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최초 한글소설 <홍길동전>
허균(1569선조~1618광해군)
1446년 훈민정음 반포 후, 1471년 금오신화, 또 100년 후에나 최초의 한글 소설인 <홍길동전>이 등장한다.
그만큼 한글로 된 책이 나오기 어려운 사회 분위기를 반증하지 않나 생각한다.
책 맨 뒷편에는 완판 36장본 (원본을 촬영해 복제한 영인본) 72쪽이 실려있다. 2쪽을 1장으로 하는 완판 36장(국립중앙도서관 소장)이 가장 내용이 풍부하고 다채롭다.
때는 세종대왕 15년, 좌의정 홍문의 몸종 춘섬의 소생인 길동이 태어나나, 비범한 재주를 시기한, 첩 초낭의 흉계로 길동을 제거하기로 하고, 부인과 형의 허락을 받아 11살 길동을 죽이기로 자객을 보내는 장면으로 시작한다.
<쟁점: 신분제도>
허균은 서자가 아니나, 평등한 세계를 꿈꾸는 인물이었고, 일곱명의 서자가 역모를 꾸민 사건으로 궁지에 몰려, 모함으로 참형을 당한다.
당시 집권했던 서인의 평가가 <광해군 일기>에 있다.
"그는 천기간의 한 괴물입니다...
그 몸뚱이를 수레에 매달아 찢어 죽여도... 찢어 먹어도 분이 풀리지 않을 것입니다."
기득권의 분노가 무섭다.
나는 장애인 차별을 생각한다.
특수학교 설립을 반대하는 주민들을 향해 무릎 꿇고 호소하는 장애학생 부모, 주위 시선으로 집에만 있는 장애인.
우연히 돌진하는 차를 피하지 못한다면, 우리도 하루아침에 장애인이 될 수도 있지만, 당장 내가 사는 곳에, 장애인이 있으면 이래저래 불편하다. 장애인들은 사람답게 살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한다. 길동도 아버지를 아버지로 부르게 해달라, 사람으로 관직에 나가게 해 달라고 애원한다.
영웅적인 능력과 재미를 갖춘 홍길동전의 시작은 차별없이, 사람답게 살도록 해 달라는 간절한 외침이였다.
0
진교왕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