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잿빛극장
온다 리쿠 (지은이), 김은하 (옮긴이) 지음
망고 펴냄
읽었어요
그렇구나. 이런 인생도 있구나.
하나의 상념이 떠올랐다.
‘파란만장‘ 하지도 않고 ‘노래에 살고 사랑에 살고’ 있는 것도 아니며 ‘온 힘을 다해’ 살지도 않지만, 다른 누구도 아닌 자신의 인생이다. 태어나서 죽는 날까지 한정된 시간을 사는 인생이다.
그 일회성만큼은 어떤 인생이든 마찬가지고 예외가 없다. 그중 하나가 바로 내 인생이다.
일상생활 속에서 서서히 실감했다.
사람은 나이 들수록 타고난 성격이 드러나는구나. 인격이 형성될 시기에는 자신이 바라는 모습을 그리면서 스스로 모난 구석을 깎아낸다. 후천적인 노력으로 성격을 만들어가는 셈이다. 다시 말해 사회생활을 잘할 수 있도록 도금하듯 본래 성격에 새로운 성격이 입힌다. 그러나 세월이 흐르면서 도금이 벗겨진다. 한동안 도금이 유지되도록 열심히 노력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벗겨진 도금을 다시 입힐 기력이 쇠해서 결국 본래 성품이 드러나기 마련이다. 그때가 오면 주변에서 맨 처음의 성격이 나오는 법이다.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일상. 참으로 불가사의한 단어가 아닐까.
‘일상’은 ‘인생’과 별반 다르지 않은데도, ‘인생’이라는 단어가 주는 거창한 울림에 비해 하찮게 들리는 이유가 무엇일까.
‘일상’은 날마다 반복되는 하루하루를 의미한다. 예컨대 ‘일상’이 일기의 한 페이지나 하루 한 장씩 떼는 일력과 같다면, ‘인생’은 하나로 이어진 두루마리 그림이나 한 편의 영화와 같기 때문일까.
일상.
이 단어는 겉모습만 보고 깜박 속아 넘어가기 쉽다. 당연하다는 듯 아무렇지도 않은 얼굴로 끊임없이 흘러가는 나날. 도도한 표정으로 ‘이게 보통이에요.’라고 툭 한마디 던지고는 저만치 서 있다. 언뜻 보기에 평범하기 그지없어서 우리를 안심시키고 선뜻 몸을 내맡기도록 유인한다. 그러다 보니 마냥 흘러가는 대로 내버려 두기가 십상이다.
하지만 거기에 함정이 숨어있다. 똑같이 반복되는 듯 보여도 그 이면에는 야금야금 뭔가가 진행되고 조금씩 쌓여간다.
필요한 무언가가 ‘없다’는 것은 대수롭지 않은 듯 보여도 일상생활에 상당한 불편을 초래하고 안정감을 빼앗는다. 바로 이러한 이유로 마음이 술렁이지 않았을까?
동시에 일상은 자질구레한 일들로 채워진다는 점에 놀라는 한편 무언가 '없다'는 것만으로도 손쉽게 '일상'이 흔들리기도 한다는 점에 두려움을 느꼈다.
따라서 일상을 유지하려면, 삶을 살아가려면 무언가 사라지기가 무섭게 빈자리를 메워야 하고 오늘도 내일도 앞으로도 하나하나 채워 넣어야 한다.
아마도 사람은 온갖 자질구레한 일상을 통틀어 현실이라고 부른다는 사실을 깨달은 순간, 앞서거니 뒤서거니 ‘절망’에 빠지는 게 아닌가 하고 짐작했다.
3
Lucy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