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2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보통인 책
출간일
2022.9.15
페이지
296쪽
상세 정보
연작소설집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과 <간사지 이야기>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소설가이자,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 것인가> <수필로 배우는 글읽기> 등을 집필하며 문학 교육 연구자로 꾸준히 활동해온 최시한이 자신의 첫 장편소설이자 역사소설을 펴내며 독자들 곁을 찾았다.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된 <별빛 사윌 때>가 그것.
제목의 ‘별빛 사윌 때’는 “어둠이 잦아들고 먼동이 트는 때”로서, 소설은 고구려 멸망 3년 후이자 나당전쟁 둘째 해인 671년 여름을 배경으로, 이미 패망하여 사라진 백제에서 무사로 활약했던 주인공 ‘물참’이 나라를 잃은 절망과 되풀이되는 전쟁의 참상 속에서 방황을 거듭하다 새로운 결단에 이르게 되는 사흘간의 여정을 흥미진진하게 펼쳐 보인다.
단 3일에 걸쳐 벌어지는 이야기지만, 소설은 이 ‘현재’의 이야기 속에 660년 백제 멸망 이후부터 백제 부흥전쟁을 거쳐 신라와 당이 맞붙은 나당전쟁에 이르기까지 약 11년의 시간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이미 나라를 잃은 백제 백성들이 ‘남의’ 전쟁에 끌려다니며 겪어야 했던 혼란의 시기를 승자의 관점이 아닌, ‘백제 중심’의 소설로 새롭게 그려냄으로써 1300여 년 전 삼국의 격동하는 역사와 문화를 생생하고도 입체적으로 체험하도록 해준다.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2
카나페
@canape0809
별빛 사윌 때
1명이 좋아해요
miercat
@miercat
별빛 사윌 때
가장 먼저 좋아요를 눌러보세요
상세정보
연작소설집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과 <간사지 이야기>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소설가이자,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 것인가> <수필로 배우는 글읽기> 등을 집필하며 문학 교육 연구자로 꾸준히 활동해온 최시한이 자신의 첫 장편소설이자 역사소설을 펴내며 독자들 곁을 찾았다.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된 <별빛 사윌 때>가 그것.
제목의 ‘별빛 사윌 때’는 “어둠이 잦아들고 먼동이 트는 때”로서, 소설은 고구려 멸망 3년 후이자 나당전쟁 둘째 해인 671년 여름을 배경으로, 이미 패망하여 사라진 백제에서 무사로 활약했던 주인공 ‘물참’이 나라를 잃은 절망과 되풀이되는 전쟁의 참상 속에서 방황을 거듭하다 새로운 결단에 이르게 되는 사흘간의 여정을 흥미진진하게 펼쳐 보인다.
단 3일에 걸쳐 벌어지는 이야기지만, 소설은 이 ‘현재’의 이야기 속에 660년 백제 멸망 이후부터 백제 부흥전쟁을 거쳐 신라와 당이 맞붙은 나당전쟁에 이르기까지 약 11년의 시간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이미 나라를 잃은 백제 백성들이 ‘남의’ 전쟁에 끌려다니며 겪어야 했던 혼란의 시기를 승자의 관점이 아닌, ‘백제 중심’의 소설로 새롭게 그려냄으로써 1300여 년 전 삼국의 격동하는 역사와 문화를 생생하고도 입체적으로 체험하도록 해준다.
출판사 책 소개
“지금입니다. 애달파서 더 망설이지 못합니다”
나는 오늘, 조국을 멸망시킨 적과 손잡는다
멸망한 백제의 무사 ‘물참’이 나당전쟁에 뛰어들게 되기까지
청년 무사의 고뇌와 결심을 담아낸 사흘간의 여정
연작소설집 『모두 아름다운 아이들』과 『간사지 이야기』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소설가이자, 『스토리텔링, 어떻게 할 것인가』 『수필로 배우는 글읽기』 등을 집필하며 문학 교육 연구자로 꾸준히 활동해온 최시한이 자신의 첫 장편소설이자 역사소설을 펴내며 독자들 곁을 찾았다.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된 『별빛 사윌 때』가 그것.
