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5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4.12.11
페이지
228쪽
상세 정보
진료 대기만 3년. 대한민국에서 부모들이 가장 만나고 싶어 하는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국내 발달뇌과학의 최고 권위자. 이 모든 것이 서울대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를 소개하는 말이다. 30년 넘게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겪고 있는 수많은 아이들과 부모들에게 탁월한 솔루션을 제시해 주었던 그가 틈틈이 고치고 다듬어 12년 만에 뇌과학에서 찾아낸 4가지 양육 원칙을 소개하는 『아이의 뇌』를 새롭게 펴냈다.
인간은 뇌의 기능을 30% 정도만 가지고 태어난다.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능력만 갖추고 있는 셈이다. 어린아이들의 뇌는 이른바 결정적 시기라 불리는 12세까지 신경세포 간의 연결을 활성화시키면서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이 연결이 활성화되는 부위가 연령에 따라 다르다. 만 3세까지는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과 변연계에서 발달이 이뤄지게 되는데 이 부위에서 주로 관장하는 것은 감정적이고 감각적인 영역이다. 다시 말해 만 3세 이전에는 논리와 이성, 합리적인 사고와 학습 같은 영역은 길러낼 수 없다는 얘기다. 대신 이 시기에는 오감 자극을 통해 충족시키는 감각 기능의 발달, 교감과 애착을 통해 형성되는 감정의 발달이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뇌 발달의 결정적 시기에 맞추어 사고력, 공감력, 실행력을 고루 성장시킬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양육 지침이 담겨 있다. 김붕년 교수는 30여 년 동안 발달뇌과학자로 살아온 학자의 통찰력과 두 아이를 키워낸 아빠의 경험을 넘나들며 때로는 날카롭게, 때로는 따뜻하게 진심 어린 조언을 건넨다.
아이를 잘 기르고 싶지 않은 부모는 없을 것이다. “20년 전으로 돌아가 내 아이를 다시 키운다면 이 책을 평생의 지침으로 삼고 싶다”고 극찬한 곽윤정 교수의 이야기처럼 이 책이야말로 아이들의 원하는 삶을 향해 당당하게 나아갈 수 있는 든든한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3
지식책ㅋ
@lnm0228
아이의 뇌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지식책ㅋ
@lnm0228
아이의 뇌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MA
@masonyn
아이의 뇌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상세정보
진료 대기만 3년. 대한민국에서 부모들이 가장 만나고 싶어 하는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국내 발달뇌과학의 최고 권위자. 이 모든 것이 서울대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를 소개하는 말이다. 30년 넘게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겪고 있는 수많은 아이들과 부모들에게 탁월한 솔루션을 제시해 주었던 그가 틈틈이 고치고 다듬어 12년 만에 뇌과학에서 찾아낸 4가지 양육 원칙을 소개하는 『아이의 뇌』를 새롭게 펴냈다.
인간은 뇌의 기능을 30% 정도만 가지고 태어난다.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능력만 갖추고 있는 셈이다. 어린아이들의 뇌는 이른바 결정적 시기라 불리는 12세까지 신경세포 간의 연결을 활성화시키면서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이 연결이 활성화되는 부위가 연령에 따라 다르다. 만 3세까지는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과 변연계에서 발달이 이뤄지게 되는데 이 부위에서 주로 관장하는 것은 감정적이고 감각적인 영역이다. 다시 말해 만 3세 이전에는 논리와 이성, 합리적인 사고와 학습 같은 영역은 길러낼 수 없다는 얘기다. 대신 이 시기에는 오감 자극을 통해 충족시키는 감각 기능의 발달, 교감과 애착을 통해 형성되는 감정의 발달이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뇌 발달의 결정적 시기에 맞추어 사고력, 공감력, 실행력을 고루 성장시킬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양육 지침이 담겨 있다. 김붕년 교수는 30여 년 동안 발달뇌과학자로 살아온 학자의 통찰력과 두 아이를 키워낸 아빠의 경험을 넘나들며 때로는 날카롭게, 때로는 따뜻하게 진심 어린 조언을 건넨다.
아이를 잘 기르고 싶지 않은 부모는 없을 것이다. “20년 전으로 돌아가 내 아이를 다시 키운다면 이 책을 평생의 지침으로 삼고 싶다”고 극찬한 곽윤정 교수의 이야기처럼 이 책이야말로 아이들의 원하는 삶을 향해 당당하게 나아갈 수 있는 든든한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다.
출판사 책 소개
★★ 진료 대기만 3년!
★★ 서울대 소아청소년정신과 최고의 명의
★★ 『아들의 뇌』 곽윤정 교수 강력 추천
★★ tvN 〈유퀴즈〉 EBS〈부모 클래스> 화제의 명사
“이제 육아에도 뇌과학이 필요합니다”
국내 최고의 발달뇌과학자가 알려주는
더 똑똑하고 당당한 아이를 만드는 4가지 육아 원칙
“20년 전으로 돌아가 내 아이를 다시 키운다면
이 책을 평생의 지침으로 삼고 싶다” _ 곽윤정(『아들의 뇌』 저자)
진료 대기만 3년. 대한민국에서 부모들이 가장 만나고 싶어 하는 소아청소년정신과 전문의. 국내 발달뇌과학의 최고 권위자. 이 모든 것이 서울대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를 소개하는 말이다. 30년 넘게 정서 및 행동 문제를 겪고 있는 수많은 아이들과 부모들에게 탁월한 솔루션을 제시해 주었던 그가 틈틈이 고치고 다듬어 12년 만에 뇌과학에서 찾아낸 4가지 양육 원칙을 소개하는 『아이의 뇌』를 새롭게 펴냈다.
