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1.8.30
페이지
280쪽
상세 정보
한국인과 한국 사회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집필된 책이다. 특히 ‘사회 정체성’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와 그 사회에서 살아오고 있는 한국인의 특징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부분에서 변화하는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부에서는 사회 정체성 개념과 이를 이용하여 가족과 직업에 대한 한국인의 생각을 소개하였다. 2부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서 대표적인 한국인의 가치와 태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다양한 가치와 태도의 변화가 어떠한 사회적 문제와 과제를 만들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4부에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사회 통합을 지향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안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2
임영신
@imyoungsin
한국인의 사회 정체성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임영신
@imyoungsin
한국인의 사회 정체성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상세정보
한국인과 한국 사회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집필된 책이다. 특히 ‘사회 정체성’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와 그 사회에서 살아오고 있는 한국인의 특징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또한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부분에서 변화하는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부에서는 사회 정체성 개념과 이를 이용하여 가족과 직업에 대한 한국인의 생각을 소개하였다. 2부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서 대표적인 한국인의 가치와 태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다양한 가치와 태도의 변화가 어떠한 사회적 문제와 과제를 만들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4부에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사회 통합을 지향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안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출판사 책 소개
이 책은 한국인과 한국 사회의 특징을 분석하고 이를 종합하려는 노력의 일환이다. 특히 ‘사회 정체성’이라는 개념을 바탕으로 변화하는 한국 사회와 그 사회에서 살아오고 있는 한국인의 특징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사회과학 분야에서 사회 정체성이라는 개념은 한 사람의 평가가 단순하고 일시적인 개인의 느낌이나 편견에 불과한 것이 아니라 일종의 문화적 산물이라는 이론에 기반하고 있다. 즉 개인이 특정한 대상에 대해 갖는 느낌도 다른 사람과의 의견 교환과 상호작용을 통해 계속해서 조정되는 일종의 체계라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어떤 사회에서 일반적인 개인이 갖는 사회 정체성이 그 사회 자체 혹은 그 사회의 문화를 반영한 것이라는 뜻이다. 심지어 이러한 사회 정체성 이론에 의하면 개인이나 한 사회의 일반적인 사람들이 가진 사회 정체성을 구체적으로 측정하고 비교할 수 있다. 따라서 일반적인 사회나 혹은 문화에 대한 논의처럼 다소 추상적이고 막연한 담론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 정체성을 측정함으로써 한 사회나 그 사회의 문화적 특성을 객관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여러 사회나 문화를 객관적으로 비교·분석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이 책에는 사회 정체성에 기반한 분석만 포함된 것은 아니다. 정치, 경제, 사회 등 다양한 부분에서 변화하는 한국 사회와 한국인의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1부에서는 사회 정체성 개념과 이를 이용하여 가족과 직업에 대한 한국인의 생각을 소개하였다. 2부에서는 정치, 경제, 사회 분야에서 대표적인 한국인의 가치와 태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았다. 3부에서는 다양한 가치와 태도의 변화가 어떠한 사회적 문제와 과제를 만들고 있는지를 논의하였다. 마지막으로 4부에는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고 사회 통합을 지향하기 위해서 구체적으로 어떠한 방안이 있는지를 검토하였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