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선릉 산책
정용준 (지은이) 지음
문학동네 펴냄
장면 1. 올해 1월, 유독 눈이 많이 내리던 날, Y와 송도 카페꼼마에 갔다. 무슨 책이든 사고 싶었고, 그 전에 책을 읽기로 했지. 오래 고민하다가 이 책을 골라 들었다. 앞에 실린 두 편, 「두부」 「사라지는 것들」을 읽었다. 마침 거기에도 눈이 펑펑 내리고 있어서, 내 마음에도 눈이 펑펑 내릴 수 있었고, 기어이 눈물짓는 나.
장면 2. 4월 어느 날, 퇴근하고 집에 오는 길에 엄마랑 싸웠다. 항상 그랬듯 부푼 분노였고 책망이었고 금세 사라졌는데 왜인지 아무 말도 할 수 없는 상태가 되었다. 석 달 전 읽은 이야기가 떠올라서 「사라지는 것들」을 펼쳐 들었다. "세 마디만 섞어도 화내게 된다. 그러고 싶지 않은데 계속 잔소리를 하게 된다. 짜증 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감정이 실린다." (30쪽) 우리가 서로의 가족이라는 것, 내 나이만큼의 시간 동안 우리가 함께했으며 당신 나이만큼의 시간까지 함께 한다는 것. 그 사실은 두렵고 슬프고 그렇다. 물론 좋겠지만. 행복하겠지만.
장면 3. 「선릉 산책」부터 마저 읽었다. 그때 읽지 않은 이유가 있던 것이다. 촉박한 시간 때문이기도 했지만, 그것만이 다는 아니라는 걸 이제 안다. "창문을 깨는 두 발의 쇠구슬처럼 내 마음의 안쪽을 강하게 타격"하는 소리가 무엇인지 아니까. "그의 토요일과 일요일"을 궁금해했다가 "어째서인지 금세 마음이 안 좋아"(78쪽)진 적 있으니까. 당최 무슨 소리인지 궁금할 수 있다. 하지만 "말하기가 너무나 귀찮을 뿐"(107쪽). 이 소설은 내게 너무도 적확하게 당도했다.
장면 4. 1월 말에 『유령』(현대문학, 2018)을 읽었다. 「두번째 삶」을 읽으면서 그 책을 떠올렸다. 악의 이야기, 악인의 이야기. 더 나아가, 악을 추동하는 또 다른 악(인)의 이야기. 그때 좋았던 해설의 문장, "우리에겐 악을 모를 권리가 없다"는 말. 그 문장은 다시금 이 소설과 결합한다. 마지막 반전이 흥미로웠던 작품.
장면 5. 『내가 말하고 있잖아』(민음사, 2020)를 빌린 적 있다. 펼쳐보지도 못한 채로 반납했지만. 「이코」를 읽으면서 그 책을 떠올렸다. 읽은 적 없는 책을 떠올리다니, 신기한 일이네 하면서. 어쩌면 작가가 천착하는 지점이 유사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 대상을 접해본 적 없기에, 생경하면서도 고맙고 감사한 마음으로 읽었다.
장면 6. 이 책의 마지막은 너무도 훌륭한 두 작품, 「미스터 심플」와 「스노우」가 든든히 지키고 있다. 이 소설의 가장 아름다운 장면은,
"양볼에 가득 숨을 모아 금관으로 불어넣는 미스터 심플의 모습은 근사해 보였다. 쓸쓸해 보였고 슬퍼 보였다. 그걸 아름답다고 말해도 될까. 나는 슬프고 우울한 것에 의미를 부여하는 일에 진력이 났다. 그것이 지겹고 다 거짓말인 것 같다. 그런데 눈 내리는 깊은 밤. 창고처럼 좁은 낯선 방에서 H가 좋아했던 음악을 호른으로 듣는 이 순간이 좋았다. 슬퍼서 눈물이 쏟아지려고 했다." (「미스터 심플」, 228쪽)
장면 7. "누군가 내게 당신은 누구입니까? 라고 묻는다면 나는 이렇게 답할 것입니다. 내 이름은 슬픔입니다." (「미스터 심플」, 211쪽) 지금 내 이름도 아주 그렇다.
4
샤대프린스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