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독된 아이

전건우, 정해연, 정명섭, 차무진 (지은이) 지음 | 꿈꾸다 펴냄

중독된 아이

이 책을 읽은 사람

나의 별점

읽고싶어요
13,000원 10% 11,700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22.5.30

페이지

196쪽

상세 정보

청소년 문학의 대표 작가 네 명이 모여 쓴 단편 모음집이다. 작가들은 우리 청소년들의 삶 속에 매우 깊숙이 들어와 자리 잡은 ‘유튜브’의 명암에 주목한다. 유튜브는 청소년들에게 어떤 존재일까? 오락의 기능을 넘어 이제는 지식과 상식을 제공하는 교육적인 기능까지 담당하는 등 전방위로 맹위를 떨치는 유튜브-유튜버와 청소년들의 관계에 대해 작가들은 소설의 형식을 빌려 소중한 조언을 들려준다.

이야기들은 유튜브와 유튜버들의 영향력이 잘못 쓰였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들 그리고 그런 힘에 휘둘리기 쉬운 청소년들의 삶에 주목한다. 이 매체가 가진 힘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알맞게 잘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는 작가들의 메시지다.

네 편의 소설 속 주인공들은 유튜버이거나 그들을 추종하는 팬이거나 유튜브나 게임 속 세상에 빠져 잘못된 선택을 하거나 그 가상의 세상 속으로 도피해 현실 세계를 등한시한다. 유튜브라는 공통의 소재를 두고 네 명의 작가가 그려내는 네 편의 이야기는 소설로만 치부하기에는 너무 우리의 현실과 닮았다.

상세 정보 더보기

이 책을 언급한 게시물1

꼼작채채 작가님📝님의 프로필 이미지

꼼작채채 작가님📝

@118chaera_books

읽으면 읽을수록 오싹한데 왜 오싹한지 모르겠다.
다양한 이야기가 묘하게 잘 어울리고 내 호기심을 자극하면서 단편 소설 같은 느낌? 읽다보면 “이 이야기가 끝났다니!!” 하고 생각할 정도로 흥미진진하다.
생각보다 많은 SNS 속 사건사고들이 많았고 그중 죽음으로까지 이어지는 무서운 일들은 내 상상을 초월하기까지 한다. 휴대폰 사용 줄이기가 시급하다면 꼭 읽어보시길..
(왜인지 모르겠지만 이거 읽고 잠을 설쳤음.. 무서워서 그런가,,)

중독된 아이

전건우, 정해연, 정명섭, 차무진 (지은이) 지음
꿈꾸다 펴냄

1주 전
0
집으로 대여
구매하기
지금 첫 대여라면 배송비가 무료!

상세정보

청소년 문학의 대표 작가 네 명이 모여 쓴 단편 모음집이다. 작가들은 우리 청소년들의 삶 속에 매우 깊숙이 들어와 자리 잡은 ‘유튜브’의 명암에 주목한다. 유튜브는 청소년들에게 어떤 존재일까? 오락의 기능을 넘어 이제는 지식과 상식을 제공하는 교육적인 기능까지 담당하는 등 전방위로 맹위를 떨치는 유튜브-유튜버와 청소년들의 관계에 대해 작가들은 소설의 형식을 빌려 소중한 조언을 들려준다.

이야기들은 유튜브와 유튜버들의 영향력이 잘못 쓰였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들 그리고 그런 힘에 휘둘리기 쉬운 청소년들의 삶에 주목한다. 이 매체가 가진 힘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알맞게 잘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는 작가들의 메시지다.

네 편의 소설 속 주인공들은 유튜버이거나 그들을 추종하는 팬이거나 유튜브나 게임 속 세상에 빠져 잘못된 선택을 하거나 그 가상의 세상 속으로 도피해 현실 세계를 등한시한다. 유튜브라는 공통의 소재를 두고 네 명의 작가가 그려내는 네 편의 이야기는 소설로만 치부하기에는 너무 우리의 현실과 닮았다.

출판사 책 소개

“유튜브로 세상을 보고 읽는 청소년들에게
가상과 허위의 세계에서 벗어나 진실을 마주하기를 바라는 작가들이 보내는 초대장”


《중독된 아이》는 청소년 문학의 대표 작가 네 명이 모여 쓴 단편 모음집이다. 작가들은 우리 청소년들의 삶 속에 매우 깊숙이 들어와 자리 잡은 ‘유튜브’의 명암에 주목한다. 유튜브는 청소년들에게 어떤 존재일까? 흔히들 말하는 ‘없어서는 안 될’이 아니라 ‘없는 것을 상상조차 할 수 없는’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는 매체일 것이다. 오락의 기능을 넘어 이제는 지식과 상식을 제공하는 교육적인 기능까지 담당하는 등 전방위로 맹위를 떨치는 유튜브-유튜버와 청소년들의 관계에 대해 작가들은 소설의 형식을 빌려 소중한 조언을 들려준다.

이야기들은 유튜브와 유튜버들의 영향력이 잘못 쓰였을 때 일어날 수 있는 일들 그리고 그런 힘에 휘둘리기 쉬운 청소년들의 삶에 주목한다. 이 매체가 가진 힘을 제대로 파악하고, 이를 알맞게 잘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자는 작가들의 메시지다.

