 너무 이상하고 비현실적이어서 어느 쪽이 진짜 현실인지 알 수 없었다." (118쪽)
*
혼란하다. 이상한 책이다. (···) 사실 정지돈의 전작을 읽어보았다면 이상할 건 하나도 없다. 난 이 '이상함' 때문에 정지돈을 좋아하니까. 읽다가 자꾸 『모든 것은 영원했다』(문학과지성사, 2020)가 떠올랐다. 그 작품 후반부 「미래를 전망함」에서는 소설가 '나'가 등장하는데, 이번 책의 후반부 「아타리 다이어리」에서도 웹소설가 '나'가 등장한다.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불의"를 "대의나 목표, 의미와 연결할 수 없었다"(166쪽)는 점에서 두 작품의 주인공인 '정웰링턴'과 '프랜'이 겹치기도 하고.
물론 이번 책이 훨씬 더 골때린다. 당연함. 저번 책은 과거의 인물을 조망하며 "미래를 전망"했다면, 이번 책의 배경은 온통 근미래니까. 실로 어질어질 아찔하고, 웃음은 사방팔방서 새어 나오고, 어쩜 이 작가는 이런 사소한 것조차 빼먹지 않을까, 진정 K-문학계의 침착맨일세··· (물론 이 지점에서 '침착맨'에 대한 여러분과 저의 견해가 다를 수 있음 주의) 읽으면서 이런 생각을 했다.
*
"그때 생각하자. 좋은 말이지만 프랜은 지금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고 생각했다. 그때가 되면 욕망은 달라질 것이기 때문이다. 우리를 둘러싼 환경도 변하고 약속이나 다짐, 상상이나 꿈은 헌책처럼 창고에 처박힐 것이다. 그러니 지금 구체적으로 상상해야 한다. 구체적인 건 무엇이나 현실이니까. 미래는 시간이 아니라 꿈속에 있다." (70쪽)
전작에서 정지돈은 현재에서 과거를 통해 미래를 바라보았다. 이번에 그는 현재에서 근미래를 통해 미래를 바라본다. 위의 문단을 읽으면서 나는 정지돈이 등장인물의 입을 빌려 우리게 종용하고 있다 느꼈는데, 이 책을 읽다 보면 수십 번 넘게 다음에 읽자는 생각이 드니까. 음··· 2022년의 인류가 이해하기에는 너무 이른 작품이네··· 이런 생각이 드니까. 그러나 "미래는 시간이 아니라 꿈속에 있다". 구체적으로 상상하는 우리에게 있다! 이렇게 외치고 있는 것만 같다.
*
물론 그도 안다.
"그 속사정을 알 수 없다고, 안다 해도 되돌리거나 움직일 수 없고 움직인다 해도 우리가 원하는 방향으로 흘러가지 않을 거라고. 그것이 때로 우리를 절망하게 할지 모르지만 대부분의 경우 아주 작고 표면적인 일을 통제하고 실천하는 것에 만족하며 살 거라고." (148-149쪽)
현재에서 미래에 대해 어쩌고저쩌고 한다 해도 우리는 그저 작은 일에 만족하며 사는 사람이 될 거라는 사실을. 그렇기에 나는 작가에게 참 고맙다. 적어도 조금 큰 일을 통제하고 실천하고 있다고 착각하게 해주네. "말이 단지 말을 하는 것뿐"일지라도 "언어가 아무것도 아닌 건 아니다"(194쪽). 이거야말로 떠먹여 주는 『미래 산책 연습』 아님? '세계의 인용의 인용'을 추구하는 정지돈, 이번에도 열일했다. 이 한 권으로 뚝-딱, 미래를 예습해버린 것 같아 기쁘다. (물론 한 오백 번 정도 읽어야 다 이해할 수 있을 듯함.)
*
"누가 그런 말을 했다. 무언가를 설명하기 위한 유일한 방법은 실천하는 거라고, 생명을 설명할 순 없지만 생명을 창조할 순 있다고, 미래를 아는 유일한 방법은 미래가 오길 기다리는 거라고, 그게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이라고." (186쪽)
작가의 말에서 작가는 말한다. 그래서 나는 소설을 썼다고. 앞으로도 쓸 거라고. 그럼 나는 이렇게 말해야지. 그래서 나는 정지돈을 읽는다고. 앞으로도 읽을 거라고.
5
샤대프린스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