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니키 준페이는 곤충 채집을 하러 휴가를 갔다 모래 구덩이에 갇히게 된다. 흘러내리는 모래에 집이 파묻히지 않도록 삽질을 해야하는 이상한 마을.
하루하루 절망에도, 탈출을 시도하지만 붙잡히고, 포기한 듯 순응하며 매일을 살아간다. 벼랑 위에서 내려오는 새끼줄 사다리가 유일한 탈출구지만, 모래와 생활한 7년 뒤에는 도망갈 필요성을 느끼지 않는다.
토해내고 싶은 기묘한 응어리는 아무도 이해 못할 것이다. 이 마을 사람 외에는. 그래서 주인공은 계속 머문다.
1962년작, 1964년 영화화.
칸 영화제 심사위원 특별상 수상.
초현실주의 기법으로 인간 소외, 정체성 상실을 탐구한 일본의 카프카.
하루 아침에 잠자를 벌레로 만들어 버린 카프카, 50년 동안 오지 않는 "고도"를 기다리도록 설정한 베케트나, 모래 속에 뫼비우스의 띠처럼 출구를 알 수 없는 곳에 가둔 코보. 그들 모두는 인간이 어떤 존재인지 묻는다.
책 156쪽에 "이건 슬픈 편도표 블루스야~ 영어 가사가 등장한다". 어제와 오늘이 급작스럽게 이어지지 않는 단절. 그 심정이 오죽할까. 운명의 처절함을 보여주는 기묘한 환각에 빠져든다.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woo woo--
같이 매일 밤 같이 모래를 파내는 여자를 그린 표지 <누워있는 여자>의 선택도 탁월하다.
1964년작 흑백영화도 찾아 봤다.
어떻게 모래 지옥을 묘사 했을지 궁금하다.
2
진교왕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