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 팔로우
무진기행 (김승옥 소설집)의 표지 이미지

무진기행

김승옥 지음
민음사 펴냄

<무진기행, 김승옥, 1964>

대체로 단편이 10장 정도라면,
33쪽이나, 순식간에 읽힌다.

안개가 그렇듯 내가 의식하지 못한 채 안개는 벌써 내 주위에 있었고, 인식하자마자 앞이 안보이다가 갑자기 사라진다.

시작은 "무진으로 가는 버스 10km"이정비로 명확하게 숫자로 보여 주고, 끝은 "당신은 무진읍을 떠나고 있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라고 팻말이 씌여 있었다. 나는 심한 부끄러움을 느꼈다"로 끝맺는다.

밤사이에 진주해 온 적군들처럼 /
이승에 한이 있어서 메일 밤 찾아오는 여귀가 뿜어내는 입김처럼 /
사람들로 하려금 해를 바람을 간절히 부르게 하는 안개에 대한 묘사가 다양하다.

고향이 '무진'인 나 "윤희중"은 서울에서 실패로부터 도망칠때, 새출발이 필요할때 무진으로 갔었다. 예전에는 어머니에 의해 의용군 징벌도 국군 징병도 골방에서 숨어 피해버렸던 나다. 지금은 제약회사 승진을 앞두고 아내와 장인에 의해 고향으로 휴가차왔다.

밤에 중학교 후배 '박' 선생과 세무서장이 된 동기 '조', 음악선생 '하인숙'을 만나 어울리다, 인숙을 집에 데려다 준다.

"미칠 것 같은 무진에서 서울로 데려다 주세요. 네?" 왜 이 여인은 나에게 데려다 달라고 하는 걸까? 돈도, 호감이 있는 듯하니, 생계를 책임져 달라는 건가? 나를 유혹한다.

그녀의 조바심이, 나의 불안으로 바뀐다. 심한 애정을 느끼는 탓이다.
아내의 상경하라는 전보에, 인숙에게 "사랑한다"고 쓰고는 편지를 부치지 못하고 찢는다.

* 어머니의 강요로 징집을 피해 숨었어야 하고, 지금은 아내의 입김에 기대 승진이 되기를 기다리는 "희중".

** '나는 상황에 따라 누군가가 정해주는 바에 따라 초라하게 움직이는가?'라고 고민하지 않았을까? 찾아온 연애도 상황이 먼저다. 상실이다. 자신을 잃어버린 사람. 그는 앞으로 어떻게 살아갈까? 우리는 그와 다르게 살아가는가?
2022년 3월 26일
0

진교왕님의 다른 게시물

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냉철한 예리함?

자전적인 이야기가 누구나 놀랄만한 이야기가 아니면, 평범하고 훙미를 잃는다.
작가에게 아버지는 가족이니깐 당연히 특별해도, 식료품 판매업자의 삶은 평범했다.
의도적으로, 작가는 아버지를 👨 미화하지 않고 사실 그대로를 기록했다. 이것이 소설이 될 수 있을까?

작가는 100페이지의 시작을 아버지의 죽음으로 시작해서~
아버지의 기억을 그저 보여준다. 1899~1967.

- <아니 에르노> 남자의 자리, 102쪽

남자의 자리

아니 에르노 지음
1984Books 펴냄

2022년 11월 5일
0
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잘 읽힌다 싶을 때, 왕창 읽어야 하는 날이 간혹 있다. ^^

어머니는 오래전 돌아가시고, 아버지를 가끔 만나는 라디오 작가 딸, 아버지를 관찰하며 생일을 챙기고 같이 여러일을 같이하면서, 그 소재로 책을 쓴다. 유쾌하고 재밌다.

같이 어머니 성묘도 가고, 밥도 먹고, 친척도 만난다.

재산을 다 말아 잡수신 아버지, 나이 먹을 만큼 먹고도 결혼하지 않는 딸의 이야기. 우리는 가까운대도 서로에 대해 더 모른다.

전쟁은 지들이 저질러 넣고, 피해자인척, 1945년 소이탄이 떨어져 피난 가던 일을 말하기도 한다. 역시 일본인의 역사의식 결여다. 83쪽

"복과 화는 새끼줄처럼 번갈아 온다고 하지만, 부녀는 사랑과 증오를 꼬아서 만든 밧줄과 같다 . 사랑도 증오도 양이 많을수록 밧줄은 굵어지고 튼튼해진다." 256쪽

산다든가 죽는다든가 아버지든가

제인 수 지음
미래타임즈 펴냄

2022년 10월 8일
0
진교왕님의 프로필 이미지

진교왕

@jinkyowang

이영초롱은 1999년 고고리섬(제주 마라도 위 가상의 섬 🏝)으로 서울에서 전학 간다. 아빠의 사업실패. 제주공항에서 대정읍으로 버스타고 🚌 , 다시 섬까지 배를 🛳 탄다.

소녀는 커서 법을 공부하고, 판사가 되어, 법조계의 이효리처럼 다시 서귀포 성산법원으로 발령받아서 온다. 하지만, 법정에서 "엿 까세요" 욕설 2번을 해서 좌천된거다.

복자, 고복자는 제주에서 사귄 친구다. 사투리를 쓰면서 먼저 다가온 복자도 제주에 다시 내려와 살고 있단다.

"제주의 여름이 바람으로 이루어진다면 제주의 가을은 빛이었다. 단풍나무 위로, 잘 익은 감귤 위로 떨어지며 섬의 톤을 농익게 만드는 빛" - 본문 중

복자에게

김금희 지음
문학동네 펴냄

2022년 10월 5일
0

진교왕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