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5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18.2.5
페이지
280쪽
이럴 때 추천!
동기부여가 필요할 때 , 일상의 재미를 원할 때 , 힐링이 필요할 때 읽으면 좋아요.
상세 정보
잔혹한 현실 속에 점점 사랑을 잃어갈 때
존재의 의미를 일깨워주는 삶에 대한 이야기
제152회 나오키상 수상작 <사라바> 작가 니시 가나코의 장편소설. 책 제목인 'i(아이)'는 수학 용어로 제곱해서 음수(-)가 되는 수인 '허수(imaginary number, 상상의 수)'를 뜻하며, 동시에 '사랑'이란 뜻의 일본어 '愛(아이)'와 '나'란 뜻의 영어 'I(아이)'의 발음과 의미를 담고 있는 주인공의 이름을 가리킨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하게 하는 ‘상상의 힘’에 의해 자신의 존재를 긍정하고 사랑하게 되는 이야기"인 이 소설의 주제를 함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상상과 사유에서 생겨나는 압도적인 강인함과 상냥한 부드러움의 힘으로 전쟁과 테러와 빈곤 등 잔혹한 현실과 마주하며 자신의 존재 의의를 찾아내는 한 여성의 삶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재하는 것의 가치를 일깨우는 작품으로, 2017년 일본 서점대상 7위에 올랐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4
funwave
@vfkarhuhhrdz
i
3명이 좋아해요
효-진
@plfepyrw8axq
i
외 1명이 좋아해요
playton
@nkmqpdgi3utv
i
3명이 좋아해요
상세정보
제152회 나오키상 수상작 <사라바> 작가 니시 가나코의 장편소설. 책 제목인 'i(아이)'는 수학 용어로 제곱해서 음수(-)가 되는 수인 '허수(imaginary number, 상상의 수)'를 뜻하며, 동시에 '사랑'이란 뜻의 일본어 '愛(아이)'와 '나'란 뜻의 영어 'I(아이)'의 발음과 의미를 담고 있는 주인공의 이름을 가리킨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하게 하는 ‘상상의 힘’에 의해 자신의 존재를 긍정하고 사랑하게 되는 이야기"인 이 소설의 주제를 함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상상과 사유에서 생겨나는 압도적인 강인함과 상냥한 부드러움의 힘으로 전쟁과 테러와 빈곤 등 잔혹한 현실과 마주하며 자신의 존재 의의를 찾아내는 한 여성의 삶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재하는 것의 가치를 일깨우는 작품으로, 2017년 일본 서점대상 7위에 올랐다.
출판사 책 소개
상상과 사유의 힘으로 잔혹한 현실을 마주하며
존재의 의미를 깨닫는 삶의 기적, 《i》
“자신의 존재를 묻는 이야기. 이 시대에 꼭 읽혀야 하는 작품”_〈요미우리신문〉
“닫혀 있던, 몰라도 된다고 생각했던 그런 자신의 문이 열리는,
지금 우리가 있는 세계의 이야기”_〈다빈치〉
제152회 나오키상 수상작 《사라바》 작가 니시 가나코의 신작 장편소설 《i》가 (주)은행나무출판사에서 출간됐다. 책 제목인 ‘i(아이)’는 수학 용어로 제곱해서 음수(-)가 되는 수인 ‘허수(imaginary number, 상상의 수)’를 뜻하며, 동시에 ‘사랑’이란 뜻의 일본어 ‘愛(아이)’와 ‘나’란 뜻의 영어 ‘I(아이)’의 발음과 의미를 담고 있는 주인공의 이름을 가리킨다. “세상에 존재하지 않는 것을 존재하게 하는 ‘상상의 힘’에 의해 자신의 존재를 긍정하고 사랑하게 되는 이야기”인 이 소설의 주제를 함축적으로 드러내고 있다.
《i》는 상상과 사유에서 생겨나는 압도적인 강인함과 상냥한 부드러움의 힘으로 전쟁과 테러와 빈곤 등 잔혹한 현실과 마주하며 자신의 존재 의의를 찾아내는 한 여성의 삶을 통해 눈에 보이지 않지만 실재하는 것의 가치를 일깨우는 작품으로, 2017년 일본 서점대상 7위에 올랐다.
예민한 자의식으로 비극적 세계와 맞서는 생의 기록
세계와 자기 존재의 매듭을 짓는 이야기
시리아에서 태어나 미국인 대니얼 와일드와 일본인 소다 아야코 부부에게 입양된 주인공 아이는 뉴욕과 도쿄에서 자랐다. 예민한 감수성과 섬세한 지성을 지닌 아이는 세계의 비극(빈곤, 인종차별과 학살, 테러, 대지진 등)을 접할 때마다 죄책감과 수치심을 느낀다(“‘살아남아버렸다’고, 날마다 생각했다. (…) 어째서 내가 아닌 건가”). 그리고 고등학교 수학 교사가 허수에 대해 던진 한마디 “이 세상에 아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를 곱씹으며 세계의 비극과 자기 존재의 의미에 천착해왔다.
