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 팔로우
얼마나 닮았는가 (김보영 소설집)의 표지 이미지

얼마나 닮았는가

김보영 지음
아작 펴냄

읽었어요
어디선가 sf소설을 잘 쓰는 작가라고 추천을 받아서 읽고 싶다고 찜해두었던 책이다.
●엄마는초능력이있어
'경기를 보고 있으면 응원하는 팀이 진다.' '여행을 가면 꼭 비가 온다.' 이런 생활 속 징크스 같은 내용을 초능력이라고 쓴 내용이 참신했다.

●빨간 두건 아가씨
태어난 이후에 합성신체를 이용해 성을 바꿀 수 있는 세상에 여성은 찾기가 힘든 세상. 취업을 하려고 해도, 승진을 하려고 해도, 노동을 하려고 해도, 유산을 상속받으려고 해도 남성인게 더 유리해서. 길거리에 지나가는 빨간 두건 아가씨가 신기해서 말거는 남자들. 그런 남자들의 시선과 말이 두렵지만 아직 여성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기 위해 길거리에 나선 여성. 왜 이런 세상을 설정하게 됐는지 생각이 많아진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사람, 로그스 갤러리 종로
두 단편은 결이 비슷하고 내용이 이어진 느낌도 든다.
세상에서 가장 빠른 초능력을 가진 남자가 일상에서 생긴 어려움을 해결하려 애쓰는데 사람들은 초인들이 도와주는걸 당연시 생각하고 무슨 일이 일어나면 초인들이 도와줄테니 건물을 부실하게 짓는 등 나쁜 일을 한다.
그런 사람들이 만든 사고를 수습하는 데 지친 세상에서 가장 빠른 남자. 모른 척 넘어갈 수도 있는 일이지만 자신을 믿는 딸 때문에 그럴수도 없다. 힘겹게 사고현장을 수습하면서 겪는 내면갈등을 그리고 있다.
그와 이어서 캡틴콜드, 얼음을 만드는 능력을 가진 서리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번개가 초인에서 악당으로 변모한 이후 세상사람들은 초인을 혐오하고 탄압할 대상으로 여긴다. 이런 원인이 된 번개를 직접 잡겠다고 나선 서리로 인해 초인을 보는 사람들의 시선이 바뀌는 희망적인 이야기.

●얼마나 닮았는가
우주선의 인공지능AI가 인간의 의체에 들어갔는데 자신이 의체에 들어가겠다고 요구한 이유가 뭔지 잊어버리고 타이탄에 고립된 사람들에게 보급품을 전달하는 목적에만 집중하는데 뭔가 잊어버리면 안 될 데이터가 지워진 기분.
선내의 선장이 뭔가 겉도는 느낌이 뭘까... 결국 알아낸 답은 다수의 선원은 남자고 선장은 여자라는 것. 의체에 들어간 AI를 선장은 자꾸만 진짜 인간처럼 챙기는데 이유 역시 자신과 닮은 여성의 몸을 하고 있어서라는 것.
누군가와 동질감을 형성하는 기준은 '얼마나 닮았는가?'라는 질문 속에 있다.

SF소설이면서도 생각할 거리를 주는 소설집이었다.

✏기억에 남는 구절
단어는 단지 평균값을 대표하는 상징일 뿐인데 단어에 세상을 끼워 맞추려 해요.
2021년 8월 22일
0

Jiyeon Park님의 다른 게시물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예전부터 무라카미 하루키의 글을 읽을 때마다 도저히 못참겠는 기분으로 캔맥주를쩍, 하고 딸 때마다 이것이야말로 참 착실한 리뷰가 아닌가 하고 생각했다. 아마도 나에게 있어 이 책의 최고의 리뷰는 이 책을 읽고 난 당신의 바로 다음 끼니가 떡볶이가 되는 일일 것이다.

아무튼, 떡볶이

요조 (Yozoh) 지음
위고 펴냄

읽었어요
1일 전
0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잘하고 싶은 일에는 무릇 네 가지를 써야한다. 시간, 몸, 마음, 그리고 돈.

삶을 구석구석살고싶어.
이렇게도 덧붙였다.
대충 살지 않고 창틀까지 닦듯이 살고 싶어.

그냥 우연히 남매가 되었을 뿐이다. 가족이어도 다 알 수가없다. 모른다는 것을 알아야만 한다.

나 벌써 이 순간이 그리워.
우리는 그런 순간을 알아볼 수 있다. 겪으면서도 아쉽다. 흔치 않아서. 영영 계속되지 않는다는 것도 알아서. 시간이 우리를 가만두지 않는다.

아무튼, 노래

이슬아 (지은이) 지음
위고 펴냄

읽었어요
1일 전
0
Jiyeon P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Jiyeon Park

@jiyeonpark

p.33 노예가 되어 섬기는 것과 봉사하는 것은 단지 한 끗 차이일 뿐이지요.

p.219 아무도 사유재산이 없지만, 모든 사람이 부자입니다. 온갖 걱정과 염려에서 벗어나 즐겁고 편안한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보다 더 큰 부는 없기 때문입니다.

p.232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계에서는 그 어디에도 터무니없는 것이 없습니까? 모든 철학자는 한 사회나 통치자나 가정과 관련해서 이상적인 형태를 제시합니다. 그런데 그들이 제시한 것을 살펴보면 모든 점에서 너무나 완벽하게 이상적이어서 거기에는 특별히 고치거나 수정할 것이 아무것도 없습니까?

유토피아

토머스 모어 (지은이), 박문재 (옮긴이) 지음
현대지성 펴냄

읽었어요
2일 전
0

Jiyeon Park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