늑대의 눈

다니엘 페나크 지음 | 문학과지성사 펴냄

늑대의 눈 (3단계)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2,000원 10% 10,8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01.4.2

페이지

148쪽

상세 정보

여기 한 마리 늑대가 있다. 동물원에 갇혀서 자기를 지켜보는 사람들을 무심히 쳐다보지도 않는 늑대 한 마리가 있다. 그는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싶지도, 가질려고 하지도 않는다. 그는 눈을 다쳐 외눈으로 세상을 본다.

여기 한 아이가 있다. 날씨도 궂은 것도, 동물원이 쉬는 날도 상관하지 않고 늑대 우리 앞에 우뚝 서서, 짝을 잃고 우리 안을 무심히 걸어다니는 외눈박이 늑대를 쉼없이 쳐다보는 한 아이가 있다. 아이는 늑대를 제대로 보기 위해 한 눈을 감았다.

늑대는 아이의 오랜 관심에 드디어 몸을 움직였고, 서로는 서로의 눈을 통해 자신들의 지난 이야기를 하기 시작한다. 늑대의 이름은 '푸른 늑대', 아이의 이름은 '아프리카 은비아'.

황금빛의 아름다운 털을 가졌던 누이동생을 구하기 위해 '푸른 늑대'는 모험을 했다. 그리고 그 대가로 인간에게 잡혀서 동물원에 팔려왔다. 고향에 대한 애틋함과 사람에 대한 경멸감으로 그는 죽지 못해 동물원에서 살고 있었다.

아이는 푸른 늑대의 눈을 통해 그의 과거를 보면서, 마침내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백인들의 방화로 어렸을 때 상인에게 맡겨져 온갖 고생을 하던 일들, 양치기로 팔려 치타, 하이에나와 함께 양과 염소를 돌보던 기억, 그리고 지금의 양부모를 만나기까지의 과정들. 아이가 그 시절을 견뎌올 수 있었던 것은 동물들과의 교감과 아이의 마음 속에서 끊임없이 떠오르는 아름다운 울림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 울림을 아이가 이야기로 해주면, 그 속에서 기쁨을 찾던 사람들 때문이었다.

아이와 늑대는 서로의 상처를 감싸 안았다. 그리고 늑대는 마침내 세상과 사람에 대한 저주를 누그러뜨리고, 감고 있던 한 눈을 뜬다. 늑대의 눈을 지켜보던 아이도 감았던 눈을 뜬다. "짜잔!"

늑대의 눈과 아이의 눈을 통해 서로가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하고, 교감한다는 이 이야기는 한 편의 아름다운 시의 느낌을 준다. 또 소년 아프리카가 관계를 맺었던 낙타, 하이에나, 치타, 염소들의 마지막 행방과 소년의 마음이 확인되는 대목에서는 아주 은근한 기쁨과 미소가 샘솟듯 솟아 오를 것이다. <까보 까보슈>, <까모는 어떻게 영어를 잘하게 되었나?>의 다니엘 페낙이 썼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조이님의 프로필 이미지

조이

@joy_jmama

  • 조이님의 늑대의 눈 게시물 이미지

늑대의 눈

다니엘 페나크 지음
문학과지성사 펴냄

읽었어요
1주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여기 한 마리 늑대가 있다. 동물원에 갇혀서 자기를 지켜보는 사람들을 무심히 쳐다보지도 않는 늑대 한 마리가 있다. 그는 사람에게 관심을 갖고 싶지도, 가질려고 하지도 않는다. 그는 눈을 다쳐 외눈으로 세상을 본다.

여기 한 아이가 있다. 날씨도 궂은 것도, 동물원이 쉬는 날도 상관하지 않고 늑대 우리 앞에 우뚝 서서, 짝을 잃고 우리 안을 무심히 걸어다니는 외눈박이 늑대를 쉼없이 쳐다보는 한 아이가 있다. 아이는 늑대를 제대로 보기 위해 한 눈을 감았다.

늑대는 아이의 오랜 관심에 드디어 몸을 움직였고, 서로는 서로의 눈을 통해 자신들의 지난 이야기를 하기 시작한다. 늑대의 이름은 '푸른 늑대', 아이의 이름은 '아프리카 은비아'.

황금빛의 아름다운 털을 가졌던 누이동생을 구하기 위해 '푸른 늑대'는 모험을 했다. 그리고 그 대가로 인간에게 잡혀서 동물원에 팔려왔다. 고향에 대한 애틋함과 사람에 대한 경멸감으로 그는 죽지 못해 동물원에서 살고 있었다.

아이는 푸른 늑대의 눈을 통해 그의 과거를 보면서, 마침내 자신의 이야기를 시작한다. 백인들의 방화로 어렸을 때 상인에게 맡겨져 온갖 고생을 하던 일들, 양치기로 팔려 치타, 하이에나와 함께 양과 염소를 돌보던 기억, 그리고 지금의 양부모를 만나기까지의 과정들. 아이가 그 시절을 견뎌올 수 있었던 것은 동물들과의 교감과 아이의 마음 속에서 끊임없이 떠오르는 아름다운 울림 때문이었다. 그리고 그 울림을 아이가 이야기로 해주면, 그 속에서 기쁨을 찾던 사람들 때문이었다.

아이와 늑대는 서로의 상처를 감싸 안았다. 그리고 늑대는 마침내 세상과 사람에 대한 저주를 누그러뜨리고, 감고 있던 한 눈을 뜬다. 늑대의 눈을 지켜보던 아이도 감았던 눈을 뜬다. "짜잔!"

늑대의 눈과 아이의 눈을 통해 서로가 자신의 과거 이야기를 하고, 교감한다는 이 이야기는 한 편의 아름다운 시의 느낌을 준다. 또 소년 아프리카가 관계를 맺었던 낙타, 하이에나, 치타, 염소들의 마지막 행방과 소년의 마음이 확인되는 대목에서는 아주 은근한 기쁨과 미소가 샘솟듯 솟아 오를 것이다. <까보 까보슈>, <까모는 어떻게 영어를 잘하게 되었나?>의 다니엘 페낙이 썼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