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팔로우
나를 보내지 마
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민음사 펴냄
가즈오는 이번이 두 번째다. 독자가 작중 상황을 편안하게 이해하도록 하는 가즈오의 문체는 읽을수록 나를 끌어들이는데, 때문에, 정말 술술 읽힌다. 가즈오는 17년에 노벨상을 받았고, (노벨상을 받은 작가들이 고루하다는 건 아니지만 결국 대부분은 취향 차이다) 그의 글은 정말이지 눈물 나게 잘 읽힌다. 다만 인내심을 가지고 읽어야 하는데, 도대체 이 작가는 무슨 말을 그렇게 하고 싶어서 과거 회상을 이렇게나 많이 (서술 방식으로 택)하는지 궁금해지기 때문이다(일반화할 수는 없겠지만 <남아 있는 나날> 역시도 그러했다).
요새 내가 하는 생각(셀프 인터뷰에서 언급했다)으로 감상을 정리해볼 수 있을 것 같다. 박솔뫼는 (갑자기 등장했다) 이런 말을 한다. "아름다운 것이 다 떠났는데도 삶에는 기대가 남았다." (<백 행을 쓰고 싶다> 中) 그렇다, 인간인 우리는 '막연한 기대'를 가지고 살아가고 그게 우릴 살게 하기도 한다. 여기, 아무것도 기대할 수 없는 이들이 있으니, 바로 캐시, 토미, 루스(주인공들)다. 장기를 기증하다 죽거나, 그 기증자를 돌보는 간병사가 되거나(간병사도 결국 기증으로 생을 마감하지만). 불행 중 다행으로 그들은 '선택받은' 이들이었고, 그렇기에 "혹시 귀중한 뭔가를 잃어버렸다 해도, 애써 찾았지만 찾을 수 없었다 해도 일말의 희망을 가질 수 있다는 사실, 어른이 되어 자유롭게 전국을 여행할 수 있을 때 노퍼크에 가서 그것을 찾을 수 있을 거라 여기고 위안을 삼을 수 있었다는 사실(p.99)"을 유년기에 배울 수 있었다. 내가 말하는 그런 '막연한 기대'를.
그로 가득 찬 일상에는 자꾸 차가운 현실이 끼어든다. "내 안에서 뭔가가 나를 포기시켰다. 어떤 목소리가 이렇게 말하고 있었다. '좋아, 그가 최악의 경우를 생각하게 내버려 두자고. 그냥 그렇게 생각하게 하자고. 그렇게 해 버려.'" (p.272) 체념이 기대를 막아서는 일. 주인공들이 유년기를 보낸 '헤일셤'의 선생님들은 바로 그 지점을 우려했을 것이다. 그들은 이렇게 말한다. "각자 앞에 어떤 운명이 기다리고 있는지 알았다면 어떻게 그럴 수 있었겠니? 그랬다면 너희는 그 모든 게 무슨 의미가 있느냐고 반박했을 테고, 우리가 어떻게 너희를 설득할 수 있었겠니?" (p.367)
그러나 이제 삶의 마지막을 앞둔 주인공들은 묻는다. 불행 중 다행이 정말 다행이었느냐고, 혹 이 모든 게 '수치스러운 일(p.387)'은 아니었냐고. 우리를 인간답게 살게 하려 했던 당신들의 그 '보호'가 정말 옳은 일이었느냐고. 도대체 우리에게 영혼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이라도 있었느냐고(p.357). 이 울부짖는 물음 앞에서 나는 숙연해진다.
4
샤대프린스님의 인생책은?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