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차님

@chanim

+ 팔로우
아무튼, 뜨개 (첫 코부터 마지막 코까지 통째로 이야기가 되는 일)의 표지 이미지

아무튼, 뜨개

서라미 (지은이) 지음
제철소 펴냄

아무튼 시리즈는 취향만 맞으면 빠져들기 쉽다.
(+취향이 맞지 않더라도 다른 사람 이야기를 힐끔 들여다보고 싶은 사람이라면 추천)

고등학교 가정 시간에 좋아하는 사람에게 목도리 떠주는 시간이 있었다. 기말고사도 다 끝난 시점이라 수행평가도 아니어서 뜰 사람만 떴다. 나는 좋아하는 오빠에게 목도리를 주기 위해 실을 사고 가정 시간이 아닌 때에도 틈틈히 떴다. 내 마음은 그냥 짝사랑으로 끝났고 목도리도 내 옆에 그대로였다. 아깝다는 생각을 할 새도 없이 다 풀었다. 타원형으로 통통하게 말아서 쇼핑백에 넣고 잊어버렸다. 지금 생각해보면 누구라도 줄 걸 그랬나 싶지만 그땐 그래야만 마음이 괜찮아질 것 같았나보다.

아무튼,
잠시나마 추억에 잠겼다.

책에서 인상적이었던 건 '뜨개질'이 아닌 '뜨개'라고 불러달라고 한 점. 나도 뜨개질이라고 했는데 글을 읽으면서 앞으로는 '뜨개'라고 불러야겠다 생각했다.

.
.
.
이탈리아의 번역가 안나 루스코니는 이렇게 말했다. “말은 세상을 여행하고 번역가는 그걸 운전하는 사람이다.” 이 문장을 이렇게도 바꿀 수 있지 않을까. “실은 세상을 여행하고 뜨개인은 그걸 운전하는 사람이다.”
(뜨개는 실로 하는 번역이다 중)

"또 새로 시작해?"
새 실의 라벨을 풀어 코를 잡으려는 나를 보고 남편이 묻는다. 이어지는 질문.
"저번에 뜨던 목도리는 다 떴어?"
앞선 질문보다 한층 호기심 어린 목소리다.
'당연히 다 안 떴지. 그걸 꼭 물어봐야겠어?'
속으로는 이렇게 생각하지만 소리 내어 말한 대답은 이거다.
"목도리는 겨울 거고 이제 여름이니까 여름 거 먼저 하나 뜨려고."
알 수 없는 죄책감을 느끼며 코를 잡기 시작한다. 먼저 뜨던 걸 다 떠야 새걸 시작할 수 있다고 법에 정해져 있기라도 한가. 뜨고 싶으면 뜨는 거지.
(기꺼이 잡스럽게 거침없이 산만하게 중)

뜨개인에게 그토록 많은 문어발이 필요한 이유는 작가 구달에게 88켤레의 양말이 필요한 이유와 같다. 논리로는 설명할 수 없다.

무엇이든 뜨는 것과 한 가지만 뜨는 것 사이에는 엄청난 공간이 존재한다. 바로 그 공간에 문어발이 있다. 그러니까 문제는 문어발이 아니라, 문어발에 죄책감을 느끼는 마음이다.
(기꺼이 잡스럽게 거침없이 산만하게 중)

존재나 자취만으로도 본보기가 되는 사람이 있다. 내게는 짐머만이 그렇다. 짐머만의 뜨개 철학이 뭐냐고 묻는다면 나는 이렇게 요약하고 싶다. 뜨개란 고난도의 기술이 필요한 행위가 아니라 실과 바늘과 마음만 있으면 누구나 할 수 있는 행위라는 만인 뜨개 가능설, 뜨개에는 옳은 방법도 틀린 방법도 없고 자신에게 맞는 방법만 있을 뿐이라는 열린 뜨개설, 마지막으로 뜨개에 완전히 새로운 것은 존재할 수 없고 그러므로 누구나 앞선 뜨개인에게 영감을 받아 자신의 개성과 필요를 담은 작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영감 뜨개설.
(짐머만을 읽다 중)
2021년 5월 17일
0

차님님의 다른 게시물

차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차님

@chanim

노포를 찾아다니는 초빼이, 김종현 작가가 소개하는 식당과 음식 이야기.

우회해서 돌아가는 시간마저 감내할 만큼 가치가(36쪽) 있는 순댓국, 쌀 한톨 한톨 사이 잘 스며든 불향이 적절하게 양을 조절한 기름의 고소한 냄새와 환상적인 조화(75쪽)를 맛볼 수 있는 중식집, 웅장한 하모니를 만들어(211쪽) 내는 육회비빔밥 등. 책을 읽다 보면 맛이 궁금해 안달이 난다.

소개된 곳 중 몇 곳은 이미 가본 곳도 있다. ‘참 맛있게 먹었는데’ 지난 추억을 더듬다 보면 그 끝에는 사람이 있다. ‘음식을 떠올리면 사람이 떠오르고, 그 사람과 함께 한 시간이 기억되며, 그 음식을 먹은 장소가 떠오른다.‘(162쪽)고 한 그의 말이 생각난다.

그래서 오늘 점심은 무엇을 먹을까?

초빼이의 노포일기

김종현 지음
얼론북 펴냄

6일 전
0
차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차님

@chanim

엄마의 죽음 이후 외삼촌 가게에서 눈칫밥 먹고 사는 지상만과 부러울 것 하나 없는 부잣집에서 사랑 듬뿍 받고 사는 허구.

상만은 늘 바빴다. 공부하랴, 쌀 배달 가랴. 구의 집에 오면 진짜 아들이 된 것만 같아 마음이 풀어졌다. 사랑받는 것 같아서, 그런 사랑을 받았을 구를 부러워했다.

소설은 상만의 시점에서 서술되기에 구의 속마음이 어땠는지는 짐작만 할 뿐이다. 구는 어땠을까? 자신이 쓴 소설 <여행자 K>처럼 미래를 보고 오기라도 한 걸까? 온통 허구인 삶에서 하나라도 참을 남기고 싶어 상만을 곁에 둔 걸까?

“사람들은 자신이 하나의 인생만 산다고 생각하지만 실은 하나의 인생만 안다고 하는 게 더 맞는 말이야.”
(본문 중)

나는 상만과 아들 영우의 마지막 대화를 통해 살아있음을 본다. 영우는 상만에게 “아빠, 슬프면 울어. 울어도 창피한 거 아니래. 감정에 솔직한 게 더 멋진 거래.”라고 한다. 펑펑 우는 상만, 그 눈물은 살아있음으로 흘릴 수 있는 것이다. 이제 상만은 눈물을 나누며 주변 사람들과 함께 걸어갈 것이다.

허구의 삶

이금이 지음
문학동네 펴냄

1주 전
0
차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차님

@chanim

  • 차님님의 수영 요요 게시물 이미지
  • 차님님의 수영 요요 게시물 이미지
무서웠던 일을 이렇게 멋지게 해내는 용기를 닮고 싶다. 어떤 마음이 그를 헤엄치게 했을까?

수영 요요

필라멘트 요요 지음
퍼플 펴냄

1주 전
0

차님님의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