인간은 뇌의 기능을 30% 정도만 가지고 태어난다.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능력만 갖추고 있는 셈이다. 어린아이들의 뇌는 이른바 결정적 시기라 불리는 12세까지 신경세포 간의 연결을 활성화시키면서 폭발적으로 성장하게 되는데, 이 연결이 활성화되는 부위가 연령에 따라 다르다. 만 3세까지는 두정엽, 측두엽, 후두엽과 변연계에서 발달이 이뤄지게 되는데 이 부위에서 주로 관장하는 것은 감정적이고 감각적인 영역이다. 다시 말해 만 3세 이전에는 논리와 이성, 합리적인 사고와 학습 같은 영역은 길러낼 수 없다는 얘기다. 대신 이 시기에는 오감 자극을 통해 충족시키는 감각 기능의 발달, 교감과 애착을 통해 형성되는 감정의 발달이 매우 중요하다.
이 책은 뇌 발달의 결정적 시기에 맞추어 사고력, 공감력, 실행력을 고루 성장시킬 수 있는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양육 지침이 담겨 있다. 김붕년 교수는 30여 년 동안 발달뇌과학자로 살아온 학자의 통찰력과 두 아이를 키워낸 아빠의 경험을 넘나들며 때로는 날카롭게, 때로는 따뜻하게 진심 어린 조언을 건넨다.
아이를 잘 기르고 싶지 않은 부모는 없을 것이다. “20년 전으로 돌아가 내 아이를 다시 키운다면 이 책을 평생의 지침으로 삼고 싶다”고 극찬한 곽윤정 교수의 이야기처럼 이 책이야말로 아이들의 원하는 삶을 향해 당당하게 나아갈 수 있는 든든한 밑거름이 되어줄 것이다.
“넌 대체 무슨 생각을 하는 거니?”
vs
“왜 엄마는 나한테만 그래?”
오해와 갈등은 줄이고 이해와 존중을 부르는 뇌과학의 힘
아이를 키우다 보면 “우리 아이의 머릿속에 뭐가 들었는지 모르겠다”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다. 다른 아이들은 척척 해내는 거 같은데 우리 아이만 뒤처지는 것 같아서 불안하고 어디에 문제가 있는 건 아닐까라는 초조함마저 든다.
아이들도 마찬가지다. “왜 엄마는 나한테만 그래?”, “내가 뭘 잘못했는데?”라는 말을 입에 달고 산다. 부모가 자신의 마음을 몰라주는 것 같아 억울하고 속상하다.
이 모든 갈등의 중심에는 바로 ‘뇌’가 있다. 사고, 공감, 행동 등 인간이 살아가면서 반드시 필요한 능력은 태어날 때부터 형성된 것이 아니라 뇌 발달 과정에 맞추어 성장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뇌의 성장 과정과 원리를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아이를 사랑하는 마음 이상으로 중요한 육아의 핵심 가치가 되어준다.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EBS <부모 클래스> 같은 방송 프로그램과 유튜브, 강연 등을 통해 대한민국 대표 육아 멘토로 손꼽히는 서울대 소아청소년정신과 김붕년 교수는 “아이들의 뇌가 원하는 양육과 교육은 따로 있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사고와 행동의 핵심 중추인 뇌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면 부모가 아이에게 보내는 사랑과 관심이 자칫 욕심과 상처로 남을 수 있기 때문이다. 좋은 양육은 부모가 하고 싶은 것을 베푸는 것이 아니라 아이에게 필요한 것을 정확하고 흔들림 없이 제공하는 것이다.
“아이들의 마음을 읽기 전에
아이의 뇌를 읽어주세요”
무조건적 사랑과 희생에서 벗어나
명확한 양육 원칙을 제시해주는 책!
잘못된 양육 방식으로 인해 아이들의 상처받고 난 뒤 부모들은 이렇게 말한다. “아이를 너무 사랑해서 그랬어요”, “다 아이가 잘되길 바라는 마음이었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원칙과 기준 없이 감정과 의욕만이 앞서는 육아는 부모와 아이 모두에게 생채기만 남길 뿐이다. 그렇다면 도대체 올바른 양육이란 무엇일까?
국내 최고의 소아청소년정신과 명의이자 두 아이의 아빠인 김붕년 교수는 어떻게 해야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냐는 질문에 이렇게 답한다. “당신의 자녀를 귀한 손님처럼 여기세요.” 짧은 이 한 줄의 문장 속에는 아주 많은 의미가 담겨 있다.
먼저 배려다. 귀한 손님이라면 판단의 기준을 내가 아닌 상대에게 두기 마련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 내가 원하는 것을 강요하지 않고 상대가 원하는 것 위주로 생각한다는 뜻이다. 다음은 존중이다. 내가 좌지우지할 수 있는 존재가 아님을 인정하고 그 사람 자체로 바라봐줘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양육 태도를 갖기 위해 반드시 ‘아이의 뇌’를 공부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아이들의 뇌 발달은 영역별로 결정적 시기가 다릅니다. 똑똑한 두뇌와 따뜻한 정서를 가진 아이로 자라나기 위해서는 이 시기에 부모가 아이들의 뇌 발달에 얼마나 적절한 양육 환경을 제공해주었는가가 매우 중요합니다.”
내 아이가 더 똑똑하길 바란다면, 더 자유롭게 사고하고 당당하게 행동하길 원한다면 무조건적인 사랑과 희생이 아니라, 과학적으로 입증된 뇌의 성장 과정에 따라 명확한 양육 원칙을 세워야 한다. 부모들이 읽어야 할 것은 마음이 아니라, 아이의 뇌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