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정지용 시집
정지용 (지은이) 지음
범우사 펴냄
꿈에도 잊히지 않을 장면(들)
『정지용 시집』(시문학사, 1935)을 읽기 시작한 곳은 어머니의 본가이자 나의 고향인 전라남도 영광이었다. 추석을 맞아 고향에 들르는 마음이 들떴지만 잊지 않고 시집을 챙겼다. 가족과 인사를 나누고 맛있는 음식을 먹다가는 냉큼, 시집을 들고 길을 나섰다. 마을회관 지나 어느 작은 다리 위에 걸터앉아서는 소리 내어 시를 읽기 시작했다.
앞서 읽었던 김소월과 한용운의 시집이 내용으로나 형식으로나 통일성을 발견할 수 있었다면, 정지용의 시집은 그렇지 않은 것 같다. 수묵화를 그리듯 내처 자연에 대해 묘사하다가 점점 종교적인 색채를 띠는 시편이 등장하기 때문이다. 요컨대 한 명의 시인이 쓴 것 같은 느낌이 아니었는데, 그것은 이 시집에 초기와 중기에 쓰인 시들이 한데 묶여 있기 때문일 것이다. 나는 초기에 쓰인 시들에 보다 집중하고자 했다.
정지용 하면 무엇보다도 「향수」라는 시가 먼저 떠오른다. “그 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57-58쪽), 다섯 번이나 반복하여 되뇌는 시구. 정지용은 잊히지 않는 모든 “그 곳”을 바라보려 한다. 바다로, 계절로, 주야로, 식물로, 풍경으로 그의 시선이 옮겨간다. 오래 그리워하며 관찰한 사람만이 포착할 수 있는 순간이 그의 시에 가득하다. 이런 부분들이 특히 좋았다.
좋은 아침― / 나는 탐하듯이 호흡하다. / 때는 구김살 없는 흰 돛을 달다. (「아침」, 33쪽)
철없이 그리워 동그스레한 당신의 어깨가 그리워. 거기에 내 머리를 대면 언제든지 머언 따듯한 바다 울음이 들려오더니………… (「황마차」, 83쪽)
표범 껍질에 호젓하게 싸이어 / 나는 이 밤, ‘적막한 홍수’를 누워 건너다 (「밤」, 85쪽)
선뜻! 뜨인 눈에 하나 차는 영창 / 달이 이제 밀물처럼 밀려오다 (「달」, 90쪽)
오감을 모두 사용하여 자신이 보고 있는 것을 나도 볼 수 있게 하는 정지용의 시는 중·고등학교 시절 배웠던 것처럼 공감각적 심상으로 가득하다. 이미지를, 소리를, 냄새를, 느낌을 상상하다 보면 내가 시 속으로 빨려 들어가는 것 같다. 들어가서는 화자가 어떤 마음이었을지 고심하게 된다. 무얼 말하려고 이렇게 아름다운 단어 그러모았는지 초사하게 된다. 역시나 좋았던 「옛이야기 구절」에서는 화자가 해주는 “나가서 얻어온 이야기”(153-154쪽)를 기름불이 듣고, 부모가 듣고, 시골 밤이 듣는다. 전하는 내용보다 누군가 그것을 듣고 있다는 사실이 더 중요한 이야기. 정지용은 그런 이야기들을 시를 통해서 하고 싶었던 것이 아닐지 생각해본다.
다음 장에는 세 장의 사진을 첨부한다. 이 사진들을 글자로 환원하면 몇 자 정도 될까. 가늠할 수 없겠구나 생각했다. 한 장 사진에 누군가의 삶이 옴팍 담겨있고, 자연의 이치가 살아 숨쉬기도 하니까. 정지용도 자신의 마음속 고이 간직한, 빛바래지 않는 여러 장의 사진을 시로 풀어낸 것 같다고 생각한다. 그렇다면 나는 저 세 장의 사진을 이 글로 풀어낸 것일까.
3
샤대프린스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