제목의 ‘별빛 사윌 때’는 “어둠이 잦아들고 먼동이 트는 때”로서, 소설은 고구려 멸망 3년 후이자 나당전쟁 둘째 해인 671년 여름을 배경으로, 이미 패망하여 사라진 백제에서 무사로 활약했던 주인공 ‘물참’이 나라를 잃은 절망과 되풀이되는 전쟁의 참상 속에서 방황을 거듭하다 새로운 결단에 이르게 되는 사흘간의 여정을 흥미진진하게 펼쳐 보인다. 단 3일에 걸쳐 벌어지는 이야기지만, 소설은 이 ‘현재’의 이야기 속에 660년 백제 멸망 이후부터 백제 부흥전쟁을 거쳐 신라와 당이 맞붙은 나당전쟁에 이르기까지 약 11년의 시간을 고스란히 담아낸다. 이미 나라를 잃은 백제 백성들이 ‘남의’ 전쟁에 끌려다니며 겪어야 했던 혼란의 시기를 승자의 관점이 아닌, ‘백제 중심’의 소설로 새롭게 그려냄으로써 1300여 년 전 삼국의 격동하는 역사와 문화를 생생하고도 입체적으로 체험하도록 해준다.
주인공 물참은 스물여덟 살의 백제 무사로, 왕족인 ‘부여’씨에서 갈라져 나온 ‘오서’씨 집안 출신의 귀족이자 서자庶子다. 멸망한 백제가 부흥하고 백제 사람이 사람답게 살아갈 길을 줄기차게 모색하지만, 부흥군을 이끌었던 ‘복신’ ‘흑치상지’ 같은 우두머리들의 살해와 배신, 살던 땅을 버리고 왜국으로 도망치는 지배층의 폭력과 이기주의, 그에 더해 극한의 굶주림과 핍박으로 고통받는 백성들의 참상을 겪으며 깊은 절망감에 빠진다. ‘큰 뜻’을 찾아 헤매면서 나라를 위해 기꺼이 목숨을 내놓고자 하지만, 그것도 그럴 값어치가 있는 뜻과 나라가 있을 때의 이야기다. 소설은 주인공 물참이 패배감과 무력감을 이겨내고 새 뜻을 세워가는 과정을 흥미롭게 따라가면서, 과연 ‘나라’란 무엇인지 그 의미를 되묻는다. “지난 세 해 동안 백제 사람의 뜻은 오직 백제국의 부활이라 여기며 살아왔는데, 따지고 보면 그 ‘백제’가 반드시 성이 ‘부여’인 왕족의 나라여야 할 까닭은 없”으며, “핏줄과 사는 땅을 가지고 네 편 내 편, 네 나라 내 나라 가르던 시절은 지나갔”으므로. 따라서 물참은 이 “기나긴 전쟁을 끝내고 우리와 우리 후손들이, 서로 통하는 족속끼리 사람대접받으며 살아”갈 수 있도록, 오랜 고뇌와 번민을 끝내고 크나큰 결단에 이른다. 오늘, 조국을 멸망시킨 적과 손잡기로.
전쟁과 팬데믹의 시대에 다시 보는
삼국의 투쟁과 통일!
“뜻이 통한다면, 피가 다르면 어떻고 원수 간이면 어떠냐? 세월은 빠르고 무심하게 지나간다. 억울해도 이미 죽은 사람은 살릴 수 없고, 싫더라도 인정하면 마음 놓고 더불어 살 수 있다.” (「둘째 날―낮후 시루성」, pp. 254~55)
작가 최시한은 강미와 공동 집필한 『조강의 노래』(문학과지성사, 2019)에서 외세 침략의 현장이자 분단의 상처를 대표하는 한강하구의 잃어버린 이름 ‘조강’의 역사적 장면을 생생한 이야기로 복원해냈다. 그러한 문제의식의 연장선상에서 쓰인 장편소설 『별빛 사윌 때』는 분단과 통합의 고통을 되풀이하며 민족적 공동체 의식을 처음으로 싹틔웠던 한국 고대사를 배경으로, 여전히 분단국가를 살아가는 한반도의 현실을 비추어낸다. 아울러 전쟁과 팬데믹에 닥쳐 공동체의 의미를 다시금 되묻는 오늘날의 현실에서, 독자들에게 국가란 무엇인지를 새삼 일깨우며 공동체가 지향해야 할 가치를 사색하도록 이끌어준다.
