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을 읽은 사람
1명
나의 별점
책장에 담기
게시물 작성
문장 남기기
분량
얇은 책
출간일
2022.4.5
페이지
168쪽
상세 정보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261만 8000명이다. 전체 인구 대비 5.1퍼센트에 이른다. 스무 명 중 한 명이 장애인이다. 이 정도 숫자라면 어디에서나 장애인이 보여야 한다. 그런데 생각해 보자. 우리는 길거리에서 장애인을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는가? 장애인들은 대부분 특수학교, 병원, 복지관, 거주 시설 등에 격리되어 ‘보이지 않는 사람들’로 살아가고 있다.
장애인을 환대하지 못하는 사회이다 보니, ‘꿀 먹은 벙어리’,‘눈뜬장님’ 같은 말들이 혐오 표현인 줄도 모른 채 지금도 쓰인다. 그것이 누군가를 배제하는 말인 줄 몰라서 쓴다. 옛날부터 쓰던 말이니까 괜찮은 줄 알고 쓴다. 하지만 이제는 무엇이 괜찮고 괜찮지 않은지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상세정보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261만 8000명이다. 전체 인구 대비 5.1퍼센트에 이른다. 스무 명 중 한 명이 장애인이다. 이 정도 숫자라면 어디에서나 장애인이 보여야 한다. 그런데 생각해 보자. 우리는 길거리에서 장애인을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는가? 장애인들은 대부분 특수학교, 병원, 복지관, 거주 시설 등에 격리되어 ‘보이지 않는 사람들’로 살아가고 있다.
장애인을 환대하지 못하는 사회이다 보니, ‘꿀 먹은 벙어리’,‘눈뜬장님’ 같은 말들이 혐오 표현인 줄도 모른 채 지금도 쓰인다. 그것이 누군가를 배제하는 말인 줄 몰라서 쓴다. 옛날부터 쓰던 말이니까 괜찮은 줄 알고 쓴다. 하지만 이제는 무엇이 괜찮고 괜찮지 않은지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
출판사 책 소개
“이 책은 ‘장애인이 가장 크게 느끼는 장벽은 장애 자체가 아니라 사회적 차별과 편견으로 얼룩진 혐오’ 라고 말하고 있다. 모두가 일부러 장애인을 차별하거나 혐오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비장애인이 중심인 사회는 무의식적으로 장애인 차별을 양산하고, 의식적으로 장애인을 타자화시킨다.
그러므로 우리는 배워야 한다.
지난 행동을 고찰하고 성찰하는 자세로 불합리한 관행과 제도, 표현과 선입견에 대해 의문을 제기할 때 비로소 누구나 행복하고 편안한 세상을 만들 수 있다.”
—추천하는 글, 최혜영(국회의원)
|장애 인권 문해력, 어떻게 키울까?|
김효진 작가의 어머니는 소풍날마다 이렇게 물었다. “넌 집에 있는 게 낫지?” 소풍에 가고 싶었지만 다리가 불편한 자신이 선생님이나 친구들에게 짐이 될까 순순히 포기했다. 운동회도 수학여행도 그랬다. 미안해서 포기했다. 가만히 있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로 살고, 해 보고 싶은 것을 참기만 하는 것이 미덕인 줄 알고 살았다. 그러나 아니었다. 강요받은 침묵은 어른이 된 뒤에도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가만히 있지 않기로 결정했다. 장애인이라서 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많은 것들을,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해야 한다고 믿었던 많은 것들을, 구조적으로 가능하게 만드는 사회가 진짜 좋은 사회란 것을 알게 됐다. 인권 운동가가 되어 만나는 세상은 새로웠다. 다른 세상을 꿈꾸기 시작하자 할 일이 많아졌다. 장애와 비장애를 나누고 서로 배타적으로 대하거나 차별하고 혐오하는 비장애인을 몰아붙여 등 돌리게 하는 방식으로는 좋은 결론이 나올 수 없었다. 그래서 사람들의 인권 문해력을 키워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내일 우리는 지금과 다르게 생각하고, 다르게 행동하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을 거라 믿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장애인은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지만,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해서 비장애인보다 열등한 존재인 것은 아니다. 아기가 어른의 도움 없이 혼자 설 수 없지만 열등하다고 믿지 않는 것과 같다. 사람이 사람답다는 것은 능력으로만 판단되는 문제가 아니다. 도움이 필요하다 해서 살아갈 가치가 덜하거나 없는 것은 더욱 아니다. 장애는 극복해야 할 것이 아니라, 그저 장애를 갖고 살아가는 것뿐이다. 이 책을 읽는 사람들 모두가 이것 한 가지만 알아주어도 좋겠다.
|우리에게는 다른 언어가 필요하다|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261만 8000명이다. 전체 인구 대비 5.1퍼센트에 이른다. 스무 명 중 한 명이 장애인이다. 이 정도 숫자라면 어디에서나 장애인이 보여야 한다. 그런데 생각해 보자. 우리는 길거리에서 장애인을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는 사회에 살고 있는가? 장애인들은 대부분 특수학교, 병원, 복지관, 거주 시설 등에 격리되어 ‘보이지 않는 사람들’로 살아가고 있다. 장애인을 환대하지 못하는 사회이다 보니, ‘꿀 먹은 벙어리’,‘눈뜬장님’ 같은 말들이 혐오 표현인 줄도 모른 채 지금도 쓰인다. 그것이 누군가를 배제하는 말인 줄 몰라서 쓴다. 옛날부터 쓰던 말이니까 괜찮은 줄 알고 쓴다. 하지만 이제는 무엇이 괜찮고 괜찮지 않은지 다시 생각해 보아야 한다.
1부에서는 “장애인은 불쌍해”, “몸도 불편한데 왜 돌아다녀?”, “동네 바보 형”처럼, 얼핏 들으면 장애인을 생각해 주는 말인 것 같지만 사실은 장애 혐오 표현인 것들을 다루고 있다. 2부에서는 “장애인은 더러워”, “장애인은 죽는 게 나아”, “장애인에게 성욕이라니?”처럼, 대놓고 하는 장애 혐오 표현들에 대해 이야기한다. 적대감과 혐오를 감추지 않는 사람들의 마음속에 담겨 있는 것이 무엇인지 살피고 있다. 3부에서는 “마음의 장애인, 예비 장애인”, “미친 존재감”, “장애를 극복한 영웅”처럼, 전혀 차별하는 말이라고 생각 못 했던 말들에 담긴 속뜻을 이야기한다. 모르는 사이에 장애 혐오 발언을 내뱉고 있었던 자신을 발견하고 페이지마다 뜨끔해진다.
“차이와 다양성을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삶을 위해서는
다른 언어가 필요합니다.
배제와 차별의 문화 속에서 기득권을 누리는 사람들에게는
다른 특징을 가진 사람을 구분하고 선 밖으로 밀어내며 추방하기 위한
그들의 언어가 익숙하고 유리하겠지만
우리는 달라야 합니다.
다른 언어로 이야기해야 하며, 다른 세상을 꿈꾸기를 포기하지 말아야 합니다.”
―본문 중에서
현재 25만명이 게시글을
작성하고 있어요