그 말에 상처를 받았는지 어쨌는지는 아이도 알 수 없었다. 그러나 너무나 강렬하게 가슴에 맺혀서, 언젠가부터 그것은 아이에게 일그러진 주문(呪文) 같은 것이 됐다. “이 세상에 아이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어떤 장소에서든 그 말을 떠올리면 쓸쓸했지만, 왠지 마음이 놓였다. 33쪽
2001년 9·11 테러, 2004년 러시아 체첸 반군 테러, 2005년 수마트라섬 대지진, 런던 지하철 폭탄 테러, 파키스탄 북동부 지진, 2006년 이집트 페리 침몰, 필리핀 산사태, 인도네시아 대지진 같은 참혹한 세계의 뉴스를 접하면서 아이는 그런 사건의 희생자 수를 노트에 기록하기 시작한다. 어쩌면 자신이 “선택받은” 덕분에 빼앗은 것인지도 모를 누군가의 생명을 생각하며 적어도 자신만은 그들이 영위했어야 할 행복한 삶, 그리고 그것을 빼앗긴 고통에 대해 알고 있다는 뜻이었다. 그러나 아이를 둘러싼 주위 세계는 그저 평온했다. ‘아이[愛]’는 존재하지 않는 것 같았다.
아이는 자기가 혜택받은 환경에 있을 정당한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 줄곧 들었다. 이곳에 있는 것은 나지만, 내가 아닌 다른 누군가가 있어야 할 곳이었을지도 모른다. 자신은 ‘그 아이’의 권리를 부당하게 빼앗은 게 아닐까, 그렇게 생각했다. 아이는 언제나 자기 행복을, 그리고 존재를 주체하지 못했다. 45쪽
도쿄에서 대학원에 진학해 수학을 전공하며 여전히 재해로 인한 사망자 수를 노트에 기록하던 아이는 2011년 대지진과 원전 사고를 직접 겪게 된다. 고등학교 시절부터 절친한 유일한 친구 미나와 양부모는 아이에게 미국으로 오라고 설득하지만 아이는 도쿄에 남겠다고 고집한다. 지금까지 자신이 노트에 기록했던 사건 사고와 달리 실제로 자신의 몸에 일어난 일이기 때문이었다. 사건을 직접 보고 겪음으로써 비극에 대해 말할 권리를 얻고 싶었던 것이다(“생명의 위기를, 그 공포를 얘기할 권리를 얻고 싶었던 걸 거야”).
자신의 몸으로 느낀 그 밀어 올리는 듯한 충격, 건물이 흔들릴 때 온몸을 뒤덮던 공포를 아이는 맹목적으로 믿었다. 이것은 자신에게 일어난 일이다. 이것은 내게 일어난 일이다. 내게! 아이는 그 체험을 ‘중요한 것’으로 부둥켜안기로 했다. 내가 나라는 것의 증거로서 절대로 놓치지 않고 싶다고 생각했다. 132쪽
“상상이란 마음을, 생각을 보내는 일이야. 너는 내게 ‘진짜 나’를 주었어.”
상상의 힘으로 불러일으킨 사랑이 세계와 나의 존재 이유다
아이는 자신이 태어난 이유를 알고 싶었다. 줄곧 알고 싶었다. 누군가의 행복을 짓밟고 밀어젖히고까지 자신이 태어난 이유를 알고 싶었다. 그 이유가 여기에 있다. 몇 센티미터 되지 않는 생명의 시작이 내가 이 세상에 있다는 증표다. 나는 이 세상에 있어도 되는 것이다! 194쪽
원전 반대 시위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만난 아이는 그와 결혼하고, 자신의 피를 나눈 아이를 간절히 바란다. 그러나 유산으로 아기를 잃고 자신이 이 세계에 있어도 된다고 해줄 유일한 증거, 자신이 이 세상에 태어난 이유가 사라졌다는 고통을 끊임없이 곱씹는다.
그러나 아이에게 깊이 공감하고 변함없는 사랑을 보내는 진심 어린 미나의 편지, 뉴욕에서 귀국한 양어머니에게서 들은 따뜻한 말, 자신의 고통을 이해해주는 남편의 말 등으로, 아이는 “자신의 슬픔을 상상할 수 있는 타인의 존재. 자신에게 일어난 일이 아니어도 그것을 배려해서 함께 생각할 수 있는 상상의 힘”을 깨닫게 된다.
“소용돌이 속에 있지 않아도 그 사람들을 생각하며 괴로워해도 좋다고 생각해. 그 괴로움이 퍼져서 몰랐던 누군가가 상상할 여지가 된다고 생각해. 소용돌이 속의 괴로움을. 그게 어떤 건지 상상밖에 할 수 없지만, 게다가 실제로 힘은 없을지도 모르지만, 상상한다는 것은 마음을, 생각을 보내는 일이야.” 255쪽
“내게 일어난 일도 그래. 내 몸속에서 아기가 죽었으니 그 슬픔은 내 것이지만, 그러나 그런 경험을 하지 못한 사람들도 그 슬픔을 상상할 수는 있어. 자신에게 일어난 일이 아니어도 그걸 걱정하고, 함께 괴로워해줄 수는 있어. 상상하는 그 힘만으로 죽은 아이가 돌아오진 않지만, 그렇지만…… 내 마음은 되찾을 수 있어.” 255~256쪽
사진작가인 남편 유는 세계의 재난을 찍는 보도 사진을 사명으로서 찍느냐, 흥밋거리로서 찍느냐를 가르는 잣대가 ‘사랑이 있느냐 없느냐의 차이’라고 설명한다. 그러므로 아이에게는 세계의 비극을 찍을 권리가 있다고. 이제 아이는, 눈에 보이지 않더라도 상상력이 그 존재를 가능케 하는 사랑이 세상에 꽉 차 있는 것을, 그렇기에 자기 자신이 세상에 존재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리고 온 마음을 다해 세상 모든 생명의 탄생을 축복한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