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 2/6 ~ 2/13
중간에 독서를 일주일 쉬었던거 생각하면.. 하루 이틀안에 읽을 수 있는 내용과 분량의 책입니다.
일단 저는 그다지 완벽주의자는 아니기에….책을 읽어가다가 보니 ‘아닌데…?’ 하는 생각이 더 많이 들긴 했지만요~
게으르되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분들께는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저에게는 딱히 쓸모가 없을 듯 하지만 노션, 구글캘린더, 네이버캘린더, 에버노트, 업노트 등의 다양한 어플의 쓰임에 대해서도 알게 되었고요…
(업무나 처리할 일이 많은 분들은 유용하게 쓸 수 있을 듯요)
책 뒤에 부록으로 올려둔 “실습 템플릿”은 이 책에서 설명한 많은 방법들을 단계적으로 적용해볼 수 있게 되어있어요.
주부인 저에게는 적용되는 부분이 많지 않았지만, 할 일은 많은데 게으른 완벽주의자라서 시작이 힘든 분들께는 도움이 될 것 같은 책입니다.
2
1/ 21 ~ 2/6
이 책 속의 “나”는 심장병으로 죽음이 머지 않았음을 직감하고 주변 정리를 시작하는데요…
주변이 다 정리됐다고 생각하자, 마지막으로 자신의 삶을 정리하며 자서전을 쓰게 됩니다.
유년기와 청년기, 철도 공무원으로 중장년기를 성실히 보내고 노년기로 접어들기까지의 이야기에요.
그저 평범한 인생이었다고 생각하며 자서전을 써나가다가, 자신의 삶이 단순하지만은 않았음을 알게 됩니다.
평범한 자아가 주를 이루긴 했었으나, 억척이와 우울증 환자인 자아도 있었지요.
거기에 침입자로서의 시인(짧게 머물고 감), 침입자지만 동료로 인정받았던 영웅, 친척같은 관계인 거지, 우울증 환자의 동료격인 낭만주의자까지…
결국에는 자신의 이런 다양한 기질이 어디에서 온 것인가 고민하다 부모와 조부모까지 소환(?)해서 대화하듯 자서전을 써나갑니다.
이 책을 읽다보니 영화 “인사이드 아웃” 이 생각나더라고요~
버럭이, 까칠이, 기쁨이 등등~
혹시 이 책에서 영감을 얻어 만들어진 영화가 아니었을까요 ㅎㅎ
아 참, 저는 이번에 처음 알았는데요, 우리가 흔히 쓰는 “로봇” 이라는 단어를 처음 만들어 쓴게 카렐 차페크라네요. (그의 희곡작품에서…)
프란츠 카프카도 참 좋아하는데… 카렐 차페크의 다른 작품들도 읽어보고 싶었어요.
체코 문학이 저랑 맞는걸까요 ㅎㅎ
내 안에는 어떤 다양한 자아가 있던가 잠시 생각도 해보게 되더라고요.
그 중에 주된 역할을 하는 자아는 또 어떤 자아인지~
이 책을 읽어보면 다들 그런 생각 하게 되실거 같아요. ㅎㅎ
연휴 때문에 리듬이 깨져 중간에 독서를 오래 쉬어서 완독까지 시간이 좀 걸렸지만… 분량도 적고 읽는게 버겁지 않은 책입니다.
평범한 인생
카렐 차페크 (지은이), 송순섭 (옮긴이) 지음
열린책들 펴냄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