이 소설의 배경이 되는 백제 부흥전쟁(660~633)은 한국사 초유의 독립 회복 전쟁이며, 동북아 고대사에서 4국(백제, 신라, 당, 왜국)이 참가한 큰 국제 전쟁이었다. 또 7년 후에 일어나 일곱 해 동안 계속된 나당전쟁은 삼한三韓이 연합하여 당을 몰아냄으로써 민족적 공동체 의식이 싹트는 계기가 되었다. 이렇게 중요한 역사적 전쟁들이 벌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자료와 관심의 부족으로 한국 고대사의 이 시기는 충분히 알려지지 않았다. 특히 나당연합군에 일찍이 패망한 백제의 사정은 승자 중심의 역사 서술에 묻혀 흔적조차 찾기 어려웠다. 『별빛 사윌 때』는 1300여 년 전 머나먼 과거로 거슬러 올라가, 한국사에서 잊힌 이 시기를 역사적 사료에 근거하되 소설적 상상력을 더해 ‘백제 중심’의 서술로서 흥미롭게 되살려냈다. 소설의 주인공 물참은 과거엔 누구보다 백제의 부흥을 바라 마지않았지만, 이제는 과거의 미련을 내려놓고 오늘의 백성을 위해 앞으로 나아가기로 결정한다. 망국의 백성, 정착한 유목민, 평민과 천민 그리고 여인까지 모두 한길에 모일 수 있는 타협과 화합의 길로, 모두를 살리는 이로움의 미래로 한 발 내딛는 것이다.
작가 최시한은 “세계화의 물결이 거센 오늘날, 나라 혹은 국가는 국경과 공동체 의식이 흐렸던 고대의 어느 시기와 비슷해져가고 있다”(「작가의 말」)라는 인식하에서 이 소설을 기획해 선보였다. 권력이든, 영토든 혹은 자본이든 그것을 위해 다른 이들의 삶에 폭력과 억압을 가하는 일은 역사 속에서 빈번하게 일어났지만, 그 과거를 거울삼아 더 나은 공동체의 미래를 그려보는 것이 오늘 우리의 과제라는 점을 저자는 이 소설을 통해 각성시킨다.
물참 vs. 형: 누가 옳음을 정의하는가
“당의 군사가 지금 백제 땅에 얼마나 남아 있습니까? 이 땅의 곡식을 축내고 있는 그들마저 언제 떠날지 모릅니다. 강자에게 의지한다지만, 남을 믿다가 그들이 떠나버리면 도독군마저 하루아침에 흩어지고 말겠지요. 강자를 위해 한 일은 깡그리 강자만 이롭게 하고, 우리한텐 빈손만 남게 될 터입니다.”
〔……〕
“내가 백제를 다시 살리고자 이렇게 애를 쓰고 있는데, 너는 동생이 돼가지고 여태 삼한 땅 비루한 자들의 생각에서 벗어나지 못한 채 형한테 대드는 거냐?”
(「첫째 날―형」, pp. 165~66)
소설에 등장하는 각각의 인물 구성이 다양한 상징과 역할을 담당하지만 이 중에서도 주인공 오서물참과 그의 형의 갈등은 이 소설의 문제의식을 구체화하는 대표적인 구도로 이해된다. ‘물참’은 우리말에서 “밀물이 들어와 최고조가 되는 시각”을 의미하는데, 어업뿐만 아니라 수운업까지 뱃일의 기본이 물참을 아는 것이었다는 사실에서 미루어 짐작해보면 이 청년 무사의 친민중적 특성이 이름에도 드러나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그의 형은 귀족 가문을 이어받을 적자嫡子로서, 백제 멸망 당시 포로로 끌려갔으나 나중에 웅진도독이 되는 태자 부여융과 함께 당군이 되어 돌아오는 인물이다. 멸망한 백제 땅에서도 은둔하며 망국의 백성들이 인간답게 살아갈 방도를 끈질기게 모색했던 물참, 그리고 당이 백제 땅에 설치한 도독부의 높은 벼슬아치가 된 형은 소설 내내 대비되며 갈등 구조를 이룬다. 특히 소설의 결말부에 이르면, 주인공 물참은 백제의 원수였던 신라와 연합하기로 결심하고 따르는 이들과 함께 나당의 전쟁터로 출발하는 반면, 이와 대조적으로 그의 형은 집안의 원수에 대한 복수심을 안은 채 왜국으로 도망친다. 이러한 대비를 통해 독자들은 주인공 물참이 방황을 거듭하다 마침내 결단을 내리는 과정에 보다 극적으로 몰입할 수 있을뿐더러, 서로 다른 주장을 다각적으로 비교하면서 보다 입체적이면서 흥미로운 독서가 가능할 것이다.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