네 편의 소설 속 주인공들은 유튜버이거나 그들을 추종하는 팬이거나 유튜브나 게임 속 세상에 빠져 잘못된 선택을 하거나 그 가상의 세상 속으로 도피해 현실 세계를 등한시한다. 유튜브라는 공통의 소재를 두고 네 명의 작가가 그려내는 네 편의 이야기는 소설로만 치부하기에는 너무 우리의 현실과 닮았다.
「공생」의 주인공 유튜버 ‘국민 영웅 현우’는 조회 수를 올리고자 사람들의 주의를 끌 만한 상황을 조작해 이를 영상으로 찍어 올리고, 또 다른 유튜버 ‘이슈지기’는 이런 영상의 진위에 의문을 제기하는 방식으로 이슈를 만들어 내며 서로 공생관계를 유지한다. 겉으로 보기에는 적 같지만, 사실은 서로의 조회 수를 올려주는 데 협조하는 공생관계인 것이다.
「참교육의 날」의 주인공 중학생 세환은 유튜버 ‘참교육’의 채널을 구독하는 열혈 팬으로 그를 추종했으나, 그가 조작된 고발 영상을 올리고 돈을 요구하는 방식으로 채널을 운영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하물며 이를 알게 된 계기가 그의 부모님 식당이 고발 영상의 희생자가 되면서이다. 이런 일을 겪으며 유튜브 시스템상 이런 희생자나 피해자가 구제받을 수단이 마땅치 않다는 사실을 깨닫는데, 거대기업인 유튜브와 파워 유튜버 앞에 희생되기 쉬운 힘없는 개인들이 어떻게 권리를 지킬 수 있는지 고민한다.
「하얀 돌고래 게임」은 실제로 러시아에서 시작됐다고 알려진 ‘흰긴수염고래 챌린지’를 모티프로 한다. 이 챌린지에 참가한 이들은 단계마다 주어지는 미션을 수행하고 이를 영상으로 촬영해 올리는데, 단계가 높아질수록 수행해야 할 미션 내용이 점점 위험해지다 결국 자살로 이어진다. 소설은 이 챌린지를 모방한 게임에 참여했다 자살한 친구의 죽음의 원인을 찾아가는 두 주인공의 활약을 그린다.
「꼬르모의 방」의 주인공 민주는 자폐성 장애를 앓고 있다. 민주는 분리 불안과 우울증 그리고 불면증 증세가 있는데, 이를 치유하는 수단으로 유튜버 꼬르모가 들려주는 ASMR에 빠져든다. 부모를 비롯한 다른 것과의 소통은 거부한 채 오로지 꼬르모의 ASMR에만 집착하는 민주는 우연히 유튜브 안으로 워프하면서 그동안 알지 못했던 비밀을 발견하고 진짜 세상으로 나오게 된다.

네 명의 작가가 각각 펼쳐 내는 유튜브가 지배하는 세상의 이야기들,
소설이지만 허구로만 읽히지 않는 우리 이야기


인터넷, 유튜브, 유튜버, SNS 등 소셜 네크워크가 없는 세상은 지금 청소년들이 떠올릴 수 있는 최고의 지옥 같은 세상이 아닐까? 비단 청소년뿐만 아니라 어른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무인도에 단 한 가지 물건을 가져갈 수 있다면 무엇을 가져가겠냐’는 물음에, ‘핸드폰’을 답하는 사람이 많으니까. 그것만 하나 가지면, 심심하지 않게 굳이 옆에 사람이 없어도 지낼 수 있다는 절대적 믿음 아니겠는가?
이것들 덕분에 얻게 된 세상의 편리가 이루 말할 수 없다. 그런데 곰곰 생각해보면, 무서운 일이다. 핸드폰을 매개로 접할 수 있는 인터넷과 유튜브와 각종 소셜 미디어의 힘이라는 것이, 너무 대단해 이제 우리는 그 영향력 밖에서 살기가 힘드니까. 소소하게는 가까운 곳에 있는 맛집 정보부터 거의 모든 정보를 그곳에서 습득하고, 그곳을 통해 소통하며, 울고 웃으며 살아간다. 이 도구와 매체가 세상을, 사람들을 실질적으로 지배하고 있는 것이다.
네 명의 작가들이 모여 ‘유튜브-유튜버’라는 공통 키워드를 중심으로 상상력을 발휘해 이야기를 풀어냈다. 「공생」 「참교육의 날」 「하얀 돌고래 게임」 「꼬르모의 방」까지, 모두 유튜브라는 소재를 둘러싼 어두운 현실을 그려냈다. 슬프게도 이 소설 속 이야기들은 결코 허구로만 읽히지 않는다. 유튜브나 SNS나 모두 인간이 인간을 위해 만들어 낸 도구에 불과하지만, 어느새 거짓된 정보로 우리를 현혹하고, 이기심에서 서로를 이용하게 만들며, 진짜 세상을 만나고 소통하기보다는 만들어진 세상 속에서 살아가게 꼬드기고, 우리의 정신과 몸을 지배하는 절대자의 위치에 서 있다.
작가란 세상의 위험을 그 누구보다 먼저 발견하고 알려주는 존재들로서, 이 작품들을 통해 네 명의 작가들은 유튜브를 매개로 우리 청소년들이 접한 허구의 실상을 알려준다. 보이는 대로가 다가 아니다. 그것이 보여주는 바가 진실이 아닐 수 있다. 그러나 이제 이를 이용하지 않고 살기는 힘들다. 그렇다면 유튜브라는 도구를, 거대한 힘을 가진 하나의 매체를 어떻게 하면 유용하게, 적절하게 그리고 현명하게 이용할 수 있는지 생각해봐야 한다. 도구는 이용하는 자에 따라서 선할 수도 악할 수도 있다. 청소년들은 그 방법을 배워 가는 과정에 있다. 여기 이야기들을 통해 독자들은 이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무제한 대여 혜택 받기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

나와 비슷한 취향의 회원들이 작성한
FLYBOOK의 더 많은 게시물을 확인해보세요.

지금 바로 시작하기

플라이북 앱에서
10% 할인받고 구매해 보세요!

지금 구매하러 가기

FLYBOOK 게시물이 더 궁금하다면?

게시물 더보기
웹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